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09 10:44

주름찻잔버섯

조회 수 27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Cyathus striatus (Huds.) Willd.
과명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주름찻잔버섯속(Cyathus)
특징 폭 5∼8mm. 팽이모양, 황갈색 털이 덮였다가 위가 열리면서 소피자가 노출. 내벽은 세로로 주름 잡혀 있다. 어릴 때는 다소 길쭉한 형태이다.
자실체 자실체는 팽이모양∼거꾸로 된 원추형, 각피는 3층으로 되어 있어서 외피는 황갈색∼암갈색의 거친 털로 덮여 있으며, 성숙하면 점차 머리 부분이 벌어지면서 머리 부분의 흰색의 내피가 들어났다가 이 내피도 탈락하고 내부의 알 모양의 소피자가 들어난다. 자실체는 높이 5∼12mm, 지름 5∼8mm 정도. 각피의 내벽 표면은 연한 회색, 흑색 등 다양하다. 광택이 있고 세로로 홈이 파여져 있는 특징이 있다.
소피자는 회색, 갈색∼흑갈색. 지름은 1∼2mm, 소피자 끈으로 내벽에 부착되어 있다.
포자 포자는 타원형∼도토리모양. 평활, 투명, 벽이 두껍다. 17∼18×7∼8.5㎛.
색상 황갈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가을. 유기질이 많은 지상의 죽은 잔가지, 굵은 가지, 그루터기 껍질 등에 난다.
분포 전 세계적
식용여부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Cyathus striatus.jpg

 

사진출처 : http://kalipso-mushroomsandtoadstools.blogspot.kr/2010/10/cyathus-striatus.html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황색주머니우산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rocea (Quél.) Sing. > Amanita vaginata var. crocea (Quél.) Gilb.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오렌지 황색∼오렌지 황토색, 대는 연한 색, 대 표면에 거스름 모양 털이 많이 생긴다. 지역에 따라 색깔 차이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4∼10(12)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원추형이다가 후에 둥근산형, 평평한 형이 되고 중앙이 오목해 진다. 표면은 오렌지 황색∼오렌지 황토색, 중앙이 다소 진하다. 가장자리에 미세한 홈선이 생긴다. 살은 백색. 표피 아래는 약간 오렌지색을 띤다. 식용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유사한 독버섯과 혼동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주름살은 백색. 폭이 약간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치붙음 또는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10∼15cm(굵기10∼20mm), 갓과 같은 색이거나 다소 연하며 표면에 거스름 모양의 미세한 털이 많이 생긴다. 밑동은 굵어지지 않고 갓 색깔을 약간 띤 백색의 큰 덮게막에 들어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9∼12㎛. 포자문 허연색.
    색상 : 오렌지황색∼오렌지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자작나무 등 활엽수 임내 토양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애광대버섯(흰애광대버섯, 갈색애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itrina Pers. > Amanita citrina (Schaeff.) Pers. var. citrina > Amanita citrina var. alba (Gill.) Rea > Amanita citrina var. grisea (Hongo) Hongo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소형∼중형. 레몬(cỉtrinus) 버섯. 갓은 레몬 색, 표면에 황갈색 외피막 잔존물이 붙어 있다. 대에 담황갈색 막질 고리가 있고 밑동은 공 모양 구근상. 흰애광대버섯과 갈색애광대버섯은 동일종으로 포함되었고, 색깔의 변화가 큰 편이다.
    자실체 : 갓은 폭 3∼8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유황색, 레몬색, 갈색을 띤 황색 등이며 흔히 탁한 황색, 탁한 백색 또는 연한 회색으로 퇴색된다. 표면에 불규칙한 황색∼황갈색 외피막 잔존물이 붙어 있다. 독버섯.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5∼12cm(굵기0.5∼1.2cm), 다소 가늘며 위쪽으로 가늘다. 표면은 백색∼연한 황색. 밑동은 공모양의 구근상이다. 대의 위쪽에는 담황색 막질의 고
    리가 있고 밑동에는 외피막이 유착되어 탁한 백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평활, 투명, 8∼10.4×7∼8.8㎛.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유황색, 레몬색, 갈색을 띤 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서 발생. 흔하다.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분포 : 북반구 온대지역, 호주.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흰오뚜기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astanopsidis Hongo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자실체 : 갓은 폭 3.5∼7.5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지며 표면은 백색. 원추형∼각추형의 알갱이 모양 사마귀가 밀집되어 피복된다. 가장자리 끝에는 외피막의 잔재물이 붙기도 한다. 사마귀는 중심부는 대부분 크고 가장자리는 소형이다. 사마귀는 백색이거나 다소 회색∼갈색을 띤다. 살은 백색. 속이 차 있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폭이 넓으며, 다소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이지만 주름살의 안쪽 끝은 다소 내리붙음.
    대는 길이7∼8cm(굵기1∼1.5cm), 백색. 표면은 점 모양 또는 분상의 회색∼갈색 물질이 피복되어 있다. 밑동은 방추형으로 현저히 굵다.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 8.5∼12×5.5∼7㎛.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임지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민달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caesarea (Scop.) Pers.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갓은 선명한 오렌지색, 가장자리에 미세한 줄금이 있다. 대는 황색, 막질의 황색 고리가 있다. 식용이지만 개나리광대버섯 등 비슷한 독버섯이 있어 피해야 한다.
    자실체 : 갓은 폭 6∼18cm의 중형∼대형. 처음에는 달걀모양이거나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으로 퍼진다. 선명한 오렌지적색. 오래되면 다소 퇴색하거나 황색 끼가 많아진다. 표면은 평활, 약간 점성이 있다. 가장자리에는 미세한 줄금이 있다. 살은 허연색. 표피층 밑은 황색 끼를 띤다. 식용.
    주름살은 황색. 촘촘하고 대에 떨어진 붙음, 어떤 것은 홈붙음.
    대는 길이5∼12cm(굵기 7(9)∼25mm), 황색. 큰 막질의 황색 고리가 부착되어 있다. 밑동 쪽으로 다소 굵으며 백색의 큰 주머니가 피복하고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8.4∼11×6.1∼7.9㎛.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선명한 오렌지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활엽수임지, 특히 참나무류 임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5. 긴독우산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bisporigera Atk.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백색, 대가 가늘고 길며 위쪽에 백색 늘어진 막질 고리가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3∼10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오목한 형이 된다. 백색, 때때로 중앙에 갈색 끼가 있다. 표면은 평활하고 습할 때 다소 점성이 있다. 살은 백색. 맹독성이어서 잘못 먹으면 사망.
    주름살은 백색. 대에 치붙음 또는 떨어진 붙음. 촘촘하다.
    대는 길이6∼14cm(굵기 5∼18mm), 가늘고 길다. 속이 차 있고 위쪽으로 가늘다. 백색, 표면은 흔히 미세한 솜털이 있고 밑동에는 다소 부풀어 있거나 작은 공 모양 부풀어 있고 백색 대주머니가 있다. 대의 꼭지 가까이 백색 막질 고리가 늘어져 있거나 눌려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아밀로이드. 7.8∼9.6×7∼9㎛.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또는 침엽수 임지에 단생하거나 때로는 균환을 만들기도 한다.
    분포 : 한국, 미국.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6. 백황색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alboflavescens Hongo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백색이다가 황색이 되는(alboflavẻscens) 버섯. 갓은 백색, 분상이다가 연한 황색이 된다. 점모양 또는 막질의 허연색 외피막 파편 부착. 밑동은 방추형.
    자실체 : 갓은 폭 4∼6.5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진다. 표면은 분상이고 거의 백색이다가 후에 연한 황색이 된다. 허연색∼황색의 점 모양 또는 막질의 크고 작은 외피막 파면이 부착된다. 가장자리 끝에는 외피막의 일부가 붙어 있기도 한다. 살은 백색. 상처를 받으면 강한 오렌지황색으로 변한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허연색이나 크림색. 상처를 받으면 황색으로 변한다. 날 부분은 분상이다.
    대는 길이5∼7cm(굵기8mm), 밑동은 방추형∼도란형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이다. 점모양의 작은 인편이 덮여 있고 꼭지 부분은 분상이다. 속이 차 있다. 고리는 막질인데 떨어지기 쉽다. 외피막은 대부분 대의 팽대부에 유착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 8∼12×4.5∼6.5㎛.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에 참나무류 임지의 나무 밑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7. 양파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abrupta Peck > Amanita sphaerobulbosa Hongo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소형∼중형. 심하게 돌출된(abruptus) 밑동을 가진 버섯. 갓은 백색, 작은 알갱이 모양 사마귀가 무수히 부착된다. 대의 밑동은 구형으로 돌출된 특징이 있다.
    자실체 : 갓은 폭 3∼7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거의 평형하게 퍼진다. 표면은 백색. 때에 따라서는 다소 연한 갈색을 띠는 것도 있다. 작은 알갱이 모양의 사마귀들이 다수 부착되어 있고 탈락하기 쉽다. 어릴 때는 가장자리에 피막의 파면 잔재물이 붙어 있기도 한다. 살은 백색. 펜친산 등 독성물질을 함유한 독버섯.
    주름살는 백색. 폭이 넓으며 촘촘하고 날 부분은 분상, 대에 떨어진 붙음.
    대는 길이8∼14cm(굵기6∼8mm), 백색, 밑동은 구형 또는 구근상으로 심하게 돌출, 팽대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아구형. 평활, 7∼8.5㎛.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에 참나무류와 혼합된 혼효림의 지상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맹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8. 새둥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Nidula niveotomentosa (Henn.) Lloyd > Nidularia niveotomentosa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새둥지버섯속(Nidula)
    특징 : 폭 4∼8mm. 어릴 때는 흰색 털이 덮여있고, 성숙하면 소주잔 모양, 상단에 털이 밀생하며, 황갈색∼적갈색 소피자가 들어난다.
    자실체 : 자실체는 어릴 때 흰색의 털이 덮여 있고 아구형이나 성숙하면 위쪽이 열리면서 소주잔 모양으로 바닥이 다소 좁은 형태가 된다. 폭 4∼8mm, 높이 5∼10mm 정도. 각피는 1층, 내측은 평활, 담갈색. 광택이 있다.
    소피자는 황갈색∼적갈색의 바둑돌 모양이고 직경은 0.5∼0.8mm로 작은 편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벽이 두껍다. 6∼9×4∼6㎛.
    색상 : 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부후목 껍질, 썩은 가지, 썩은 막대기 등에 군생
    분포 : 전 세계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9. 주름찻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athus striatus (Huds.) Willd.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주름찻잔버섯속(Cyathus)
    특징 : 폭 5∼8mm. 팽이모양, 황갈색 털이 덮였다가 위가 열리면서 소피자가 노출. 내벽은 세로로 주름 잡혀 있다. 어릴 때는 다소 길쭉한 형태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팽이모양∼거꾸로 된 원추형, 각피는 3층으로 되어 있어서 외피는 황갈색∼암갈색의 거친 털로 덮여 있으며, 성숙하면 점차 머리 부분이 벌어지면서 머리 부분의 흰색의 내피가 들어났다가 이 내피도 탈락하고 내부의 알 모양의 소피자가 들어난다. 자실체는 높이 5∼12mm, 지름 5∼8mm 정도. 각피의 내벽 표면은 연한 회색, 흑색 등 다양하다. 광택이 있고 세로로 홈이 파여져 있는 특징이 있다.
    소피자는 회색, 갈색∼흑갈색. 지름은 1∼2mm, 소피자 끈으로 내벽에 부착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도토리모양. 평활, 투명, 벽이 두껍다. 17∼18×7∼8.5㎛.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유기질이 많은 지상의 죽은 잔가지, 굵은 가지, 그루터기 껍질 등에 난다.
    분포 : 전 세계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0. 좀주름찻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yathus stercoreus (Schw.) De Toni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주름찻잔버섯속(Cyathus)
    특징 : 폭 4∼6mm. 역원추형 컵 모양, 외피는 황갈색 거친 털이 밀생. 민둥한 각피 내측에 오백색∼흑색의 소피자가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거꾸로 된 원추형의 컵 모양 또는 깔때기 모양. 폭 4∼6mm, 높이 5∼10mm 정도. 어릴 때는 외피에 쌓여 있으나, 성숙하면 머리 부분이 벌어지고, 막질 내피가 덮였다가 탈락된다. 때로는 별 모양으로 찢어지기도 한다.
    각피는 3층인데 외피는 황갈색∼갈색의 거친 털이 밀생하고, 중피(中皮)는 가죽질, 다갈색∼흑갈색. 성숙하면 탈락한다. 내피는 백회색. 평활하다.
    소피자는 오백색∼흑색의 직경 1∼2mm, 렌즈모양, 은색의 각피의 내측에 접착되어 있다. 각피의 내측에 주름은 없다. 소피자는 보통 30∼35개가 내벽에 부착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평활, 투명, 벽이 두껍고, 내부에 알갱이가 들어있다. 18∼23×15∼20㎛.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초여름∼가을. 퇴비, 썩은 돗자리, 왕겨, 잔가지 등에 군생.
    분포 : 전 세계.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1. 찻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rucibulum laeve (Huds.) Kambly > Crucibulum vulgare Tul. & C. Tul.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찻잔버섯속(Crucibulum)
    특징 : 폭 4∼8mm.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찻잔모양, 황색∼황토색의 겉껍질 위쪽 탈락, 내부는 크림색∼황토색 등. 안에 소피자가 있고 크림색. 소피자는 끈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어릴 때 구형 또는 난형, 후에 아래가 좁고 위가 넓은 찻잔 모양이 된다. 폭 4∼8mm, 높이 5∼10mm 정도. 어릴 때는 황색∼황토색의 쌀겨모양 털이 덮여 있으나, 겉껍질의 윗 부분이 탈락되고, 후에 갈색∼흑갈색이 된다. 찻잔 내부는 민둥하며 크림색∼황토색을 띤다.
    겉껍질(epiphragm)은 내외 두 층으로 되어 있으며 자랄 때는 찻잔을 덮고 있는데, 자실체가 성숙하게 되면 먼저 바깥층이 탈락하며 백색의 내층만 남게 되었다가 이것도 곧 탈락하게 된다. 그 속에는 알과 같은 소피자가 들어있다.
    소피자(peridioles)는 크림색, 크기 1∼1.5mm의 알갱이 모양, 이들의 소피자는 각기 끈과 같은 실에 연결되어 있다. 후에 소피자가 터지면서 포자가 비산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7∼10×3.5∼5㎛.
    색상 : 황색∼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숲속, 오솔길 등에서 나뭇가지나 풀줄기 또는 부후목 등에 줄지어 총생.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유럽, 북미, 중미, 호주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너도말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coperdon umbrinum Pers.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말불버섯속(Lycoperdon)
    특징 : 소형. 자실체는 구형∼서양배 모양. 짧은 갈색∼암갈색 가시 밀생. 외피가 탈락한 내피는 황토색. 색깔 및 형태 변화가 크다.
    자실체 : 자실체는 구형, 눌린 아구형 또는 서양 배 모양이며, 지름 3∼6cm. 기부는 대 모양, 겹쳐진 모양 또는 흔적모양 된다. 외피에는 짧은 갈색∼암갈색의 가시가 밀생되어 있다. 내피는 허연색이다가 황색 끼를 띠며 반투명인데 외피가 탈락하면 평활, 황토색을 띤다.
    기본체(살)은 흰색이다가 올리브황색∼황갈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구형이면서 표면에 사마귀가 덮여 있다. 황색, 4.5∼5.5㎛.
    색상 : 갈색∼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고산지대 가문비나무 등 침엽수 임지의 낙엽층이나 임내 지상 또는 산화적지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3. 살색가시말불버섯(살색가시말불버섯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coperdon subincarnatum Peck > Morganella subincarnata (Pk.) Kreisel & Dring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말불버섯속(Lycoperdon)
    특징 : 극소형∼소형. 둥근 모양∼서양 배 모양. 표면에는 계피갈색∼갈색의 점상 비늘 피복. 속이 달라져서 “살색가시말불버섯아재비”의 아재비 생략 개칭.
    자실체 : 자실체는 1∼3cm의 극소형∼소형. 둥근 모양∼서양 배 모양. 표면에는 계피갈색∼갈색 (또는 자색 끼를 띤 갈색)의 점상 비늘 또는 얕은 가시모양 물질이 피복된다. 성숙하면 점상 물질이 탈락되어 얕은 구멍 모양이 남기도 한다. 밑동에는 백색의 균사속이 있는 것도 있다. 지역에 따라 색깔 차이가 있다.
    기본체(살)는 처음에는 백색, 후에 회백색 또는 갈백색이다가, 포자가 성숙하면 자색 끼를 띤 갈색이 된다. 밑동 부분까지 포자가 생기며, 불염성인 부분이 거의 없다.

    포자 : 포자는 구형. 미세한 반점 같은 가시가 있고 2중 막이며, 끝이 약간 돌출한 것도 있다. 지름 3.5∼4㎛.
    색상 : 계피갈색∼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썩은 나무, 침엽수 임지 내 또는 이끼 사이에 군생
    분포 : 한국,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4. 도토리말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coperdon rimulatum Peck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말불버섯속(Lycoperdon)
    특징 : 폭 3cm 이하.
    자실체 : 자실체는 지름 2∼3, 높이 2∼3.7(5)cm. 아구형∼편평상 아구형이고 아래 부분에 세로로 줄금이 있고, 급격히 좁아지며 가늘어지고, 백색 균사속이 있다. 초기에는 담회색이나 생장하면서 엷은 회갈색∼회색 바탕에 적갈색을 띤다. 초기에는 표면이 평활하나 성장하면서 미세한 돌기와 미세한 조직으로 갈라지고, 불규칙하며, 불완전한 미세 인편 또는 섬유상 과립이 있다. 내피막은 평활하고 갈회색을 띤다.
    기본체(살)는 초기에는 백색이나 점차 담황색∼담회색, 자회색으로 되고, 포자가 성숙되면 녹갈색 또는 초콜릿 갈색으로 된다. 무성기부는 아주 작고 밑동에만 보이며, 어린 시기에 세로로 자르면 물방울이 맺힌다.

    포자 : 포자는 구형. 침상돌기가 덮여 있다. 지름 5.5∼6.8㎛.
    색상 : 회갈색∼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룸~가을 임도에 산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5. 경단말불버섯(경단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coperdon radicatum Dur. & Mont. > Bovistella radicata (Dur. & Mont.) Pat.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말불버섯속(Lycoperdon)
    특징 : 소형∼중형. 구형, 백색∼쥐색∼갈색. 분상 또는 사마귀 모양의 분상물질이 피복되어 있으나 탈락하고 내피가 남는다. 경단버섯을 속이 바뀌어서 개칭.
    자실체 : 자실체는 구형∼도란형(倒卵形)이고 3∼10(14)cm의 소형∼중형. 아래쪽은 흔히 세로로 주름이 져 있고, 밑동에는 끈 모양의 균사속이 있다. 처음에는 백색이나 점차 쥐색∼갈색이 된다. 외피막 표면에 분상 또는 작은 사마귀 모양의 분상물질이 피복되어 있고, 이 분상물질은 후에 탈락해서 없어지고 내피가 들어난다. 내피는 평활, 광택이 있다. 담갈색 또는 황갈색을 띤다.
    기본체(살) 내부는 육질이고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점차 갈색으로 되고, 위쪽에 구멍이 생겨 포자가 비산된다.

    포자 : 포자는 넓은 난형. 평활, 4.3∼5.2×3.5∼4.5㎛.
    색상 : 백색∼쥐색∼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개활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6. 좀말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coperdon pyriforme Schaeff.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말불버섯속(Lycoperdon)
    특징 : 극소형∼소형. 짧은 서양 배 모양. 머리는 구형, 외피에 가시가 없고, 가루모양∼쌀겨 모양 또는 미세한 사마귀 모양. 대는 짧은 원추형, 허연색∼황갈색. 목재에 난다.
    자실체 : 자실체는 지름 1.5∼4cm, 높이 2∼5cm 정도. 짧은 서양 배 모양, 언뜻 구형으로도 보인다. 머리 부분은 구형에 가깝고 말불버섯과 달리 가시모양이 없고 쌀겨모양, 가루모양, 드물게는 미세한 사마귀모양으로 붙어있다. 쉽게 탈락한다. 외피는 처음에는 허연색이나 후에 황갈색∼회갈색이 된다. 성숙하면 갈색의 매끄러운 종이장 모양의 내피가 남는다. 대는 원추형이고 밑동에는 현저하게 균사속이 붙어 있다.
    기본체(살)은 흰색이다가 황갈색∼올리브갈색의 분상체로 된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갈색, 벽이 두껍다. 3.5∼5.5㎛.
    색상 : 허연색∼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부후목에 군생하며, 지상이나 낙엽층에 나는 경우에도 균사가 부후목과 연계된다.
    분포 : 전 세계적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7. 목장말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coperdon pratense Pers. > Lycoperdon hiemale Bull.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말불버섯속(Lycoperdon)
    특징 : 3cm 이하. 구형∼편구형 또는 서양배 모양. 백색∼ 황갈색. 표면에 백색∼담갈색 털이나 분상 물질이 있으나 비가 오거나 성숙하면 탈락. 형태는 다소 다양.
    자실체 : 자실체는 폭 1∼3cm, 구형∼편구형이고, 무성기부가 있을 경우에는 서양 배 모양이다. 처음에는 백색이다가 황갈색이 된다. 외피는 어릴 때 알갱이 모양, 쌀겨모양 또는 미세한 집합된 털모양 등이지만, 비가 온 후에는 빗물에 거의 씻겨 나가서 평활해 지며, 성숙하면 탈락한다. 내피는 얇고 평활한 종이장 모양이며, 광택이 있다. 꼭지에 작은 구멍이 생긴 후 점차 크게 찢어지며, 포자가 비산된다.
    기본체(살)은 올리브갈색∼황갈색의 분상 포자덩어리로 된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연한 갈색, 미세한 사마귀가 반점 모양 덮여 있다. 벽이 두껍고 방울이 있다. 3.5∼4.5×3.5∼4㎛.
    색상 : 백색∼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잔디밭, 초지, 임지주변에 군생 또는 단생. 비교적 흔한 편.
    분포 : 한국, 일본 및 세계 각지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8. 말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coperdon perlatum Pers. > Lycoperdon gemmatum Batsch.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말불버섯속(Lycoperdon)
    특징 : 소형. 서양 배 모양. 백색∼황갈색, 머리에 원추상 작은 가시나 혹이 덮여 있다. 측면은 알갱이 모양. 내피에 그물눈 흔적이 남고, 꼭지 부분에 구멍이 생긴다.
    자실체 : 자실체는 서양 배 모양이고 지름 2∼5cm, 높이 3∼6(8)cm. 머리는 구형∼유구형이고 꼭지는 낮게 돌출되어 있다. 하부에는 무성기부의 대가 있다. 어릴 때는 흰색인데 점차 황갈색이 된다. 외피의 머리 위쪽에 크고 작은 원추상의 가시나 미세한 혹이 덮여 있다(흔히 머리부의 가운데가 진한 색이다). 측면이나 대에는 알갱이 모양∼사마귀모양 분상물질이 붙는다. 가시는 점차 적갈색∼암갈색이 되어 탈락된다. 내피에 뚜렷한 그물눈 모양의 흔적이 남는다. 내피의 꼭지 부분에서 구멍이 생겨 포자가 비산된다.
    기본체(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나 점차 올리브갈색이 되고 나중에는 암갈색의 분상 포자 덩어리가 된다. 무성기부는 담갈색이 되고 스펀지 모양이며, 그 구멍은 1mm 정도이다.

    포자 : 포자는 구형. 미세하게 사마귀가 덮여 있다. 갈색, 벽이 두껍다. 지름 3.5∼4.5㎛.
    색상 : 흰색,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지나 초지에 군생. 매우 흔하다.
    분포 : 전 세계적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악취말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coperdon nigrescens Wahl. > Lycoperdon foetidum Bonord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말불버섯속(Lycoperdon)
    특징 : 소형. 공 모양의 머리와 짧은 대가 있다. 표면에 갈색 털 밀생, 탈락하면 그물눈 모양이 되는 특징이 있다. 색깔과 형태변화가 커서 혼동되기 쉬운 버섯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폭 2∼5cm, 구형∼서양 배 모양이지만, 구형에 가까운 것이 많고 흔히 짧은 대가 있다. 외피 표면에는 담갈색∼암갈색의 짧은 가시모양 털이 밀생하는데, 몇 개의 가시 끝부분이 모여서 원추형 모양을 이룬다. 가시 사이의 외피 표면은 평활, 담갈∼암갈색. 가시가 떨어져 나간 부분은 그물눈 모양이 되는데, 크림색∼갈색을 띤다.
    기본체(살)은 어릴 때 백색이나 후에는 올리브갈색을 띤다. 어린 자실체의 불쾌한 냄새가 나는 특징이 있다. 밑동에는 균사속이 뿌리모양 퍼져서 부식이나 토양에 결착하고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미세한 침이 반점모양으로 나 있으나 거의 평활, 갈색, 방울이 있다. 지름 3∼4㎛. 포자문 초콜릿갈색.
    색상 : 담갈색∼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또는 활엽수 임내 지상, 고산지대 초지 등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0. 이끼말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ycoperdon muscorum Morgan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말불버섯속(Lycoperdon)
    특징 : 자실체는 말불버섯 모양이나 작고, 이끼가 많은 곳에 난다.
    자실체 : 자실체는 말불버섯 모양이나 이끼가 많은 곳에 나고 크기가 작다(머리 폭 2∼3cm, 높이 2∼5cm).
    포자 : 포자는 구형, 지름 4∼4.5㎛. 미세한 침이 반점모양으로 나 있다.
    색상 :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이끼가 많은 곳에 이끼 사이에 난다.
    분포 : 한국, 미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