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 Hypoxylon rubiginosum (Pers.) Fr. var. rubiginosum > Hypoxylon rubiginosum
- 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
- 팥버섯속(Hypoxylon)
- 자좌는 두께 1∼3mm, 편평하고 넓게 퍼진다. 벽돌색. 자적색 또는 녹슨 갈색. 성숙한 후에는 검은색. 갈색방석꼬투리버섯, 루비방석꼬투리버섯이라고도 하였음.
- 자좌는 편평하게 넓게 퍼지는데, 두께는 1∼3mm, 서로 접착해서 부정형이 되기도 한다. 표면은 벽돌색, 자적색 또는 황토갈색∼녹슨 갈색. 성숙한 후에는 검은색이 된다. 커가는 과정별로 색깔이 달라진다. 표면에 결절이 많이 생기고 평활하지 않으며, 때로는 얕은 골이 파이기도 한다. 미세한 점모양의 흰색 자낭각의 분출공(殼孔)이 돌출된다. 자좌의 내부는 황토색∼갈색. 자낭각이 여러 층으로 들어 있으며, 둥근 모양이고 크기는 0.3∼0.8mm, 흑색이다.
-
포자는 넓은 타원형∼콩 모양. 평활, 암갈색, 한쪽이 평평한 편, 1개 방울이 있다. 10∼12×4.5∼5.5㎛.
자낭은 원주형, 약 150×6㎛. 8개의 포자가 들어 있다. - 벽돌색. 자적색 또는 녹슨 갈색
- 연중내내
- 연중 내내. 각종 활엽수 죽은 나무의 수피 위 또는 수피가 없는 목재 면에 난다.
- 한국, 일본, 유럽.
- 비식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www.bowerbird.org.au/observations/40224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