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질 표면에 불규칙한 형태로 자좌가 퍼진다. 밝은 갈색이나 곧 검은 색. 민혹콩버섯이 개칭됨. 수기가 있거나 또는 없는 나무의 표면에 생긴다. 이 속의 기준종임.
자좌는 수피가 있거나 없는 나무의 표면에 생기며, 수피 위로 돌출되면서 흔히 원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다가 부근의 자좌와 융합되면서 불규칙한 형태로 퍼진다. 처음에는 밝은 갈색이나 곧 검은색이 되고 숙성하면 다소 광택이 있다. 표면에는 미세한 자낭각의 분출공(殼孔)이 돌출된다.
포자는 넓은 타원형∼아구형. 11∼14×7∼10㎛.
자낭은 원주형. 8개의 포자가 있다. 전체 95∼125×9∼12㎛. 대는 15∼30㎛.
밝은 갈색~검은색
연중내내
연중 내내. 참나무류, 너도밤나무 등의 죽은 가지에 난다. 때로는 상처 부위에 침입하여 수목의 해균이 되기도 한다.
Biscogniauxia mediterranea (De Not.) Kuntze > Biscogniauxia mediterranea (De Not.) Kuntze var. mediterranea > Hypoxylon mediterraneum (de Not.) Ces. & De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