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3.18 21:18

갈색털고무버섯

조회 수 3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분류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Galiella celebica (Henn.) Nannf.
과명 털고무버섯과(Sarcosomataceae)
속명 털고무버섯속(Galiella)
특징 폭 3∼4cm. 어릴 때는 구형, 후에 위쪽이 넓게 퍼지면서 뒤집힌 종 모양. 윗면은 평평, 흑색∼흑회색. 바깥 면은 짧은 털 밀생, 회색∼회갈색.
자실체 자실체는 어릴 때는 거의 구형이고 흑갈색 털이 덮여 있으나 곧 위쪽이 넓게 퍼지면서 뒤집힌 반구형∼뒤집힌 종 모양이되고 거의 대가 없다. 직경 3∼4cm 정도의 중형인데, 고무 모양 탄력이 있다. 윗면 자실층은 평평하고 평활하며, 흑색∼흑회색이고 어릴 때는 표면에 광택이 있다. 가장자리와 바깥 면에는 짧은 털이 덮여 있고 회색∼회갈색.
포자 포자는 타원형∼방추형. 표면에 사마귀가 있고, 투명 또는 약간 황색 끼를 띤다. 30∼45×18㎛.
색상 흑색∼흑회색
발생계절 여름~가을
발생형태 여름~가을 활엽수의 목질 또는 가지 위에 발생.
분포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뉴우기니.
식용여부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a92ec671412e2f4cb619e7a3f71b169c.jpg

 

사진출처 : https://blog.goo.ne.jp/1596yassan/m/201406/1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맥각균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학명 : Claviceps purpurea (Fr.) Tul.
    과명 : 맥각균과(Clavicipitaceae)
    속명 : 맥각균속(Claviceps)
    특징 : 머리는 폭 1.5∼3mm. 밀 종류 이삭에 검은 균핵 형성, 여기서 황토색 둥근형 머리와 갈색 긴 대를 가진 자실체 형성. 맥각균은 인체와 가축에게 독성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귀리 등 밀 종류의 이삭에서 밀알이 바나나 형의 검은색 균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이 버섯이 뻗어 나온다. 자실체는 머리 부분과 대 부분으로 구분된다.
    머리는 둥근 모양 또는 계란 모양이고 직경 1.5∼3mm. 황토색∼오렌지황색. 그 표면에는 흑갈색으로 포자낭 피막의 포자비산 각공(ostioles)이 반점 모양 돌출되어 있다.
    대는 원주상이고 꾸불꾸불하며 표면은 평활하다. 적색을 띤 갈색. 5∼15×1∼1.5mm 정도. 밑동은 딱딱한 각질막의 검은색 균핵 위에 하얀 색의 균사가 퍼져 있다.

    포자 : 포자는 실모양. 투명, 방출된 후 격막이 생긴다. 50∼76×∼1㎛.
    색상 : 검은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늦봄∼여름. 귀리, 밀 등의 이삭에서 나온다.
    분포 : 전 세계적.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검은덩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Tuber indicum Cooke & Massee
    과명 : 덩이버섯과(Tuberaceae)
    속명 : 덩이버섯속(Tuber)
    특징 : 폭 1.5∼5cm. 덩이뿌리 모양, 흑갈색. 높이 1mm 정도의 무수한 사마귀모양 돌기. 내면은 시기에 따라 변화가 크며, 담황색과 연두회색이 혼교되고 흰색 맥이 연결됨. 작은 편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폭 1.5∼5(10)cm의 소형. 자낭과는 외면이 돌출된 괴상(塊狀)∼구상(球狀)의 덩이뿌리 모양이다. 표면은 흑갈색, 높이 1∼3mm 정도의 사마귀모양 돌기가 덮여 있다.
    절단해 보면 내면은 미색(회황색 끼를 띤 백색) 바탕에 많은 맥이 연결되어 있거나, 담황색과 미색이 혼교된 바탕에 흰색의 많은 맥이 연결되어 있다. 오래 되면 회흑색 바탕에 허연색의 맥이 서로 연결된다
    시기에 따라 형태, 색깔 등에 차이가 크다

    포자 : 포자는 길게 침 모양 돌기를 가지고 있다. 일부는 맥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22∼38 × 20-32㎛(부속물 포함).
    자낭은 아구형, 1∼5개의 포자가 들어 있다(보통 3∼4개). 60∼90× 50-60㎛.

    색상 : 담황색과 연두회색이 혼교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내 반지중생 또는 땅속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대리석덩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Tuber borchii Vittad.
    과명 : 덩이버섯과(Tuberaceae)
    속명 : 덩이버섯속(Tuber)
    특징 : 폭 1∼3cm, 또는 그 이상. 불규칙한 구형∼혹 모양. 바깥 면은 어릴 때 허연색, 곧 적색 끼를 띤 갈색. 울퉁불퉁하다. 내부는 허연색∼적갈색, 백색 맥상 무늬가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폭 1∼3cm. 또는 그 이상 달걀 정도의 크기. 불규칙한 구형∼혹 모양. 바깥 표면은 어릴 때 허연 색, 곧 적색 끼를 띤 갈색. 혹 모양 울퉁불퉁하며, 골이 파여 있다.
    내부는 어릴 때 허연색, 성숙하면 적갈색이 되며, 대리석 같은 백색의 맥상 무늬가 있다.

    포자 : 포자는 난형∼넓은 타원형. 적갈색, 포자 바깥 쪽을 그물눈 모양의 능맥(陵脈)이 싸고 있다. 능맥을 제외한 크기는 39∼52×25∼35㎛.
    색상 : 적색 끼를 띤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각종 나무나 관목 아래의 부식질 풍부한 토양 지중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여름덩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Tuber aestivum var. uncinatum (Chatin) Hall, Buch. & Cole > Tuber aestivum subsp. uncinatum (Chatin) Visher
    과명 : 덩이버섯과(Tuberaceae)
    속명 : 덩이버섯속(Tuber)
    특징 : 폭 2∼9cm. 덩이뿌리 모양, 검은색∼흑갈색. 표면은 작은 혹들이 무수히 돌출. 내부는 시기에 따라 어릴 때는 백색, 후에 담갈색. 갈색 무늬가 맥처럼 형성.
    자실체 : 자실체는 폭 2∼9cm 정도의 소형∼중형. 불규칙하게 외면이 돌출된 덩이뿌리 모양이다. 표면은 암흑갈색∼흑색. 작은 혹들이 무수히 돌출되어 있다. 작은 혹은 다소 피라밋 모양이며, 4∼6면체, 혹 사이에 깊은 골이 있다.
    절단해 보면 내부는 어릴 때는 백색, 성숙하면서 담갈색, 갈색 및 암갈색이 되고, 대리석무늬처럼 맥이 형성된다. Tuber aestivum 보다 색깔이 진하다. 맥은 가늘고 백색, 불규칙한 굵기로 꾸불꾸불한 가지가 서로 연결된다. 절단해도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시기에 따라 형태 및 색깔 등에 차이가 있다). 살은 단단하고, 특별한 향기가 있으며, Tuber aestivum 보다 강하며, 너무 오래된 것은 불쾌한 냄새가 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아구형, 투명, 어릴 때는 색깔이 없으나 후에 황색∼갈색끼를 띤다. 부속물이 그물눈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물눈의 높이는 3∼5(9)㎛ 정도. 포자의 크기는 자낭에 들어 있는 포자의 수에 따라 차이가 크다.
    자낭은 구형∼아구형. 짧은 자루가 있거나 또는 자루가 없다. 60∼90×50∼80㎛. 내부에 2∼6개(보통 3∼4개)의 포자가 들어 있다. 27∼45×18∼27㎛(부속물 포함).

    색상 : 암흑갈색∼흑색
    발생계절 : 여름~겨울
    발생형태 : 여름∼겨울. 각종 수목이나 관목이 자라는 석회질이 풍부하고 부식질이 많은 토양에서 반지중생 또는 땅속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미국.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5. 말미잘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Urnula craterium (Schw.) Fr.
    과명 : 털고무버섯과(Sarcosomataceae)
    속명 : 말미잘버섯속(Urnula)
    특징 : 폭 1∼3cm. 머리는 항아리 모양∼깊은 깔때기 모양, 자실층은 안으로 깊게 들어가고 암흑갈색. 바깥 면은 암갈색∼흑회색, 다수의 인편 부착.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가 구분된다. 머리는 항아리모양 또는 깊은 깔때기 모양이며, 직경 1∼3cm, 높이 0.8∼2cm 정도. 윗면 자실층은 안으로 깊게 들어가고 암흑갈색, 평활하며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을 이룬다. 바깥 면은 암갈색∼흑회색이고 다수의 인편이 덮여 있다.
    대는 직경 0.3∼0.8cm, 암 흑갈색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또는 약간 황색기를 띤다. 25∼37.5×12∼14㎛.
    색상 : 암흑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활엽수림 내 땅속에 파묻힌 죽은 가지 등에서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6. 고무술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Sarcosoma globosum (Schim.) Rehm
    과명 : 털고무버섯과(Sarcosomataceae)
    속명 : 고무술잔버섯속(Sarcosoma)
    특징 : 폭 7∼10.5cm. 대가 없고 흔히 항아리 모양으로 내부가 오목. 흑색. 내부의 살은 젤라틴 질, 황갈색.
    자실체 : 자실체는 대가 없고 흔히 항아리 모양으로 내부가 오목하다. 폭 7∼10.5cm, 높이 6∼7.5cm 정도. 자실층은 오목하고 컵 모양이며 깊이 2cm 정도. 평활하고 광택이 있다. 가장자리는 얇아지고 바깥쪽으로 감긴다. 고무질이며, 전체가 흑색.
    바깥 면은 6㎛ 정도의 털이 덮여 있어서 미세한 면모상이다. 건조할 때는 가장자리가 갈라져서 내부의 살이 들어나기도 하며, 위축되어서 쪼글쪼글해 지기도 한다. 밑동에는 균사가 밀생하여 부식토와 결합하고 있다. 내부의 살은 젤라틴 질이며 황갈색.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평균 26.57×10.54㎛.
    색상 : 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임지의 부식토나 썩은 고목에 난다.
    분포 : 한국, 북미. 노르웨이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7. 전나무검은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Pseudoplectania vogesiaca Seaver
    과명 : 털고무버섯과(Sarcosomataceae)
    속명 : 검은잔버섯속(Pseudoplectania)
    특징 : 폭 2∼4cm. 컵∼접시 모양, 암 흑갈색. 바깥 면은 더 진한 흑색, 눌려 있는 짧은 털 밀생. 검은잔버섯과 달리 긴 대가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2∼4cm의 소형. 컵 모양 또는 접시 모양으로 나뭇가지 등에 붙어 있으며, 긴 대가 있다.
    표면 자실층은 암 흑갈색. 바깥 면(하면)은 더 진한 흑색이고 눌려 있는 짧은 털에 의해서 비로드상이다. 가장 자리는 오래 동안 안쪽으로 굽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1개의 큰 방울이 들어있다. 10∼12㎛.
    색상 : 암 흑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철. 특히 지면에 눕혀져 있는 전나무 가지나 줄기의 썩은 부위에 흔히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8. 검은잔버섯(검은헛찻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Pseudoplectania nigrella (Pers.) Fuckel
    과명 : 털고무버섯과(Sarcosomataceae)
    속명 : 검은잔버섯속(Pseudoplectania)
    특징 : 폭 1.5∼3cm. 부정형의 컵 모양∼접시 모양. 흑갈색∼흑색. 표면에 비로드모양 미세한 털 피복, 바깥 면은 미세한 털 밀생. 검은헛찻잔버섯이 속에 맞게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1.5∼3cm의 소형, 부정형의 컵 모양이다가 접시 모양이 된다. 대는 없고 하면이 바로 땅에 접착된다. 표면 자실층은 평활, 광택이 있으며, 흑갈색∼거의 흑색. 가장자리와 바깥 면은 흑갈색,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흔히 자실층면보다 다소 진하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가끔 1개의 방울이 들어있다. 10∼12(13)㎛.
    색상 : 흑갈색∼거의 흑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침엽수 임내지상 또는 낙엽 사이, 이끼 사이, 오래 썩은 소나무 그루터기, 때로는 절개지 토양 등에 단생, 군생 또는 총생.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9. 갈색털고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Galiella celebica (Henn.) Nannf.
    과명 : 털고무버섯과(Sarcosomataceae)
    속명 : 털고무버섯속(Galiella)
    특징 : 폭 3∼4cm. 어릴 때는 구형, 후에 위쪽이 넓게 퍼지면서 뒤집힌 종 모양. 윗면은 평평, 흑색∼흑회색. 바깥 면은 짧은 털 밀생, 회색∼회갈색.
    자실체 : 자실체는 어릴 때는 거의 구형이고 흑갈색 털이 덮여 있으나 곧 위쪽이 넓게 퍼지면서 뒤집힌 반구형∼뒤집힌 종 모양이되고 거의 대가 없다. 직경 3∼4cm 정도의 중형인데, 고무 모양 탄력이 있다. 윗면 자실층은 평평하고 평활하며, 흑색∼흑회색이고 어릴 때는 표면에 광택이 있다. 가장자리와 바깥 면에는 짧은 털이 덮여 있고 회색∼회갈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방추형. 표면에 사마귀가 있고, 투명 또는 약간 황색 끼를 띤다. 30∼45×18㎛.
    색상 : 흑색∼흑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의 목질 또는 가지 위에 발생.
    분포 :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뉴우기니.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0. 다발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Wynnea gigantea Berk. & Curt.
    과명 : 술잔버섯과(Sarcoscyphaceae)
    속명 : 다발귀버섯속(Wynnea)
    특징 : 높이 5∼8cm. 뿌리에서 공통의 대가 형성되고 여기에 10∼20의 토끼 귀 모양 자낭반 형성. 안쪽 자실층은 벽돌색∼적갈색, 바깥 면은 다소 연한 색.
    자실체 : 자실체는 땅 속에 생긴 균핵에서 뿌리가 형성되며, 지상에는 머리와 대 부분이 구분된다. 머리 부분은 10∼20개의 토끼 귀 모양의 자낭반으로 되고 이것이 1개의 공통된 대에서 생긴다. 전체의 높이는 5∼8cm, 전체의 직경은 4∼6cm 정도. 토끼 귀 모양으로 생긴 각각의 자낭반은 높이 3∼6cm, 폭은 넓은 부분이 1∼2cm 정도. 자실층면은 벽돌색 또는 적갈색. 때로는 황토갈색이고 바깥 면은 다소 연한 색.
    대는 지상에 나타난 대의 모양은 짧은 원주상이고 높이는 1∼1.5cm, 직경 1∼1.5cm. 흑갈색∼흑색이다. 대와 연결된 뿌리 부분은 2∼3개로 나누어지고, 길며, 그 끝에는 균핵이 달려 있다.

    포자 : 포자는 편두형. 양끝이 둥글고, 표면에 세로로 줄금모양이 있다. 20∼30×10∼15㎛.
    색상 : 벽돌색∼적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중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1. 쟁반술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Sarcoscypha vassiljevae Raitv.
    과명 : 술잔버섯과(Sarcoscyphaceae)
    속명 : 술잔버섯속(Sarcoscypha)
    특징 : 폭 1.5~6cm로 쟁반 모양~찻잔 모양과 비슷하고 살색~백색.
    자실체 : 자실체는 폭 1.5~6cm로 쟁반 모양이나 찻잔 모양과 비슷하고 살색 또는 백색이며 때로는 다소 분홍색을 띤다. 벽은 얇다. 가징자리는 미세한 톱니 모양, 바깥면도 거의 동색 (가장자리 부근은 핑크색을 띠) 평활 또는 다소 흐리게 미분상 무늬 걸쳐 약한 잔 주름이 있는 경우가 있다. 약간 편심 생이며 기지 부근의 표면은 미세한 털이 있다
    대는 없거나 있을 경우는 아주 짧다.

    포자 : 포자는 장타원형 18~25×10~13μm
    자낭은 290~360×9~13μm.

    색상 : 살색~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살아 있는 나무의 썩은 부위 및 부식토에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붉은대술잔버섯(붉은찻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Sarcoscypha occidentalis (Schw.) Sacc.
    과명 : 술잔버섯과(Sarcoscyphaceae)
    속명 : 술잔버섯속(Sarcoscypha)
    특징 : 폭 0.5∼2cm. 머리는 주홍색∼적색. 바깥 면과 대는 허연색∼연한색. 붉은찻잔버섯이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자낭반)와 대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는 폭 0.5∼2(4)cm, 표면 자실층은 평활하며, 주홍색, 때로는 적색. 오래되면 퇴색된다. 바깥 면(하면)은 평활하고, 허연색 또는 담적색∼표면 보다 연한 색. 살은 얇고 부서지기 쉽다.
    대는 길이 1∼3cm(폭 2mm), 백색∼담적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흔히 양쪽에 각각 방울이 있고 그 주변에 미세한 작은 방울이 있다. 18∼22×10∼12㎛.
    색상 : 주홍색, 때로는 적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늦은 봄∼초여름. 습기 많은 지역의 활엽수 잔가지, 죽은 나무 또는 낙엽 썩은 토양 등에 산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3. 술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Sarcoscypha coccinea (Jacq.) Sacc.
    과명 : 술잔버섯과(Sarcoscyphaceae)
    속명 : 술잔버섯속(Sarcoscypha)
    특징 : 폭 1∼5cm. 어릴 때는 술잔 모양, 후에 컵∼접시 모양, 주홍색∼적색. 바깥 면은 분홍색∼황토색, 미세한 알갱이 모양 입자가 덮여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1∼5(8)cm의 소형. 어릴 때는 둥근 술잔모양이나 점차 컵 모양 또는 접시 모양으로 된다. 전체가 둥근 모양이거나 때로는 타원형으로 되기도 한다. 표면 자실층은 주홍색∼적색. 오래되면 오렌지 적색으로 퇴색되기도 한다. 바깥 면은 분홍색∼황토색. 허연색의 미세한 알갱이 모양 입자가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오래 동안 안쪽으로 굽어 있다.
    대는 없거나 또는 썩은 나무에 깊이 들어가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양쪽 끝에 많은 작은 방울이 들어있다. 29∼39×9∼11(13)㎛.
    색상 : 주홍색∼적색
    발생계절 : 겨울~봄
    발생형태 : 늦겨울∼늦은 봄. 특히 산악 고지대의 습기 많은 지역에 떨어진 오리나무, 단풍나무, 버드나무, 느릅나무 등의 죽은 가지에 이끼 등과 함께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4. 자주술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Phillipsia domingensis Berk.
    과명 : 술잔버섯과(Sarcoscyphaceae)
    속명 : 자주술잔버섯속(Phillipsia)
    특징 : 지름 1∼7cm 정도로 어릴 때는 얕은 컵 모양 또는 접시 모양. 위쪽 진한 분홍색, 옅은 와인색, 옅은 자주색, 밝은 적색, 바깥 면은 백색 내지 크림색
    자실체 : 자낭반은 지름 1∼7cm 정도로 어릴 때는 얕은 컵 모양 또는 접시 모양에서 성숙하면서 편평해진다. 포자가 형성되는 자실층인 안(위)쪽 표면은 진한 분홍색, 옅은 와인색, 옅은 자주색, 밝은 적색 등 이고 매끄럽다.
    바깥 면은 백색 내지 크림색이다. 자루는 없거나 있을 때는 길이 1.5cm 정도이고, 자루 표면은 백색 내지는 크림색이다.

    포자 : 포자는 24~28×11~14㎛이다.
    색상 : 진한 분홍색, 옅은 와인색, 옅은 자주색, 밝은 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어름∼가을. 활엽수(칡, 배나무 등) 죽은 가지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5. 털작은입술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Microstoma floccosum (Schw.) Raittv.
    과명 : 술잔버섯과(Sarcoscyphaceae)
    속명 : 작은입술잔버섯속(Microstoma)
    특징 : 양주잔 모양의 머리와 대. 머리는 폭 0.5∼1cm. 컵 모양, 안쪽은 농홍색. 바깥 면은 홍색, 백색 긴 털이 덮여있다. 대는 흰색, 백색 털이 덮여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양주잔 모양의 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머리는 처음에 닫힌 형태이다가 위쪽이 열리게 된다. 폭 0.5∼1cm, 높이 1.5cm 정도로 컵 모양이고,
    안쪽 자실층면은 농홍색이고 평활하다. 바깥 면은 홍색. 가장자리와 바깥 면은 백색의 긴 털이 덮여 있다. 대는 흰색. 3∼10mm(직경 1∼2mm) . 표면에 흰색의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20∼35×15∼17㎛.
    색상 : 농홍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습기가 많은 땅에 묻힌 활엽수의 가지 위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6. 무리작은입술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Microstoma aggregatum Otani
    과명 : 술잔버섯과(Sarcoscyphaceae)
    속명 : 작은입술잔버섯속(Microstoma)
    특징 : 지름 5∼10mm, 깊이는 5∼8mm, 와인잔 모양, 내면은 핑크색, 외면과 대는 백색의 털이 밀생한다. 가을 고목에 속생. 때로는 폭 10cm 이상의 크기로 덩어리 모양 속생한다.
    자실체 : 자실체는 지름 5∼10mm, 깊이는 5∼8mm로 와인잔 모양이다. 내면은 핑크색이고 외면과 대는 백색의 털이 밀생한다. 자실체의 입구는 처음에 닫혀 있을 때 구형에서 나중에 술잔모양으로 열린다.
    팔의 가장자리는 약간 거치상이다. 자실층면은 팔의 내측에 있으며, 핑크색∼연한 붉은색으로 밋밋하다. 외면은 백색의 털로 밀생한다.
    대는 가늘고 길며 원통형∼약간 편평상이며 기부는 상호 교차하여 유착한다. 표면은 유백색으로 팔의 외측과 같은 백색의 털로 피복된다.

    포자 : 포자는 19∼22×6∼9㎛.
    색상 : 핑크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고목(참나무류 고목)에 속생.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7. 붉은양주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Cookeina sulcipes (Berk.) Kuntze
    과명 : 술잔버섯과(Sarcoscyphaceae)
    속명 : 양주컵버섯속(Cookeina)
    특징 : 머리는 단지모양∼술잔모양∼깊은 컵모양. 폭 1.5∼3cm. 오렌지적색,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대는 가늘고 매우 길다. 지역에 따라서 색깔 변화가 매우 크다.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머리(자낭반)는 처음에 입이 작은 단지 모양이나, 곧 둥근 술잔모양∼깊은 컵 모양이 되고, 가장자리에는 짧은 털이 있다. 폭 1.5∼3cm, 깊이 1∼2.5cm 정도. 오렌지적색 또는 분홍색∼분홍적색. 바깥 면은 거의 같은 색이거나 다소 연한색.
    대는 길이 1.5∼6cm(폭 2∼4mm), 가늘고 비교적 길다. 담홍색∼적자색 끼를 띤다.

    포자 : 포자는 난형, 평활, 투명, 21-30 × 11-18 μm
    색상 : 오렌지적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썩은 나무 또는 낙엽토양에 단생 또는 산생.
    분포 : 한국, 일본, 말레지아, 태국, 인도, 중남미, 뉴질랜드.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8. 예쁜술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Caloscypha fulgens (Pers.) Boud.
    과명 : 술잔버섯과(Sarcoscyphaceae)
    속명 : 예쁜술잔버섯속(Caloscypha)
    특징 : 폭 1.5∼4cm. 구형∼요강 모양, 후에 불규칙한 컵∼접시 모양, 밝은 황색∼오렌지황색 등. 바깥 면은 황토갈색, 손으로 만지면 초록색 끼를 띤다.
    자실체 : 자실체는 폭 1.5(2)∼4cm의 소형. 어릴 때는 구형∼요강모양, 후에 불규칙한 컵 모양이나 접시 모양이 된다.
    위의 자실층면은 밝은 황색, 건조할 때는 다소 오렌지색(또는 적황색 등), 평활하거나 때로는 결절이 있다. 바깥면(하면)은 황토갈색, 손으로 만지거나 오래된 경우 초록색 끼를 띤다. 분상이다.
    대가 없이 직접 기물에 부착하거나 때로는 짧은 대가 있다. 가장자리는 고르거나 물결모양을 이룬다. 부분적으로는 찢어지기도 하고, 잘라져 나가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방울은 없다. 5∼6㎛.
    색상 : 밝은 황색∼오렌지황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높은 산지의 이끼가 많거나 낙엽이 많은 침, 활엽수 임지 토양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땅해파리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Rhizina undulata Fr. > Rhizina inflata (Schaeff.) P. Karst.
    과명 : 땅해파리과(Rhizinaceae)
    속명 : 땅해파리속(Rhizina)
    특징 : 폭 4∼12cm. 대가 없이 땅위에 퍼져 있다. 표면은 울퉁불퉁하게 돌출, 밤갈색∼흑갈색. 아래 면은 황토색∼황색. 불탄 자리에 발생. 파상땅해파리가 기준종이어서 바뀌었다.
    R. inflata가 기준종이라고 후에 기록되기도 하였지만, Rhizina inflata는 동종 이명을 잘못 오인한 것.

    자실체 : 자실체는 대가 없다. 평평한 모양 또는 방석모양 땅위에 퍼져 있다. 표면은 울퉁불퉁하게 돌출된 것이 겹쳐져 있다. 폭 4∼12cm, 때로는 각개의 자실체가 합쳐져서 수십 cm의 크기로 될 때도 있다. 밤갈색∼흑갈색. 어린 자실체는 가장자리에 흰색을 띤다. 표면은 평활, 무디거나 때로는 광택이 있다.
    아래 면은 황토색∼황색. 바깥쪽의 자라는 부분에는 가근(假根)이 생겨서 뿌리모양을 이루고, 식물체의 잔유물들이 들러붙어 있다. 살은 부서지기 쉽고 해면질이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선박모양. 미세한 사마귀들이 덮여있고, 일부는 연결되어 있으며, 2개의 방울이 있다. 양측에는 넓은 꼬리가 달려있다. (28)30∼40×7∼10㎛.
    색상 : 밤갈색∼흑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이른 여름∼가을. 침엽수 임지의 완전 벌채지, 치수 조림지 또는 최근 불에 탄 화재 적지 등에 흔히 발생하며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0. 털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주발버섯강(Pezizomycetes) > 주발버섯목(Pezizales)
    학명 : Trichophaea gregaria (Rehm) Boud
    과명 : 털접시버섯과(Pyronemataceae)
    속명 : 털잔버섯속(Trichophaea)
    특징 : 폭 3∼8mm. 쟁반모양∼평평한 모양, 회백색∼연한 회색. 가장자리에 암갈색∼적갈색 털. 무리털종지버섯이 개칭되었고, 기준종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대가 없고, 자낭반은 직경 3∼8mm 정도의 극소형. 처음에는 반구상 주머니 모양이나 후에 쟁반모양이 되고, 평평한 모양으로도 된다. 가장자리는 섬모로 덮여있고 항상 위쪽으로 향한다.
    표면 자실층은 회백색∼연한 회색이고 때때로 푸른색 끼가 있다. 가장자리와 바깥 하면은 짧은 암갈색∼적갈색 털이 덮여있다.

    포자 : 포자는 좁은 타원형∼약간 방추형. 평활, 투명, 작은 방울이 많이 들어있거나, 1개의 큰 방울이 들어있다. 23∼25.5×9∼10㎛.
    색상 : 회백색∼연한 회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불탄 자리나 탄 부스러기가 있는 곳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