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분류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Cordyceps formicarum Kobay.
과명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높이 3∼5cm, 폭 2∼4mm. 실 모양 대가 연결, 오렌지 황색. 개미에 난다. 개미콩나물동충하초라고도 하였음.
자실체 자실체(자좌)는 땅 속 또는 나무속의 개미 몸체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가 흔히 생기지만, 때로는 2∼4개까지 생긴다. 높이 3∼5cm.
결실부(머리)는 꼭지 부근에 작게 형성되며, 둔한 원추형∼둥근산형. 결실부는 크기 2∼4mm 정도. 연한 오렌지 황색. 자낭각은 미세한 점상 알갱이로 돌출되며, 다소 진하다.
대는 머리 아래쪽에 가는 실 모양의 원주형, 지름 1mm 정도, 대의 중간에 실이 꼬인 모양처럼 비틀려지기도 한다. 기주에 직접 붙는다.
포자 포자는 2차 포자, 가는 방추형. 9.8∼10.5×1.5㎛.
색상 오렌지 황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초가을. 아왜나무 등 각종 상록활엽수나 기타 활엽수 또는 침엽수 임지나 목재에서 죽은 개미의 몸체에 발생.
분포 한국, 일본, 대만.
식용여부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20020505marumi2.jpg

 

사진출처 : http://shimada.air-nifty.com/.shared/image.html?/photos/uncategorized/2008/06/28/20020505marumi2.jpg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매미좁쌀동충하초(칸사스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kanzashian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2∼2.5cm. 대의 상부가 여러 개 분지, 끝에 구형 머리 형성, 담황색, 점 모양 자낭각 돌출. 대는 담갈색. 칸자시동충하초가 식별 용이토록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들어 있는 매미 류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발생. 지상부는 2∼2.5cm.
    결실부(머리)는 대의 상부가 2∼3개 또는 여러 가닥으로 갈라지면서 각 가지의 끝마다 머리가 형성된다. 구형 또는 난형이고, 폭 2.2∼3mm. 돌출형(裸生形)의 자낭각이 점 모양 미세하게 돌출된다. 바탕색은 담황색, 자낭각은 진한 색.
    대는 불규칙하게 찌그러진 원주형으로 직경 2∼3.3mm. 담갈색. 섬유육질이고 지중에 뭍힌 부분이 다소 굵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3.5×1㎛.
    색상 : 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구실잣밤나무, 가시나무류 등 각종 상록활엽수 임지 내 토양에 묻힌 매미 류 번데기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가는유충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gracilioides Kobay.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3∼5cm. 머리는 구형∼타원형. 대는 원주형, 담황갈색∼담갈색. 딱정벌레 유충에서 난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 또는 썩은 나무 속에 들어있는 딱정벌레 류(鞘翅目) 애벌레 몸체에서 나온다. 높이는 3∼5(9)cm. 구형∼타원형의 머리와 긴 대로 형성된다.
    결실부(머리)는 선단에 형성되고 지름 5∼6mm, 담황갈색∼보라색 끼가 있는 담갈색, 자낭각은 머리에 매몰되어 있고 진한 색의 각공이 미세한 점 모양 밀포되어 있다.
    대는 원주형이고 지름 3mm 정도. 매끈한 모양이며 머리보다 연한 색. 밑동은 기주에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6.3∼8.5×1.2∼1.5㎛.
    색상 : 담황갈색∼담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참나무류, 음나무, 단풍나무류 등의 활엽수 임지나 침엽수가 혼재된 임지의 땅속 또는 썩은 나무 속 딱정벌레 류 애벌레 몸체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애벌레동충하초(큰유충방망이동충하초, 유충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kyushuensis Kobay.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머리는 곤봉모양. 오렌지 황색∼황갈색. 동충하초와 흡사하나, 나방류 유충에서 나온다. 큰유충방망이동충하초가 개칭됨. 번데기에서 나오지 않고, 애벌레에서 나오지만, 동충하초와 흡사하기 때문에 애벌레동충하초로 개칭.
    <참고>
    1. 이 버섯은 D. Shimizu(淸水)의 冬虫夏草圖鑑에 일본과 대만에서 극히 드물게 발견되었던 버섯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그림이 없었다. 성재모의 한국의 동충하초에 그림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 그림은 나방류(인시목) 애벌레에서 나는 동충하초(C. militaris)와 거의 흡사한 버섯 그림이 제시되어 있다. 원래 동충하초(C. militaris)는 번데기 뿐 아니라 애벌레에서도 나오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유충(애벌레)에서 나는 동충하초는 C. militaris와 구분되어 유충동충하초로 분류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 indexfungorum에서는 C. kyushuensis Kobay.가 등재되어 있지 않고, C. kyusyuensis Kawam.만 별도로 등재되어 있다. 이 C. kyusyuensis는 상단 결실부에 흑색 가는 점모양의 자낭각(자낭과)가 밀포되어 있고, 가늘고 긴 형태이어서 색깔, 형태가 다른 버섯이다. 이 버섯은 검토가 필요하다.
    2. 육안적으로는 이 버섯과 동충하초의 구분이 어려워 보이며, 애벌레(유충)에서 나오는 점 만이 다른 것으로 보인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 또는 부후목에 들어있는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여러 개가 발생된다. 전체 높이 2∼5cm.
    결실부(머리)는 상단에 생기고 가는 곤봉모양이거나, 약간 굵어져서 타원형 또는 원통형인데, 오렌지 황색, 건조하면 황갈색. 자낭각(자낭과)는 반 돌출형이며 미세하게 점 모양 돌출되어 피복된다.
    대는 원주형, 황색, 길이 1∼4cm, 직경 1.5∼3mm.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4∼5×1㎛.
    색상 : 오렌지 황색∼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활엽수 임지의 토양이나 부후목의 나방 류(나비목) 애벌레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노랑방망이동충하초(번데기노랑방망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geniculat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7∼25mm. 길게 담황색 대가 뻗고 머리가 약간 굵어지며 위쪽에 오렌지황색 자낭각이 드문드문 붙는다. 번데기노랑방망이동충하초의 이름이 길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부후목에 들어있는 갑충의 애벌레 또는 번데기 몸체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개가 생긴다. 부후목 상에 높이 7∼25mm, 지름 0.5mm 정도로 나온다. 국수버섯 형.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기고 밑의 대와 큰 차이가 없거나 약간 굵어지는 정도이며, 자낭각이 드문드문하게 알갱이 모양으로 붙는다. 상부는 담황색, 하부는 다소 진하다. 자낭각은 오렌지 황색.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5∼6×1㎛.
    색상 : 오렌지황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서어나무, 마가목, 참나무류 등의 임내 쓰러진 나무속에 들어 있는 갑충의 애벌레 몸체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5. 솔잣버섯(새잣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Neolentinus lepideus (Fr.) Readh. & Ginns > Lentinus lepideus Fr.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솔잣버섯속(Neolentinus)
    특징 : 중형∼대형. 갓은 흰색∼담황토색. 황갈∼암갈색 인편이 부착하기도 한다. 주름살은 흰색, 오래되면 날이 갈라져서 톱날 모양. 잣버섯이 속이 달라져서 개칭됨.
    자실체 : 갓은 5∼15cm 정도의 중형∼대형. 처음에는 갓이 내측으로 강하게 말려 있어서 거의 둥근모양이다가 점점 자라면서 평평하게 퍼지며, 때로는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가기도 한다. 표면은 흰색 또는 담황토색을 띄는데 때때로 황갈∼암갈색의 갈라진 인편이 동심원상으로 부착되기도 한다. 건조할 때는 갓의 중앙 부근에 갈라진 틈이 생겨 흰 살을 들어내기도 한다. 살은 두텁고 백색. 질긴 편. 버섯에서 소나무의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거의 흰색. 오래되면 각각의 주름살이 갈라져서 톱날모양이 되기도 한다. 대에 내리붙음∼홈붙음 약간 성글다.
    대는 2∼8cm(굵기 1∼2cm), 갓과 같은 색인데, 상부에는 세로줄이 있고 표면에는 갈색의 갈라진 인편이 붙는 경우도 있다. 중심생. 대의 육질은 섬유상이고 매우 강인하며 백색이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원주상 타원형. 평활, 투명, 어떤 것은 방울이 들어있다. 7.5∼12.0×3∼4.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흰색∼담황토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늦은 봄∼가을. 소나무 등 침엽수의 자른 가지 밑동이나 용재(用材) 등에 나고, 살아있는 나무의 썩은 부분에서도 한 두 개체 또는 여러 개체가 군생. 비교적 흔하다. 갈색부후를 일으키며, 식용균이나 다소 질기다.
    분포 : 범세계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6. 갈색쥐눈물버섯(갈색먹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prinellus micaceus (Bull.) Vilg, Hopple & Johns. > Coprinus micaceus (Bull.) Fr.(갈색먹물버섯)
    과명 : 눈물버섯과(Psathyrellaceae)
    속명 : 쥐눈물버섯속(Coprinellus)
    특징 : 극소형∼소형. 알갱이(micảceus) 버섯. 황갈색 갓 표면에 어릴 때 알갱이모양의 가루가 피복. 그루터기 등에 흔하게 난다. 갈색먹물버섯이 속이 바뀌어 개칭
    자실체 : 갓은 폭 1∼4cm 정도의 소형. 처음에는 난형이다가 종형∼원추형이 된다. 갓이 퍼지면 가장자리가 다소 주름이 잡힌다. 표면은 연한 황갈색인데 최초에는 가는 알갱이모양의 인피가 피복도어 있지만 곧 탈락하고 평활해 진다.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의 홈선이 있다. 살은 올리브갈색. 어린 균은 식용한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나 곧 흑색이 되고 주름살부분이 액화된다.
    대는 3∼8cm(굵기2∼4mm), 백색,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전면에서는 도토리 모양, 측면에서 보면 배 모양, 평활, 발아공이 있다. 6.5∼9×3.9∼5×4.9∼6.3㎛. 포자문은 흑색.
    색상 : 황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늦봄∼가을 활엽수의 그루터기, 썩은 밑동, 나무가 매몰된 토양 등에 속생 또는 군생. 매우 흔하다.
    분포 : 거의 전 세계.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7. 개미동충하초(개미콩나물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formicarum Kobay.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3∼5cm, 폭 2∼4mm. 실 모양 대가 연결, 오렌지 황색. 개미에 난다. 개미콩나물동충하초라고도 하였음.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 또는 나무속의 개미 몸체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가 흔히 생기지만, 때로는 2∼4개까지 생긴다. 높이 3∼5cm.
    결실부(머리)는 꼭지 부근에 작게 형성되며, 둔한 원추형∼둥근산형. 결실부는 크기 2∼4mm 정도. 연한 오렌지 황색. 자낭각은 미세한 점상 알갱이로 돌출되며, 다소 진하다.
    대는 머리 아래쪽에 가는 실 모양의 원주형, 지름 1mm 정도, 대의 중간에 실이 꼬인 모양처럼 비틀려지기도 한다. 기주에 직접 붙는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가는 방추형. 9.8∼10.5×1.5㎛.
    색상 : 오렌지 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아왜나무 등 각종 상록활엽수나 기타 활엽수 또는 침엽수 임지나 목재에서 죽은 개미의 몸체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대만.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8. 파리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discoideocapitat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3∼7mm. 파리 가슴에서 2개가 나온다. 머리는 둥근 모양∼원반 모양. 담황토색. 대는 담갈색. 이 버섯은 후에 파리주발동충하초라고도 하였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파리의 가슴에서 좌우 2개가 나온다. 자실체는 높이 3∼7mm. 머리부와 대로 구분이 된다.
    선단 머리부는 처음에 둥근 모양이다가 원반 모양으로 되며, 높이 2mm, 지름 3∼4mm 정도. 담황토색. 위쪽 표면에 많은 자낭각이 유방과 젖꼭지 모양으로 돌출된다.
    대는 가늘고 원주형, 위쪽으로 향해서 굵어져 있고 지름 1mm, 정도. 담갈색. 단단한 가죽질이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6∼9×1㎛.
    색상 : 담황토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늦은 봄∼가을. 적설량이 많은 곳의 나무 수간 지제부 굽은 곳, 나뭇가지 아래 부분 등에 붙은 파리 몸체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9. 가지점박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cochlidiicol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3.5∼7cm. 자실체는 긴 대바늘 모양, 담다갈색, 위쪽에 자낭각 돌출. 노랑쐐기나방 고치에 난다. 번데기가지점박이동충하초가 너무 긴 이름이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에 묻힌 노랑쐐기나방의 고치 또는 나비목의 번데기에서 난다. 자실체는 단일 개체이거나 또는 2∼7개가 난다. 긴 대바늘 모양 또는 나뭇가지 모양. 지상부의 높이는 3.5∼7cm, 선단은 뾰족하다. 담회갈색, 직경 0.8∼1.1mm,
    결실부(머리)는 위쪽에 생긴다. 자낭각은 돌출형, 난형 또는 끝이 뾰족한 난형, 담 다갈색.
    대는 결실부와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고 굵기 1mm, 담황갈색. 세로로 줄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8∼9×1-1.5㎛.
    색상 : 담다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가내나무, 계수나무, 칠엽수 등 각종 활엽수 임지 내의 노랑쐐기나방 고치 또는 나비목 번데기에서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0. 빨간머리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coccidiocapitat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3.5∼8cm. 머리는 방추형 아름다운 홍색, 대는 원주형 연한 홍갈색, 땅속 굼벵이 류에서 난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에 묻힌 갑충의 유충에서 발생하여 지상에 난다. 자실체는 1개이거나 도중에 2개로 분지되기도 한다. 지상부의 높이는 3.5∼8cm, 곤봉형.
    결실부는 위쪽에 생긴다. 불규칙한 원통형이나 방추형으로 부풀어 있고, 높이 2∼6cm, 지름 4∼7mm, 정도, 아름다운 홍색, 자낭각은 긴 난형, 결실부 표면에 나생하고, 밀포되어 있다.
    대는 원주형, 지름 2∼5mm, 결실부의 경계는 약간 명료, 탄력이 있는 육질, 연한 홍갈색, 지중부는 지하 부분부터 세근상, 기주에 직결된다. 지중부는 연한 복숭아 색을 띤 황색, 기주에 붙어 있는 부분은 연한 오렌지 황색.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막대형. 4∼5×1㎛.
    색상 : 아름다운 홍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해발이 낮은 구능상의 산기슭 딱총나무, 상산나무, 찔레나무, 등나무, 칡 등의 임내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1. 깍지벌레동충하초(쐐기나방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coccidiicola Kobay.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4∼10mm. 머리는 원통형 백색∼회백색, 대는 백색, 나무줄기에 붙은 깍지벌레 유충에 발생. 쐐기나방동충하초가 쐐기나방과 관련 없고, 혼동 우려 있어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살아 있는 나무줄기에 붙은 대형 깍지벌레의 몸체에서 발생. 자실체는 3∼15개가 발생되며, 수피에 붙은 깍지벌레를 균사가 뒤덮고 그 위에 곤봉모양 머리와 대를 형성한다. 높이는 4∼10mm.
    결실부(머리)는 높이 1.5∼3mm, 지름 1∼2mm 정도. 원통형∼방추형. 백색 또는 회백색. 자낭각은 머리 부에 점상 알갱이 모양으로 노출되며, 연한 분홍색을 띤 회색 또는 담갈색.
    대는 원주상이고 직경 1mm 정도, 흰색 또는 회백색. 기부는 기주에 직결된다. 섬유 육질이다.

    포자 : 포자는 자낭포자, 긴 막대형. 약간 굽어 있다. 75∼95×3∼3.5㎛. 2차포자는 분렬하지 않는다.
    색상 : 백색∼회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공중습도가 높은 물가 또는 산중의 병꽃나무, 아왜나무류, 칠엽수 등 활엽수 수간에 붙은 대형 깍지벌레의 몸체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No Image

    붉은곤봉동충하초(붉은곤봉형동충하초, 번데기붉은곤봉동충하초, 붉은곤봉형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ampullace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6∼8mm. 매우 작다. 머리는 홍색, 고추 모양. 대는 담홍색 원주형, 쐐기나방 또는 나방 류 고치에서 발생. 번데기붉은곤봉동충하초의 이름이 너무 길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서 나오며, 쐐기나방 등의 고치에서 발생. 자실체는 장타원형 또는 고추 모양의 머리와 원주상의 대로 구분되며, 2∼6개가 생긴다. 높이는 6∼8(15)mm. 머리는 홍색, 높이 4∼6mm, 직경 지름 1∼2mm 정도, 머리부에 미세한 침 또는 털 모양이 덮여 있다. 자낭각은 묻힌 형이고 각공(殼孔)이 미세하게 돌출된다.
    대는 원주상이고 지름 1mm 정도. 담홍색. 육질이다.

    포자 : 포자는 자낭포자, 긴 대나무형 격벽이 3∼6개, 23∼30×1㎛. 이것이 2차 포자로 분렬된다.
    색상 : 홍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물참나무, 칠엽수 등의 활엽수 임지의 습기 많은 땅에서 쐐기나방의 단단한 고치 또는 다른 나방 류(나비목)의 고치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3. No Image

    꼬인유충동충하초(벌유충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alboperitheciata Kobay. & Shi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1.3∼2cm. 꼬인 국수모양, 상부에 돌출형 백색 자낭각, 대는 백색∼담황색. 갑충 유충에서 난다. 벌유충동충하초라고 하였으나 벌과 관련 없고, 혼동 우려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부후목 속에서 나며 갑충(甲蟲)의 유충에서 난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4개까지 난다. 부후목 위에 높이 1.3∼2cm. 자실체는 국수버섯 모양 위쪽으로 뾰족해 지는 원주상이다.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기고, 높이 4.5∼6mm, 직경 1∼1.5mm. 결실부의 경계는 불분명하다. 자낭각은 돌출형으로 미세한 팽이 모양∼도토리모양 또는 원추형의 알갱이가 밀생.
    대의 직경은 0.8∼1.2mm, 상반부는 백색이고 하반부는 연한 황갈색. 대에 꼬인 모양으로 굴곡된 요철이 많이 생긴다. 탄력성이 있는 육질인데, 하부는 기주에 직결된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긴 난형. 평활, 투명, 1.5∼2×1㎛.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철. 참나무류나 음나무, 피나무류, 칠엽수 등의 활엽수 임내 쓸어 진 나무에 들어있는 갑충의 유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4. 검은점박이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agriota Kawam.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지상부 3∼4.5cm. 굵은 침 모양, 자낭각은 암갈색 돌출형, 대의 위쪽은 회백색, 아래쪽은 암갈색. 땅속 방아벌레 유충에서 난다. 유충검은점박이동충하초가 개칭됨.
    이 버섯의 학명이 indexfungorum에서 삭제되었는데 이유를 알 수 없어서 잔존시켰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서 난다. 자실체는 1개 또는 2개가 난다. 굵은 침 모양인데 지상부는 높이 3∼4.5cm, 직경 0.5∼1.3mm, 전체 길이는 4∼6(7)cm.
    결실부(머리)는 선단부를 제외한 상반부의 거의 전면에 걸쳐 있다. 자낭각은 돌출형. 대에 난형 또는 서양 배 모양의 알갱이모양으로 다수 붙어 있고, 암갈색 또는 흑갈색. 대의 자낭각이 붙어 있는 위쪽은 회백색∼암 회백색. 그 아래쪽은 암갈색이고 기주에 직접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2차 포자, 방추형. 평활, 투명, 3∼5×1.5㎛.
    색상 : 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참나무류, 서어나무, 음나무 등의 활엽수림에서 땅속, 낙엽 밑 또는 썩은 나무 속에 묻힌 방아벌레의 유충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5. 깊은주름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crinalis Ellis ex Lloyd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4∼10cm. 긴 대바늘 모양, 암회갈색. 꾸불꾸불하고 위쪽에 자낭각이 붙는다. 대는 가죽질.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각종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에 기생하면서 지상에 난다. 자실체는 긴 대바늘 모양이고 꾸불꾸불하게 만곡되어 있다. 지상부의 높이는 4∼10cm, 지름 약 1mm. 1개 또는 2∼4개가 발생. 담 회갈색.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긴다. 자낭각(자낭과)은 암 회갈색. 확대해 보면 난형의 미세한 알갱이 모양으로 다닥다닥 붙어 있다.
    대는 약간 가죽질이고 밑동 쪽으로 다소 굵다.

    포자 : 포자는 2차포자 막대형. 4∼5×1㎛.
    색상 : 담 회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초가을. 칠엽수, 계수나무,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 임내 흙속에서 박가시나방 등 각종 나방 류(나비목)의 애벌레 몸체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아프리카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6. 번데기다발동충하초(번데기황색다발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ordyceps bifusispora Erikss.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동충하초속(Cordyceps)
    특징 : 높이 1∼2cm. 죽은 나방 류의 번데기에 여러 개가 나며 담황색, 곤봉모양. 번데기황색다발동충하초 및 번데기노랑다발동충하초가 너무 긴 이름이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자좌): 땅 속에 있는 죽은 나방 류(나비목)의 번데기에 나온다. 자실체는 머리가 다소 굵은 곤봉형을 이루며, 여러 개(6∼10개 또는 그 이상)가 생긴다. 전체가 담황색, 높이는 10∼20mm, 폭 1∼2mm 정도. 머리 크기는 7mm×2mm 정도.
    포자 : 자낭각은 반 묻힌형으로 조밀하게 분포하며 크기는 550∼620×250∼330㎛, 자낭포자는 양 끝이 두껍고, 끈으로 연결된 것이 특징이며, 포자 끝은 3∼4개의 격막이 나뉘어 있다.
    색상 : 담황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죽은 나방 류의 번데기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7. 백강균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Beauveria bassiana (Balas.) Vuill.
    과명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속명 : 백강균속(Beauveria)
    특징 : 곤충의 몸체에 백색의 가루가 덮인 모양을 이룬다.
    자실체 : 하늘소, 사마귀, 매미, 메뚜기, 딱정벌레류 등 각종 곤충에 침입하여 기주 표면에 흰색의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발아하여 균사가 되고, 균사에서 가지를 친 분생자경을 형성하며, 끝 부분에 여러 개의 분생 포자가 매달린다. 분생 포자는 계속 발달하게 되며, 곤충의 몸체에 백색의 가루가 덮인 모양을 이룬다.

    색상 : 배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내내 하늘소, 사마귀, 매미, 메뚜기, 딱정벌레류 등 각종 곤충류에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8. 벼깜부기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Ustilaginoidea virens (Cooke) Kakah. 벼깜부기> Villosiclava virens (M. Sakurai ex Nakata) E. Tanaka & C. Tanaka
    과명 : 맥각균과(Clavicipitaceae)
    속명 : 벼깜부기속(Ustilaginoidea)
    특징 : 벼알에만 발생 청백색 후에 검은색
    자실체 : 벼알에만 발생한다. 개화기에서 1∼2주 지나면 벼알의 큰껍질과 작은껍질이 겹친 부분에서 청백색의 작은 균덩어리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점차 커져서 벼껍질을 둘러싸는 큰 덩어리가 된다.
    이 덩어리는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점차 검은색으로 변하며 심할 때에는 한 이삭에 20개 이상 달릴 때도 있으며 가까운 부분의 벼알은 여물지 못한다.

    포자 : 병원균(Ustilaginoidea virens)의 후막포자(厚膜胞子)로서 이것이 발아하여 타원형의 분생포자(分生胞子)를 형성한다. 또 검은 덩어리에는 때때로 균핵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 병은 균핵에서 형성된 자낭포자에 의해서 화기(花器)를 통하여 침입한다.
    색상 : 청백색 후에 검은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벼의 개화기 1-2후 발생
    분포 : 전 세계적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청가시동충하초(청가시종자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Shimizuomyces paradoxa Kobay
    과명 : 맥각균과(Clavicipitaceae)
    속명 : 청가시동충하초속(Shimizuomyces)
    특징 : 높이 1.5∼4cm. 머리는 원통형, 백황색∼크림색, 각공은 갈색. 대는 머리와 같은 색, 밑동에는 청미래덩굴 열매가 있다.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에 떨어지거나 땅 속에 묻힌 청미래덩굴(속칭 청가시덩굴) 열매나 장미 열매 등에 생긴다. 열매의 표면은 백색의 균사막이 반 정도를 덮는다. 자실체는 곤봉형. 1본 또는 2∼6본이 나온다. 높이는 1.5∼4cm,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긴다. 원통형, 좁은 타원형 높이 5∼15mm(직경 1∼2mm), 백황색∼크림색. 자낭각은 묻힌 형. 각공은 약간 성기게 돌출되며, 갈색이고 표면에 점상으로 밀포된다.
    대는 원주형. 직경 0.5∼1mm 정도. 머리와 같은 색, 다소 육질이며, 기주에 직접 붙는다.

    포자 : 포자는 자낭포자는 실모양, 3∼7개의 격막이 있다. 60∼75×2∼2.5㎛.
    색상 : 백황색∼크림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산림 내 청미래덩굴(속칭, 청가시덩굴)이나 장미덩굴 밑에 떨어진 그 열매 또는 땅에 묻힌 열매에서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약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0. 유충봉오리동충하초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Polycephalomyces ramosus (Peck) Mains
    과명 : 맥각균과(Clavicipitaceae)
    속명 : 봉오리동충하초속(Polycephalomyces)
    특징 : 높이 4.5cm 정도. 땅에 묻힌 벌레의 유충에서 흰색 대가 나와 끝에 구형 머리를 형성, 갈색. 때로는 대가 분지하여 여러 개의 머리를 형성.
    자실체 : 자실체(자좌)는 땅 속에 묻힌 벌레의 유충을 기주로 하여 자실체가 형성된다. 높이 4.5cm 내외, 머리부 크기 0.8∼0.9mm, 갈색, 흔히 여러 개의 자실체가 함께 발생하여 대의 끝에 구형의 머리를 형성한다. 1개의 대에 한 개의 머리가 나기도 하지만, 간혹 1개의 대가 여러 개의 가지로 분지되면서 그 위에 머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결실부(머리)는 구형, 대의 끝에 형성된다. 갈색.
    대(분생자병)는 원주형, 때로는 대의 위쪽에서 분지된다. 밑동은 기주에 직결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도란형, 평활, 투명, 2.4-3.0 × 1.3 ~ 2.0 μm
    색상 : 여름. 땅에 묻힌 유충에서 발생.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갈색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