-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 Biscogniauxia nummularia (Bull.) Kuntze > Hypoxylon nummularium Bull.
- 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
- 민팥버섯속(Biscogniauxia)
- 목질 표면에 불규칙한 형태로 자좌가 퍼진다. 밝은 갈색이나 곧 검은 색. 민혹콩버섯이 개칭됨. 수기가 있거나 또는 없는 나무의 표면에 생긴다. 이 속의 기준종임.
- 자좌는 수피가 있거나 없는 나무의 표면에 생기며, 수피 위로 돌출되면서 흔히 원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다가 부근의 자좌와 융합되면서 불규칙한 형태로 퍼진다. 처음에는 밝은 갈색이나 곧 검은색이 되고 숙성하면 다소 광택이 있다. 표면에는 미세한 자낭각의 분출공(殼孔)이 돌출된다.
-
포자는 넓은 타원형∼아구형. 11∼14×7∼10㎛.
자낭은 원주형. 8개의 포자가 있다. 전체 95∼125×9∼12㎛. 대는 15∼30㎛. - 밝은 갈색~검은색
- 연중내내
- 연중 내내. 참나무류, 너도밤나무 등의 죽은 가지에 난다. 때로는 상처 부위에 침입하여 수목의 해균이 되기도 한다.
- 한국, 유럽.
- 비식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2012-08-08_Biscogniauxia_nummularia_(Bull.)_Kuntze_246543.jpg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