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산과나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
---|---|
학명 | Gymnopilus luteofolius (Peck) Singer |
과명 | 포도버섯과(Strophariaceae)(독청버섯과 변경) |
속명 | 미치광이버섯속(Gymnopilus) |
특징 | 소형, 표면은 건성이고, 보라빛 붉은색에서 분홍빛 벽돌 붉은색, 작은 비늘이 빽빽하게 또는 희박하게 덮여 있으며, 특히 중앙에 많다. |
자실체 | 갓은 2~6cm; 볼록한 모양에서 넓게 볼록해지고, 넓게 종 모양이거나 거의 평평하고 건조하다 작은 비늘이 빽빽하게 또는 희박하게 덮여 있으며, 특히 중앙에 많다 어릴 때는 보라빛 붉은색에서 분홍빛 벽돌 붉은색이지만 점차 분홍빛이나 황색(또는 색상이 다소 얼룩덜룩함)으로 나중에는 갈색 주황색이나 황갈색으로 변한다. 때때로 곳곳에 청록색 얼룩지고 가장자리에는 줄무늬는 없다, 주름살은 어릴 때 황금빛 노란색에서 녹슨 색으로 변해가고, 자루에 바르게 붙은 모양에서 약간 내려붙은 모양이 되며, 주름살 간격은 약간 촘촘하다. 대는 길길이 3~6cm; 두께 3~6mm; 거의 동일하거나 때로는 약간 부풀어 오른 기부가 있음; 자주빛 분홍색에서 주황색에서 갈색으로 변하는 섬유질이다 턱받이는 불분명한 섬유질의 고리모양으로 자루 위쪽에 달려 있다. |
포자 | 포자는 크기 5.5~8×3.5~4.5㎛이다. 타원형이며, 표면은 가는 사마귀로 덮여 있고, KOH용액에 오렌지 갈색으로 변색되며, 포자무늬는 녹슨 색이다. |
색상 | 보라빛 붉은색, 분홍빛 벽돌 붉은색 |
발생계절 | 여름~가을 |
발생형태 | 주로 침엽수, 드물게 활엽수의 죽은 줄기, 가지, 그루터기, 나무 조각 더미 위에 무리를 이루어 나거나 흩어져 난다. |
분포 | 한국, 일본, 남아시아, 유럽, 북아메라카, 남아메리카, 호주, 뉴질랜즈, 남아프리카 등 주로북아메리키에 분포 |
식용여부 | 식독불명 |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석순자 등(유기범, 진용주, 김동익, 김완규). 2016. 채소 온실에서 발생한 버섯의 동정 및 특성. 한국균학회지. 44(3): 127-131 https://www.mushroomexpert.com/gymnopilus_luteofolius.html |
출처 : 산과나무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