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 Shimizuomyces paradoxa Kobay
- 맥각균과(Clavicipitaceae)
- 청가시동충하초속(Shimizuomyces)
- 높이 1.5∼4cm. 머리는 원통형, 백황색∼크림색, 각공은 갈색. 대는 머리와 같은 색, 밑동에는 청미래덩굴 열매가 있다.
-
자실체(자좌)는 땅에 떨어지거나 땅 속에 묻힌 청미래덩굴(속칭 청가시덩굴) 열매나 장미 열매 등에 생긴다. 열매의 표면은 백색의 균사막이 반 정도를 덮는다. 자실체는 곤봉형. 1본 또는 2∼6본이 나온다. 높이는 1.5∼4cm,
결실부(머리)는 상반부에 생긴다. 원통형, 좁은 타원형 높이 5∼15mm(직경 1∼2mm), 백황색∼크림색. 자낭각은 묻힌 형. 각공은 약간 성기게 돌출되며, 갈색이고 표면에 점상으로 밀포된다.
대는 원주형. 직경 0.5∼1mm 정도. 머리와 같은 색, 다소 육질이며, 기주에 직접 붙는다. - 포자는 자낭포자는 실모양, 3∼7개의 격막이 있다. 60∼75×2∼2.5㎛.
- 백황색∼크림색
- 여름
- 여름. 산림 내 청미래덩굴(속칭, 청가시덩굴)이나 장미덩굴 밑에 떨어진 그 열매 또는 땅에 묻힌 열매에서 발생.
- 한국, 일본
- 약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s://synapse.koreamed.org/DOIx.php?id=10.4489/MYCO.2010.38.3.189&vmode=PUBREADER#!po=87.5000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