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말뚝버섯목(Phallales)
- Phallus echinovolvatus (Zang, Zheng & Hu) Kreisel > Dictyophora echinovolvata Zang, Zheng & Hu.
- 말뚝버섯과(Phallaceae)
- 말뚝버섯속(Phallus)
-
소형. 알 모양에서 후에 망태말뚝버섯 모양, 망태는 흰색이며, 망태버섯보다 촘촘하다. 점액은 악취 대신 밤꽃 냄새가 난다. 흰돌기망태버섯을 속이 달라져 개칭.
이 버섯은 우리나라에서 자연 채취된 기록은 없다. 다만 농촌진흥청에서 보관균주를 배양하여 자실체를 발생시킴 -
자실체는 어릴 때 지름 3.5∼5.5cm 크기의 구형∼알 모양 이며, 초기에 각피 표면 유연한 백색이고 침상돌기로 싸여 있으나, 성숙하면 이 균사돌기가 없어지고 연한 갈색을 띤다. 어린 균을 잘라보면 내부에 머리와 대, 망태가 될 부분이 들어있다. 자라면서 각피가 찢어지면서 머리, 대, 망태 부분이 돌출되고 알 모양의 부분은 주머니 모양이 된다. 망태말뚝버섯보다 망태의 모양이 촘촘하다.
머리 부분은 종모양이며 꼭지 부분이 절두형(截頭形)이다. 높이 3∼5cm, 아래쪽의 폭 3∼5cm. 정도. 머리의 표면은 불규칙한 그물눈 모양으로 낮게 돌출되며, 암녹색의 점액이 피복된다. 점액은 망태버섯의 비린내 비슷한 악취와 달리 짙은 밤꽃냄새가 나며, 포자의 집합체인데, 이 악취에 의해서 파리 등 곤충이 쉽게 모여들어 빨아먹게 되면 점액의 포자가 없어져서 흰 바탕이 들어나게 된다. 머리의 하단부와 대 사이에서 그물눈 모양의 망태부분이 위쪽은 좁고 아래쪽은 넓게 망토모양 길게 늘어진다. 흰색.
대는 높이 18∼24cm, 폭 1.5∼3cm 정도. 백색. 대의 살은 다공질이며 연약하다. - 흰색
- 여름
- PBA배지 상에서 배양실험.
- 한국, 중국.
- 식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www.koreamushroom.kr/bbs/board.php?bo_table=mushroom_data&wr_id=1780
"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