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콩꼬투리버섯아강(Xylariomycetidae) > 콩꼬투리버섯목(Xylariales)
- Eutypa maura (Fr.) Sacc. > Eutypa acharii Tul.
- 마른버짐버섯과(Diatrypaceae)
- 마른버짐버섯속(Eutypa)
- 단풍나무 등 수피가 회흑색∼검은색이 되며, 자좌가 회흑색∼흑색으로 넓게 피복한다. 자낭각은 0.3∼0.5mm. 자실체의 내부에 들어 있다. 자실체의 표면을 깎아 보아야 자좌가 들어난다.
- 자실체(자좌)는 껍질이 없는 단풍나무의 가지나 수간에 주로 나며, 너도밤나무에도 난다. 자실체는 자좌(子座)의 집합체로 만들어 진다. 자좌는 넓게 퍼져서 가지나 수간 전면을 피복하기도 한다. 그 표면은 어릴 때 회흑색이나 후에는 흑색이 되고, 미세한 분화구모양의 각공이 점 모양 돌출되나 미세하다. 자좌 자체는 매우 얇은 형태로 피복되면서 수피를 검은색으로 물들이는데, 자낭각은 모두 수피 내부에 형성되고, 그 크기는 0.3∼0.5mm 정도이다. 자실체의 표면을 깎아보면 자좌가 들어나며, 식별이 가능해 진다.
-
포자는 소시지형. 평활, 연한 갈색, 5∼6×1㎛.
자낭은 곤봉형, 8개의 포자가 있고, 불규칙하게 2줄로 들어있거나, 함께 덩어리 모양 뭉쳐져 있다. 55∼70×7∼8㎛. 때로는 작은 것도 있다. 꼭지에 뚜렷한 고리모양이 있다. - 흑색∼검은색
- 봄
- 봄. 껍질이 없는 단풍나무의 가지나 수간에 주로 나며, 너도밤나무에도 발생.
- 한국, 중국, 유럽
- 비식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www.mykologie.net/index.php/houby/podle-morfologie/perithecia/item/660-eutypa-maura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