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깔때기뿔나팔버섯(깔때기꾀꼬리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꾀꼬리버섯목(Cantharellales)
    학명 : Craterellus tubaeformis (Fr.) Quél. > Cantharellus infundibuliformis (Scop.) Fr.
    과명 : 꾀꼬리버섯과(Cantharellaceae)
    속명 : 뿔나팔버섯속(Craterellus)
    특징 : 소형, 막대모양의 깔때기 모양 가운데의 오목한 것은 자루의 기부까지 연결 황갈색 또는 연한 황토색
    자실체 : 갓의 지름은 2~5cm이고 높이는 5~8cm로 막대모양의 깔때기 모양으로 육질이고, 가운데의 오목한 것은 자루의 기부까지 연결된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연한 황토색이고 방사상의 섬유모양과 희미한 고리 무늬를 나타난다. 가장자리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며 불규칙하고 얕게 갈라졌다. 아랫면은 맥상모양의 주름살이 있으며 회황백색이다.
    대의 속은 비어 있고 대는 0.5cm 정도 속은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또는 아구형이며 표면은 매끄럽고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갈색 또는 연한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과 가을에 걸쳐 숲속의 땅 에 군생 또는 단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붉은껍질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eijii Z.L. Yang > Amanita cokeri f. roseotincta Nagas. & Hongo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갓은 백색, 후에 중앙 쪽은 담갈색, 각추형 사마귀가 덮여 있다. 대는 백색∼담갈색, 거스름모양 돌기가 돌출. 전의 학명이 2002년 바뀌었다.
    자실체 : 갓은 폭 4∼8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거 의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에 각추형의 사마귀가 다수 흩어져 덮여 있다. 어릴 때는 백색이다가 후에 중앙부 쪽으로 담갈색이 된다. 사마귀는 갓의 중앙부가 크고 주변이 작다. 약간 영존성, 살은 백색인데 단단하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연한 크림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분상.
    대는 길이11∼15cm(굵기1∼1.3cm), 담갈색. 밑동은 방추형으로 부풀어 있고, 속이 차 있다. 하반부는 위로 치켜진 거스름 모양의 돌기가 다수 돌출되어 있다. 고리는 백색이다가 갈색을 띤다. 꼭지 부근에 두꺼운 막질로 되며, 영존성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넓은 난형. 평활, 8∼12×6∼8㎛.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 참나무류, 모밀잣밤나무 등 침,활엽수 임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할미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saponaceum (Fr.) P. Kumm.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올리브녹색, 연한 갈색, 회백색 등, 중앙부에 그을음 색 인편 밀포. 대는 그을음 색 또는 회색 인편이 피복되어 있다. 지역에 따라 색깔변화가 매우 커서 혼동되기 쉽다.
    자실체 : 갓은 폭 3.5∼7(10)cm 크기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후에는 중앙이 약간 높게 평평해 진다. 표면은 흡습성. 습할 때 점성이 있고 색깔의 변화가 많다. 일반적으로는 올리브녹색이지만, 연한 갈색, 회백색 등이 있다. 특히 중앙부근에는 그을음 색 알갱이 모양의 가는 인편이 밀포되어 있다. 때때로 표면에 반점이 나타난다. 이 버섯은 지역에 따라서 색깔과 형태 차이가 커서 혼동되기 쉽다. 살은 백색, 식용. 경우에 따라 위장계 중독의 경우도 있다고도 하므로 주의가 필요함.
    주름살은 허연색, 후에 녹황색 끼를 띤다. 폭이 넓은 편, 약간 성기고 대에 홈붙음.
    대는 3∼8cm(굵기0.8∼1.5cm), 아래쪽에 방추상으로 약간 굵어지거나 또는 가늘어지기도 한다. 꼭지 쪽은 허연색, 아래쪽은 평활하거나 끄름 색 또는 회색의 인편이 피복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어떤 것은 방울이 들어있다. 4.8∼6.1×3∼3.8㎛.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올리브녹색, 연한 갈색, 회백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에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의 임내 지상에 군생 또는 산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잿빛만가닥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ophyllum decastes (Fr.) Sing.
    과명 : 만가닥버섯과(Lyophyllaceae)
    속명 : 만가닥버섯속(Lyophyllum)
    특징 : 중형. 갓은 회갈색∼암갈색, 후에 연해진다. 주름살은 백색∼연한 회색 끼. 대는 백색∼연한 회갈색. 동일지역 버섯도 색깔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자실체 : 갓은 폭 4∼10cm의 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해 지며, 가장자리는 어릴 때 안쪽으로 말려 있으나, 퍼지면서 물결모양으로 굴곡되기도 한다. 회갈색∼암갈색이고 오래되면 약간 색이 연해진다. 기후에 따라서 색깔과 형태에 차이가 있다. 살은 백색. 식용하며 맛이 좋다.
    주름살은 백색∼연한 회색 끼를 띤다. 촘촘하고 대에 띠붙음, 홈붙음 또는 약간 내리붙음.
    대는 3∼6cm(굵기1∼2cm), 표면은 백색∼약간 회갈색을 띤다. 섬유상이고 질기며 속이 차 있고, 위쪽에서 밑동 쪽으로 색이 다소 진해 진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5.6∼6.9×5.1∼6.6㎛.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갈색∼암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임지 내나 정원, 풀밭, 나지 등에 산생 또는 군생하는데 다발로 나기도 하고, 때로는 나무의자 밑이나 부근에 다수 군생하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 흔한 곳도 있다.
    분포 : 북반구 일대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5. 목도리방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방귀버섯목(Geastrales)
    학명 : Geastrum triplex Jungh.
    과명 : 방귀버섯과(Geastraceae)
    속명 : 방귀버섯속(Geastrum)
    특징 : 5∼10cm의 중형. 유균 때는 구형. 성숙하면 열편으로 갈라지며, 열편 중간이 가로로 쪼개지거나 깨지는 특징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유균 때에 부식토나 낙엽층에 묻혀 있다가 점차 표출된다. 유균은 꼭지 부분이 새주둥이 모양 뾰족하게 튀어나오며, 지름 2∼3cm 정도. 외피는 약간 미세한 돌출이나 거스름이 있다.
    성숙하면 4∼8개의 열편으로 쪼개져서 별 모양이 된다. 크기는 5∼10cm, 이때 열편이 바깥쪽으로 굽으면서 중간에 가로로 쪼개지거나 깨지는 특징이 있다.
    주머니는 구형, 평활, 때로는 가는 털이 있고, 회갈색∼오갈색. 크기 2∼3cm. 대는 없다. 분출공(殼孔) 주변에 뚜렷한 테두리가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담갈색, 거친 사마귀가 덮여 있다. 지름 4∼5㎛.
    색상 : 회갈색∼오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부식토나 낙엽이 많은 곳에 군생.`
    분포 : 한국, 전 세계적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6. 모래밭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Pisolithus arhizus (Scop.) Rausch. > Pisolithus tinctorius (Pers.) Coker & Couch
    과명 : 어리알버섯과(Sclerodermataceae)
    속명 : 모래밭버섯속(Pisolithus)
    특징 : 폭 2∼6cm. 구형∼서양 배 모양. 암적황색, 갈색, 기본체 안에 담자기 들이 작은 덩어리 모양 되어 있다가 분리된다. 자실체가 서양 배 모양인 것에서 유래된 학명.
    자실체 : 자실체는 크기 2∼6cm.로 원형 또는 타원형 서양 배 모양으로 발생한다. 표피는 암적황색에서 갈색이 되며 성숙하면 표피가 벗겨지며 포자를 방출하며 버섯이 붕괴된다. 내부는 지름 0.2~0.4mm.의 작은 입자 덩어리로 되어 있으며 점차 분말상 포자가 된다.
    대는 매우 짧거나 없으며기부에는 황갈색의 근상균사속이 있다.

    포자 : 포자는 7~12㎛ 구형이고 가시모양으로 돌기가 있으며, 갈색이다.
    색상 : 암적황색, 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소나무 숲, 잡목림, 길가 등의 땅 위에서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7. 금빛주름미치광이버섯(임시)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Gymnopilus luteofolius (Peck) Singer
    과명 : 포도버섯과(Strophariaceae)(독청버섯과 변경)
    속명 : 미치광이버섯속(Gymnopilus)
    특징 : 소형, 표면은 건성이고, 보라빛 붉은색에서 분홍빛 벽돌 붉은색, 작은 비늘이 빽빽하게 또는 희박하게 덮여 있으며, 특히 중앙에 많다.
    자실체 : 갓은 2~6cm; 볼록한 모양에서 넓게 볼록해지고, 넓게 종 모양이거나 거의 평평하고 건조하다 작은 비늘이 빽빽하게 또는 희박하게 덮여 있으며, 특히 중앙에 많다
    어릴 때는 보라빛 붉은색에서 분홍빛 벽돌 붉은색이지만 점차 분홍빛이나 황색(또는 색상이 다소 얼룩덜룩함)으로 나중에는 갈색 주황색이나 황갈색으로 변한다. 때때로 곳곳에 청록색 얼룩지고 가장자리에는 줄무늬는 없다,
    주름살은 어릴 때 황금빛 노란색에서 녹슨 색으로 변해가고, 자루에 바르게 붙은 모양에서 약간 내려붙은 모양이 되며, 주름살 간격은 약간 촘촘하다.
    대는 길길이 3~6cm; 두께 3~6mm; 거의 동일하거나 때로는 약간 부풀어 오른 기부가 있음; 자주빛 분홍색에서 주황색에서 갈색으로 변하는 섬유질이다
    턱받이는 불분명한 섬유질의 고리모양으로 자루 위쪽에 달려 있다.

    포자 : 포자는 크기 5.5~8×3.5~4.5㎛이다. 타원형이며, 표면은 가는 사마귀로 덮여 있고, KOH용액에 오렌지 갈색으로 변색되며, 포자무늬는 녹슨 색이다.
    색상 : 보라빛 붉은색, 분홍빛 벽돌 붉은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주로 침엽수, 드물게 활엽수의 죽은 줄기, 가지, 그루터기, 나무 조각 더미 위에 무리를 이루어 나거나 흩어져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남아시아, 유럽, 북아메라카, 남아메리카, 호주, 뉴질랜즈, 남아프리카 등 주로북아메리키에 분포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석순자 등(유기범, 진용주, 김동익, 김완규). 2016. 채소 온실에서 발생한 버섯의 동정 및 특성. 한국균학회지. 44(3): 127-131
    https://www.mushroomexpert.com/gymnopilus_luteofolius.html

    Read More
  8. 달걀버섯 (회색달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hemibapha (Berk. &Br.) Sacc. > Amanita hemibapha subsp. hemibapha (Berk. & Br.) Sacc.(달걀버섯) > Amanita hemibapha subsp. similis Corner & Bas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오렌지 적색, 대는 오렌지색, 대에 적황색 반문이 얼룩덜룩 띠 모양을 이룬다. 회색달걀버섯은 색깔에 차이가 있으나, 동일종에 포함되었다.
    자실체 : 갓은 폭 5∼10(12)m의 중형∼대형. 어릴 때는 계란모양이다가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지만 간혹 가운데가 둥글게 돌출되기도 한다. 표면은 아름다운 적색
    ∼오렌지적색이고 평활하며 다소 점성이 있다.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명료한 줄금이 있다. 살은 연한 황색. 식용하나 유사한 버섯 중 독버섯이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주름살살 담황∼황색. 약간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10∼17cm(굵기0.6∼2cm), 위쪽이 약간 가늘며 표면은 오렌지색∼황색, 흔히 적황색의 반문이 얼룩덜룩한 띠 모양을 이룬다. 속이 차 있다. 위쪽에 적황색 막질의 고리가 있고, 밑동에는 백색이고 두꺼운 막질의 자루모양 외피막이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아구형. 평활, 7.5∼10×6.5∼7.5㎛.
    색상 : 오렌지 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내 지상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식용,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9. 주홍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Libertella betulina Desm.
    과명 : 미정과(Xylariales) > Anamorphic Xylariales(불완전세대의 콩꼬투리버섯목)
    속명 : 주홍꼬리버섯속(Libertella)
    특징 : 표고 골목 등 참나무류의 수피에 난다. 길이 2∼10mm 정도의 돼지꼬리 모양∼요충모양 또는 불규칙한 모양으로 발생한다. 주황색.
    자실체 : 주홍꼬리버섯은 넓은요버섯(Diatrype stigma)의 불완전세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흔히 자낭포자를 만들지 않고 분생포자로 번식된다. 이 버섯은 표고 접종시기인 봄철부터 발아가 시작되어 5∼6월경부터 수피 외부에 길이 2∼10mm, 굵기 0.5∼1.5mm 정도의 주황색 점질물이 요충이나 돼지꼬리 형태로 발생하며, 후에 말라붙거나, 폭 2∼5mm 정도의 방석 모양 또는 불규칙한 모양이 되기도 한다.

    수피가 박리될 때 내수피 부분에서 주홍꼬리버섯의 자낭각이 발견되며, 이것이 넓은요버섯이다(古川과 野淵, 1996). 넓은요버섯이나 주홍꼬리버섯에 일단 발병된 골목은 수피 속에서 균이 자라기 때문에 방제가 어렵다.
    이들의 균은 표고와 달리 베노밀수화제 또는 벤레이트 등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1,000배액을 만들어서 표고 접종 전 또는 접종 후 골목에 살포해 두면 이 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어서 예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포자 : 돼지꼬리 모양의 점질물은 포자각(胞子角)이며, 이 포자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굽은 바늘 모양의 분생포자가 조그만 덩어리마다 수 억 개씩 발견된다. 이 분생포자는 계속 불완전세대를 계속하면서 균이 확산된다.
    색상 : 주황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표고 골목 등 참나무류의 수피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0. 갈색선녀버섯(고려선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Marasmiellus koreanus Antonín, Ryoo & H. D. Shin
    과명 : 낙엽버섯과(Marasmiaceae)
    속명 : 선녀버섯속(Marasmiellus)
    특징 : 갓갓의 표면은 어릴 때는 회갈색에서 살구색으로 변해가고 가운데는 진한 색을 띤다
    자실체 : 갓은 지름 1~4 cm 정도로, 어릴 때는 반원모양 또는 가운데가 돌출한 반원모양에서 둥근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되는데,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다. 갓의 표면은 어릴 때는 회갈색에서 살구색으로 변해가고 가운데는 진한 색을 띠며, 가운데 부터 가장자리 까지 방사상으로 깊이 주름져 있고, 가장자리는 연한 색으로 물결 모양을 이룬다. 살(조직)은 연한 가죽질로 엷다. 주름살은 백색 내지 크림색으로 어릴때는 자루에 바르게 붙은 모양에서 성장하면서 약간 내려붙은 모양으로 변 해 가고, 주름살 간격은 매우 엉성하다. 자루는 길이 2~5 cm 정도로 위 아래 굵기가 같은 막대모양으로 환경에 따라 굽어있기도 하며, 표면은 크림색으로 가는 인편이 붙어있으며 기부는 약간 부풀어 있다.
    포자 : 포자는타원형이며, 대형, 12∼17×4∼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갈색~살구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의 활엽수의 죽은 줄기, 가지 등에 군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1. 다형콩꼬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학명 : Xylaria polymorpha (Pers.) Grev.
    과명 : 콩꼬투리버섯과(Xylariaceae)
    속명 : 콩꼬투리버섯속(Xylaria)
    특징 : 높이 3∼7cm. 불규칙한 곤봉모양 때로는 끝이 평평한 모양, 대는 짧다. 어릴 때 회갈색∼갈색, 후에 흑색.
    자실체 : 자실체는 불규칙한 곤봉모양, 때로는 끝이 평평한 모양이 되기도 한다. 대가 짧고, 높이 3∼7cm, 굵기 1∼3cm, 표면은 어릴 때 회갈색∼연한 갈색이나, 성숙하면 흑색이 되면서 미세하게 점상 사마귀 모양으로 자낭각의 각공이 돌출된다. 내부의 살은 흰색. 섬유상이다. 자낭각은 검은색. 표면층의 바로 아래에 1층으로 매몰되어 있으며, 크기는 0.6∼0.8mm.
    포자 : 포자는 불규칙한 알몬드∼레몬형. 한쪽 면이 평평하며, 평활, 갈색, 가끔 1개의 방울이 있다. 22∼29×7∼9㎛.
    색상 : 회갈색∼갈색, 후에 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각종 활엽수의 썩은 둥치 등에서 총생 하거나 군생 한다.
    분포 : 범세계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갈적색쓴맛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Tylopilus badiceps (Pk) Smith & Thiers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쓴맛그물버섯속(Tylopilu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암적갈색∼암갈적색, 색깔 변화가 크다. 표면은 비로드 모양. 관공은 백색∼암 담적갈색, 칙칙한 색. 대는 갈색∼적갈색, 속이 차 있다.
    갓 끄트머리 끝을 잘라버린 듯한 갓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고 대에 보라색 끼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자실체 : 갓은 4∼8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넓은 둥근산형, 성숙하면 중앙이 약간 오목해 진다. 암적갈색∼암갈적색. 건조하고 표면은 비로드(벨벳) 모양. 살은 백색, 상처를 받으면 점차 갈색 끼를 띤다.
    관공은 매우 작고 백색, 오래되면 칙칙한 색∼칙칙한 담적갈색. 관공은 백색, 오래되면 칙칙한 색을 띠며, 대에 띠붙음.
    대는 4∼5cm(굵기15∼30mm), 원주형, 간혹 중간이 부풀어 있다. 갈색∼적갈색,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좁은 타원형, 평활, 8∼10×3.5∼4.5㎛. 포자문은 자갈색.
    색상 : 암적갈색∼암갈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지나 혼효림 내 토양에 단생 또는 산생.
    분포 : 한국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3. 흰살자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Hebeloma leucosarx P. D. Orton
    과명 : 포도버섯과(Strophariaceae)(독청버섯과 변경)
    속명 : 자갈버섯속(Hebeloma)
    특징 : 소형, 중앙은 둔한 돌출이 있으며 표면은 밋밋하며 건조 시 무광택으로 습할 시 광택이 나고 점성이 있음 황토색의 크림색에서 노란색-적황토색
    자실체 : 갓은 2~4.5cm로 원추형에서 종모양으로 되었다가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되며 중앙은 둔한 돌출이 있다. 표면은 밋밋하며 건조 시 무광택으로 습할 시 광택이 나고 점성이 있다. 어릴 때 중앙은 황토색의 크림색에서 노란색-적황토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예리하다. 살은 백색이며 균모의 중앙 살은 두껍고 가장자리 쪽으로 얇다. 냄새와 맛은 약간 있다.
    주름살은 홈파진주름살 또는 좁은 올린주름살로 크림색에서 회핑크색을 거쳐 적갈색으로 된다. 어릴 때 젖빛의 방울이 있고 노쇠하면 갈색의 반점을 가지며 폭은 넓다. 주름살의 변두리는 백색의 섬유상이다.
    대는 4~8cm, 굵기는 4~9mm로 원통형이고 기부로 굵으며 속은 차 있다가 비며 부서지기 쉽다. 표면은 백색의 가루상으로 어릴 때와 싱싱할 때 물방울이 맺히며 아래쪽은 드물게 백색의 솜털이 있다. 노쇠하면 밋밋해지고 세로줄의 백색 섬유실이 있다.

    포자 : 포자는 9.5~13×5.5~7㎛로 타원형이지만 매끄럽지 못하고 사마귀반점이 약간 있고 노랑-황토색이다. 담자기는 막대형으로 35~40×8~11㎛로 4-포자성이다. 기부에 꺾쇠가 있다.
    색상 : 노란색-적황토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숲속의 땅과 풀밭 사이에 단생·군생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조덕현. 2014. 백두산의 버섯도감①. 637pp. 한국학술정보

    Read More
  14. 테옷솔버섯(흰이옷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Trichaptum biforme (Fr.) Ryv. > Trichaptum elongatum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옷솔버섯속(Trichaptum)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반원형∼선반형. 회백색∼회갈색에 암갈색 테무늬. 관공은 보라색이다가 담황∼담갈색(때로는 백색), 얕은 톱니모양. 옷솔버섯과 달리 활엽수에 난다. 흰이옷솔버섯은 동일종으로 정리되었다.
    이 버섯은 옷솔버섯과 매우 혼동되기 쉽다. 옷솔버섯은 침엽수에 나는 반면 이 버섯은 활엽수에 난다.

    자실체 : 갓은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반원형 또는 선반모양이거나 부착부가 협소한 부채꼴∼혀 모양, 다수가 중첩해서 군생. 폭 1∼6cm, 두께 1∼2mm 정도. 표면은 회백색∼연한 회갈색이고 암색의 테 무늬가 다수 형성되며, 테 무늬는 다소 불분명한 경우도 있다. 짧은 밀모가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얇고 날카로우며 건조할 때는 아래쪽으로 굽는다. 살은 극히 얇고 흰색. 강인한 가죽질이다.
    관공은 어릴 때 보라색을 띠지만 점차 색이 바래 담황∼담갈색을 띤다(때로는 백색). 어릴 때는 얕은 관공 모양이나 후에는 관공 벽이 무너져서 얕은 톱니모양의 침이 되어 밀생.

    포자 : 포자는 원주형. 다소 굽어 있다. 평활, 투명, 5∼7×2∼2.5㎛.
    색상 : 회백색∼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연중 내내) 보통 활엽수의 죽은 나무나 그루터기에 난다. 갱목에도 발생하며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 : 한국, 일본, 및 전 세계.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5. 노란각시버섯(노란홈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ucocoprinus birnbaumii (Corda) Sing. >Lepiota luteus (Bolt) Rocq.(노란홈갓버섯)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각시버섯속(Leucocoprinus)
    특징 : 갓은 황색∼레몬색, 가장자리 방사상 홈선, 부채살 모양. 대는 가늘고 길며 황색∼레몬색.
    자실체 : 갓은 폭 2.5∼5cm의 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다가 종형∼원추형이 되고 나중에는 거의 평평하게 퍼지며 중앙이 크게 돌출된다. 표면은 분상∼면질의 인편이 피복되어 있는데 황색∼레몬색.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홈선이 있어서 부채살 모양을 나타낸다. 식용.
    주름살은 담황색.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5∼7.5cm(굵기1.5∼5mm), 밑동은 곤봉상으로 부풀어 있다. 표면은 황색∼레몬색의 분질물이 덮여 있다. 고리는 막질이고 약간 조락성이다. 처음에는 대의 위쪽에 있지만, 생장하면 아래쪽에 붙게 된다.

    포자 : 포자는 난형. 평활, 투명, 멜쩌액에 적색반응, 발아공이 있고, 포자액이 두껍다. 8.4∼14.6×6∼9.2㎛.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색∼레몬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정원 내, 또는 온실 내의 흙 위 때로는 화분에도 발생.
    분포 :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에 많이 발생하고 기타 지역은 식물이나 토양에서 옮겨진 경우이다.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6. 봉밀외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Entoloma melleum E. Horak
    과명 : 외대버섯과(Entolomataceae)
    속명 : 외대버섯속(Entoloma) > Rhodophyllus)
    특징 : 극소형.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평평한 형. 허연색∼연한 베이지색. 줄무늬가 뚜렷하다.
    자실체 : 갓은 폭 0.5∼1.5cm의 극소형.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중앙이 돌출되거나 들어가는 일은 없다. 베이지색∼연한 황색 또는 벌꿀황색을 띤다. 내생 섬유상. 줄무늬가 뚜렷하고 흡습성. 살은 얇고 베이지 색. 식용 가치가 없다.
    주름살은 대에 치붙음. 허연색이다가 분홍색으로 된다. 날은 갓과 같은 색, 고르다.
    대는 1∼3(4)cm(굵기1∼3mm), 원주형이고 갓과 같은 색. 밑동 표면에 백색 털이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타원형. 대부분 6개의 각을 가지고 있다. (9.0)10.0∼12.0×(5.0)7.0∼9.0㎛.
    색상 : 허연색∼연한 베이지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썩은 목재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북미, 뉴질랜드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7. 점박이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eciliae (Berk. & Br.) Bas > Amanita inaurata Secr. ex Gill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황갈색∼암갈색, 회흑색 면질 외피막 파편이 다수 부착. 대는 회색의 인편이 덮인다.
    자실체 : 갓은 폭 5∼15cm의 중형∼대형. 처음에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황갈색∼암갈색. 주변부는 연한 색. 약간 점성이 있다. 회백색∼회흑색 면질의 외피막 파편이 다수 부착된다.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줄금이 있다. 살은 연한 회색. 무르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날 부분은 회색 분상이고 다소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날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9∼15cm(굵기1∼2cm), 다소 가늘고 길며, 위쪽이 가늘다. 표면은 회색의 점상∼섬유상 작은 인편이 촘촘하게 덮여 있다.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10.4∼14.1×9.7∼14.0㎛.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갈색∼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지에 발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8. 콩두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두건버섯목(Leotiales)
    학명 : Leotia lubrica (Scop.) Pers.
    과명 : 두건버섯과(Leotiaceae)
    속명 : 두건버섯속(Leotia)
    특징 : 머리는 1cm 정도, 불규칙한 둥근산형∼편평형, 중앙이 오목하고 가장자리는 심하게 말린다. 황녹색∼황토황색. 대는 황색∼황토황색. 색깔 변화가 크다.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가 구분되며 높이 3∼6cm. 머리는 지름 1∼1.2cm, 머리는 불규칙한 둥근산형∼편평형. 갓 중앙이 배꼽모양 오목하고 가장자리는 아래쪽으로 심하게 말린다. 젤리질이며 매끄럽다. 머리는 황녹색∼올리브갈색, 황토황색, 암오렌지색 등.
    대는 황색∼황토색 또는 담 녹황색. 원주형∼납작한 형이고 폭 3∼7mm, 흔히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어떤 것은 조금 굽어 있고, 3∼5개의 격막이 있, 방울이 들어있다. 평활, 투명, (15)20∼24×5∼6㎛.
    색상 : 황녹색∼올리브갈색, 황토황색, 암오렌지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또는 숲 가장자리의 이끼 사이에 군생 또는 총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미, 호주.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털목이(분홍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Auricularia polytricha (Mont.) Sacc. > Hirneolina polytrica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목이속(Auricularia)
    특징 : 폭 3∼6cm. 자실체는 귀∼조개껍질 모양. 목이와 달리 윗면은 회백색∼회갈색 털 밀생. 아래 면은 갈색∼흑갈색, 매끄럽다(목이와 반대임).
    자실체 : 자실체는 귀 모양, 조개껍질 모양 또는 접시 모양 등으로 지름 3∼6cm, 높이 2cm, 두께 2∼5mm 정도. 젤리 질이며 흡습할 때는 연하나 건조하면 질기다. 가장자리는 흔히 심한 물결모양이 된다. 위 표면은 회백색∼회갈색의 가는 털이 밀생되어 있고 아래 면은 매끄러우며 갈색∼흑갈색 또는 자갈색. 건조해도 자실체의 크기는 큰 변화가 없다. 부근의 개체와 유착되는 경우도 있다. 식용.
    포자 : 포자는 콩팥형∼소시지형. 10.5∼20×5∼9.5㎛.
    색상 : 갈색∼흑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활엽수의 고목 또는 말라 죽은 가지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호주, 남북미, 범세계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0. 줄무늬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battarrae (Boud) Bon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중형. 둥근산형∼평평한 형, 중앙에 둔한 돌출, 후에 오목해진다. 황갈색, 회갈색∼올리브갈색. 우산버섯 비슷하나 색깔이 진하고 가장자리 줄무늬가 심하다.
    자실체 : 갓은 폭 7∼10(12)cm의 중형. 어릴 때는 원추형이나 곧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고, 후에 중앙에 둔한 돌출이 생기고 가운데가 오목해 진다. 표면은 평활, 방사상으로 미세한 눌려 붙은 섬유가 있다. 황갈색, 회갈색∼올리브갈색. 줄무늬가 갓의 1/3 정도까지 생기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다소 연하고 둔하다. 살은 백색, 중앙은 두껍고 가장자리는 얇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허연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날 쪽으로는 갈색을 띤다.
    대는 길이10∼13cm(굵기 1∼1.2cm), 원주형, 밑동 쪽으로 점차적으로 굵어진다. 부러지기 쉽고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속이 빈다. 표면은 연한 황토색 바탕에 회갈색∼적갈색 얼룩진 반점이 덮여 있다. 꼭지는 미세한 적갈색 분상, 밑동은 칙칙한 백색의 막질 주머니가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아구형. 평활, 투명, 9.6∼15.3×9.4∼1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갈색, 회갈색∼올리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또는 활엽수 임지 토양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