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3.18 21:18

갈색민자루버섯

조회 수 1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분류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Phialina ulmariae (Lasch) Dennis
과명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민자루버섯속(Phialina)
특징 폭 0.3∼0.5mm. 접시 모양∼평평. 윗면은 담황색∼황토색. 바깥 면은 다소 연하고 미세한 털. 죽은 조팝나무 줄기에 난다.
자실체 자실체는 0.3∼0.5mm 정도의 극소형. 접시 모양이다가 편평한 모양이 된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 담황색∼황토색(때로는 크림색). 바깥 면과 가장자리는 다소 연하고 미세한 흰 털이 있다. 기질에 대가 없이 기질에 붙는다.
포자 포자는 원주형. 평활, 투명, 격막은 없다. 10.5∼13×2㎛.
색상 담황색∼황토색
발생계절 봄~여름
발생형태 봄∼여름. 죽은 조팝나무의 줄기에 난다.
분포 한국, 유럽.
식용여부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small-2813-ulma2L.jpg

 

사진출처 : http://www.pilzbestimmer.de/Detailed/33598.html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습지등불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Mitrula paludosa Fr.
    과명 :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속명 : 등불버섯속(Mitrula)
    특징 : 높이 2∼5cm, 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머리는 곤봉형∼원주형, 연한 오렌지색∼연한 황색. 대는 원주형, 허연색, 굵기 3,mm 정도.
    자실체 : 자실체는 높이 2∼5cm, 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머리는 곤봉형∼원주형 또는 구형, 자실체의 1/3∼2/3 정도 되는 위치부터 생기고, 폭은 10mm 이하. 연한 오렌지색∼연한 황색, 일반적으로 평활하나 때때로 세로로 골이 생기기도 한다.
    대는 허연색, 원주형, 머리와 뚜렷하게 구분이 된다. 굵기 3mm 정도, 평활하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 평활, 투명. 끝 부분이 뭉툭하고, 간혹 격막이 있다. 10∼15×2.5∼3㎛.
    색상 : 연한 오렌지색∼연한 황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늦봄∼가을. 물 속에 들어 있는 목재나 식물체 잔존물에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비듬째진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Dumontinia furfuracea (Roth) P. Karst.
    과명 :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속명 : 비듬째진버섯속(Encoelia)
    특징 : 폭 5∼15mm. 주머니 모양, 후에 컵 모양∼접시 모양. 가장자리가 찢어진다. 계피색∼암갈색. 바깥 면은 연한 색. 형태의 변화가 매우 큰 버섯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직경 5∼15mm의 극소형. 어릴 때는 외측 면이 표면을 감싸고 있어서 닫혀 있는 모양, 또는 주머니 모양이다가, 갓이 퍼지면서 컵 모양 또는 접시 모양이 되며, 가장자리 부분이 불규칙하게 여러 곳 찢어지면서 별 모양이 되기도 한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 계피색∼암갈색. 바깥 면은 표면보다 연한색이고 쌀겨가 묻은 것처럼 비듬투성이가 되며 이것은 소실되기 쉽다. 대는 없고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포자 : 포자는 끝이 둥근 타원형∼소시지형. 평활, 투명, 양끝에 방울이 들어있다. 9∼11×2㎛.
    색상 : 계피색∼암갈색
    발생계절 : 겨울~봄
    발생형태 : 겨울∼봄, 개암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의 아직 서 있는 죽은 나무의 줄기나 가지에 총생. 때로는 여러 개의 개체가 함께 뭉쳐서 발생하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균핵술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Dumontinia tuberosa (Bull.) Kohn > Sclerotinia tuberosa (Hedw.) Fuckel
    과명 :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속명 : 균핵술잔버섯속(Dumontinia)
    특징 : 폭 1∼3cm. 술잔모양∼주발모양 또는 깔때기꼴. 다갈색∼암계피색. 대는 암갈색, 밑동에 균핵. 갈색균핵술잔버섯이 기준종이어서 개칭됨. 오디양주잔버섯 비슷하나 배 이상 크다. 봄에 미나리아재비과의 아네모네군락에 난다.
    자실체 : 자실체는 지하에 균핵이 형성되고 여기에서 대와 자낭반이 지상에 돌출된다. 상부 자낭반은 폭 1∼3cm. 술잔모양∼주발모양, 또는 깔때기꼴, 다갈색∼암계피색, 하면은 다소 연한 색.
    대는 길이 2∼10cm(굵기 2mm 내외), 암갈색, 대의 아래쪽에는 털이 나 있다. 대의 밑동에는 균핵이 있다. 균핵은 지중에 생기고, 구형∼불규칙한 덩어리 모양, 흑색(내부는 백색), 지름 1∼4cm 정도로 비교적 크다.

    포자 : 포자는 자낭 속에 8개의 자낭포자가 거의 1렬로 연결되어 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 무색, 2개의 방울이 있다. 11∼16×5∼8㎛.
    색상 : 다갈색∼암계피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아네모네(wikipedia) 등 미나리아재비과 식물 군락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동백균핵접시버섯(가는대도토리버섯,동백균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Ciborinia camelliae Kohn
    과명 :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속명 : 균핵접시버섯속(Ciborinia)
    특징 : 3∼18mm. 자낭반은 접시모양, 조청색. 대의 밑동에 균핵. 동백 꽃잎에 난다. 봄∼여름. 동백꽃 떨어진 곳을 걷어 보면 발견하기 쉽다. 동백균핵버섯이라고도 하였으나 균핵버섯속(Sclerotinia)이 별도로 있다.
    <참고> 이 버섯에 대해서는 가는대도토리버섯으로 신칭되었고, 후에 동백균핵버섯 및 백균핵버섯이란 각각 다른 이름으로 신칭 되었는데, 균핵접시버섯속에 속하므로 기주와 관련하여 동백균핵접시버섯으로 개칭된 것이다. 참고로 균핵버섯속(Sclerotinia)은 별도로 있는 속이어서 신칭될 수 없다.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가 있고 밑동에는 균핵이 있다. 균핵은 지상에 떨어져서 위축된 동백꽃의 꽃잎에 생기며, 타원형∼부정형이고 흑색, 내부에는 꽃잎 조직의 잔편이 들어 있다. 자낭반은 봄에 1개의 균핵에서 1개∼수 개의 대가 나오고, 처음에는 곤봉상이나, 후에 상부가 접시모양∼얕은 접시모양으로 퍼진다. 흔히 중앙에는 작은 배꼽 모양 오목 들어가며, 오래되면 거의 평평하게 된다. 접시 모양의 머리 표면은 폭 3∼18mm, 조청 색∼적색을 띤 암회갈색, 바깥면(하면)은 같은 색이며 약간 분상.
    대는 1∼10cm(굵기 1∼2mm), 비교적 가늘고 길다. 머리 부분과 같은 색. 밑동에는 균핵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난형. 평활, 투명, 2개의 방울이 있다. 8∼12×4∼5㎛.
    색상 : 조청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오래된 동백나무 숲에 떨어진 썩은 꽃잎에 붙어 발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5. 짧은자루양주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Ciboria peckiana (Cooke) Korf.
    과명 :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속명 : 양주잔버섯속(Ciboria)
    특징 : 머리부분과 자루 부분으로 구분된다. 머리는 3∼8mm, 컵모양∼접시모양. 베이지색에서 보라색을 띤 갈색이 된다. 짧은 대가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 부분과 자루 부분으로 구분된다. 머리는 어릴 때는 매우 작지만, 성숙하면 지름 3∼8mm 정도로 커지며, 어릴 때는 컵 모양이다가 점차 접시 모양으로 널어진다.
    자실층 안(위)쪽 면은 옅은 베이지색에서 조금 보라색을 띤 옅은 갈색으로 변해가며 매끄럽다. 바깥 면은 안쪽 면과 같은 색이지만 쌀겨 같은 물질이 덮여 있어 다소거칠기 때문에 조금 진해 보이고, 방사상의 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자루의 길이는 보통 2∼3mm 정도지만 큰 것은 7∼8mm에 이르는 것도 있다.

    포자 : 포자는 매우 크고 40μm 정도까지된다
    색상 : 베이지색에서 보라색을 띤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죽은 그루터기, 가지 위에 무리를 이루어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6. 도토리양주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Ciboria batschiana (Zopf) N.H. Buchw
    과명 :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속명 : 양주잔버섯속(Ciboria)
    특징 : 머리는 폭 0.5∼1.5cm. 처음에는 오목하나 후에 평평한 형이 됨. 계피색, 담갈색 또는 갈색 등. 대는 0.5∼2cm, 암갈색.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가 있고, 머리는 0.5∼1.5cm. 처음에 약간 오목 들어간 형이나, 후에 평평한 형이 된다. 위쪽 자실층 면은 계피색, 담갈색 또는 갈색 등. 아래쪽 바깥 면은 비슷한 색이며, 미세한 털이 덮여 있다.
    대는 0.5∼2cm 정도. 암갈색.

    포자 : 포자: 타원형. 6∼11×4∼6㎛. 자낭은 150×8㎛.
    색상 : 계피색, 담갈색 또는 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임내 지상의 오래된 도토리에 흔히 총생.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7. 밤송이양주잔버섯(밤송이자루접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Ciboria americana E.J. Durand > Rutstroemia americana (Durand) White
    과명 :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속명 : 양주잔버섯속(Ciboria)
    특징 : 머리는 5mm 이하. 평평∼얕은 접시 모양, 암갈색∼연한 갈색. 대는 가늘고 1.5cm 정도. 밤송이에 난다. 밤송이자루접시버섯이 속명에 맞추어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머리는 폭 약 5mm 정도. 평평하거나 얕은 접시 모양으로 조금 오목해 진다. 암갈색∼연한 갈색.
    대는 아래쪽에 약 1.5cm 정도의 길고 가는 대가 있다. 바깥쪽 면은 미세하게 비듬이 있다. 대는 아래쪽으로 가늘어 진다. 머리부와 같은 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격막은 없고, 2개의 방울이 있다. 7.5∼11×3.5∼4.5㎛.
    색상 : 암갈색∼연한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밤송이 위에 단생 또는 군생. 때로는 도토리 껍질에도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8. 양주잔버섯(긴자루양주잔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Ciboria amentacea (Balb.) Fuckel
    과명 :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속명 : 양주잔버섯속(Ciboria)
    특징 : 폭 3∼10mm. 양주잔 모양. 머리는 종지모양, 접시 모양∼편평. 황토색∼황토갈색. 대가 길다. 긴자루양주잔버섯이 기준종이어서 바뀜.
    자실체 : 자실체는 3∼10mm의 극소형. 머리와 대로 구분 된다. 머리 부분은 종지모양이다가 자라면서 컵 모양, 접시 모양 및 편평한 모양이 된다. 때로는 가장자리가 아래쪽으로 굽는다. 버드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의 유제화서 꽃술이 땅에 떨어져 썩은 것에서 나는데, 다소 긴 굵은실 모양의 대가 있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 황토색∼황토갈색. 바깥 면은 같은 색이고 가장자리 끝은 흰색이 덮여있다.
    대는 0.5∼2.5cm 정도이고 흔히 만곡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불규칙한 난형. 평활, 투명, 방울이 없다. 8∼10×4∼5㎛.
    색상 : 황토색∼황토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버드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의 유제화서 꽃술이 땅에 떨어져 썩은 것에 단생 또는 몇 개씩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9. 누더기방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Botryotinia ranunculi Henneb. & Groves
    과명 : 균핵버섯과(Sclerotiniaceae)
    속명 : 방버섯속(Botryotinia)
    특징 : 폭 3∼7mm. 접시 모양∼평평한 형. 명갈색∼황토색. 대는 짧다. 저습지 썩은 풀줄기에 난다.
    자실체 : 자실체는 3∼7mm의 극소형. 어릴 때는 접시 모양이다가 후에는 평평하게 퍼지고 때로는 가장자리고 밑으로 굽는 경우도 있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하며 명갈색∼황토색. 가장자리가 약간 암색이고 미세한 털이 있다. 바깥 면은 같은 색.
    대는 원주형이며 1∼2mm 정도이고 같은 색. 밑동 쪽은 갈흑색으로 진하다. 딱딱한 각질막으로 되는 피체(皮體: sclerotium) 위에 나는데, 이 피체는 검은 색이다. 때로는 솜털 누더기 같은 허연색의 분생자 단계가 함께 나타타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없다. (10)12∼14(17)×(5)5.5∼6.5(7.5)㎛.
    색상 : 명갈색∼황토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저습지 또는 소택지의 미나리아재비 등 풀의 썩은 줄기에 단생 또는 몇 개씩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0. 균핵꼬리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Scleromitrula shiraiana (Henn.) S. Imai
    과명 : 자루접시버섯과(Rutstroemiaceae)
    속명 : 균핵꼬리버섯속(Scleromitrula)
    특징 : 땅에 떨어진 뽕나무 오디에 부착하여 균핵과 자실체 형성. 머리는 대추씨 모양, 갈색. 대는 가늘고 길며 밑동에 뽕나무 오디에서 형성한 균핵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찌그러진 방추형의 머리와 실모양의 대로 구분되며 밑동에는 균핵이 있는 극소형. 머리는 찌그러진 방추형 또는 대추씨 모양이고 선단은 흔히 뾰족하다. 갈색. 표면에는 여러 줄의 세로로 된 홈이 있다. 머리의 전 표면에 자실층이 형성된다.
    대는 가늘고 길며 흔히 만곡이 되어 있고, 직경 1mm, 길이는 6cm 정도, 그 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밑동에는 균핵이 형성되는데 이 균핵은 지상에 떨어져서 노화 위축된 뽕나무 오디에 발생.

    포자 : 포자는 난형∼강낭콩 모양. 평활, 투명, 6∼10×3∼4㎛.
    색상 : 갈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지상에 떨어져서 노화 위축된 뽕나무 오디에 부착하여 균핵과 자실체가 발생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1. 작은자루접시버섯(작은잎맥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Rutstroemia petiolorum (Rober. ex Desm.) White
    과명 : 자루접시버섯과(Rutstroemiaceae)
    속명 : 자루접시버섯속(Rutstroemia)
    특징 : 잎자루(葉柄; petioles)애 나는 버섯. 컵 모양∼접시 모양. 황토색∼황토갈색. 대가 있다. 작은잎맥버섯이라 하였으나 속명에 따라 개칭.
    자실체 : 자실체는 머리 부분과 대로 구분된다. 머리는 폭 2∼6mm, 어릴 때는 잔 또는 컵 모양 오목하나 후에 접시 모양 다소 오목하게 퍼진다. 표면 자실층은 황토색∼황토갈색, 평활 가장자리는 때때로 다소 진한 색이고 미세하게 이빨 모양이 되기도 한다. 바깥 면과 하면은 같은 색.
    대는 길이 0.5∼8mm. 원주형, 머리 보다 다소 진한 색, 밑동 쪽으로는 흑갈색.

    포자 : 포자는 소시지형∼콩팥 모양. 평활, 성숙하면 1개의 격막이 있다. 투명. 13∼14×4㎛.
    자낭은 8개의 포자가 2줄로 들어있고, 100∼110×8.5∼9.5㎛. 측사는 실 모양, 격막이 있고, 끝 부분은 약간 두껍다.

    색상 : 황토색∼황토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매우 습한 지역에 떨어져 있는 참나무류나 물푸레나무 등의 잎자루(葉柄) 또는 엽맥(葉脈)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주머니자루접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Rutstroemia bulgarioides (Rabenh.) P. Karst.
    과명 : 자루접시버섯과(Rutstroemiaceae)
    속명 : 자루접시버섯속(Rutstroemia)
    특징 : 폭 3∼10mm. 습지의 가문비나무 구과에 난다. 컵∼접시 모양. 윗면은 암갈흑색, 하면은 연한 색. 대는 짧다.
    자실체 : 자실체는 폭 약 3∼10mm의 극소형. 컵∼접시 모양, 위의 자실층 면은 암갈흑색, 광택이 없고 평활하다. 가장자리는 고르고 날카롭다. 아래 하면은 같은 색이나 다소 연하다.
    대는 중심생. 짧고 밑동 쪽이 가늘어 진다. 같은 색.

    포자 : 포자는 좁은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없다. (6.5)7∼9(10.5)×3.5∼5㎛.
    색상 : 암갈흑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이른 봄∼봄. 습지에 떨어진 가문비나무 등의 구과에 여러 개가 발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3. 녹황색밤껍질버섯(녹황색자루접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nzia luteovirescens (Rob. ex Desm.) Dum. & Korf
    과명 : 자루접시버섯과(Rutstroemiaceae)
    속명 : 밤껍질버섯속(Lanzia)
    특징 : 폭 2∼3mm, 평평한 접시모양∼평평한 모양, 올리브황색, 길이 1cm 정도의 대가 있다. 단풍나무 낙엽 입자루에서 난다. 녹황색자루접시버섯이 속명에 따라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자낭반은 폭 2∼3mm, 평평한 접시모양∼평평한 모양, 올리브황색, 표면은 평활하고 바깥면도 같은 색이며 평활하다. 가장자리는 약간 어두운 색.
    대는 길이 1cm 정도, 바깥면과 같은 색, 원주상이나 다소 굽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불규칙한 타원형. 평활, 투명. 2개의 방울이 들어 있고, 격막은 없다. 12∼13×6∼7㎛.
    색상 : 올리브황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딘픙니무 낙엽의 입자루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4. 주황털밤껍질버섯(주황나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nzia huangshanica Zhuang & Korf
    과명 : 자루접시버섯과(Rutstroemiaceae)
    속명 : 밤껍질버섯속(Lanzia)
    특징 : 머리부는 폭 0.3∼1.2mm, 원반모양, 신선할 때는 적색∼오렌지적색, 건조하면 암적색. 짧은 대가 있다. 주황나발버섯이라 하였으나 속명에 따라 개칭.
    자실체 : 자실체의 머리부는 0.3∼1.2mm, 원반모양, 신선할 때는 적색∼오렌지적색, 건조하면 암적색.
    대는 0.3∼0.7mm 정도의 짧은 대가 있다. 황색∼오렌지황색. 대의 밑동은 흑색.

    포자 : 포자는 긴 방추형, 투명, 19∼25×3∼4.5㎛.
    색상 : 적색∼오렌지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의 잔가지 또는 잎의 엽맥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대만.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5. 털밤껍질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nzia echinophila (Bull.) Korf
    과명 : 자루접시버섯과(Rutstroemiaceae)
    속명 : 밤껍질버섯속(Lanzia)
    특징 : 폭 7mm 정도. 떨어진 밤송이에 난다. 도토리에 나는 경우도 있다. 머리는 접시모양∼평평형, 적색∼보라색을 띤 갈색.
    자실체 : 자낭반은 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떨어진 밤송이 내면에 난다. 밤송이 내면은 자좌(子座) 조직이 형성되며 흑색. 머리는 접시모양이다가 후에 거의 평평해 진다. 때로는 중이부가 약간 위로 도드라지기도 한다. 접시 모양 머리의 지름은 약 7mm 정도. 표면은 평활, 적색을 띤 갈색∼보라색을 띤 갈색. 가장자리는 평활하거나 약간 이빨모양이 되기도 한다. 하면은 표면과 같은 색, 평활.
    대는 극히 짧고 때로는 대가 없다.

    포자 : 포자는 좁은 타원형∼소시지형. 성숙하면 2∼3개의 격막이 생긴다. 끝에 구형의 2차 포자가 생기기도 한다. 평활, 투명, 16∼20×4.5∼6㎛.
    색상 : 적색∼보라색을 띤 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지상에 떨어진 빈 밤송이의 내면 또는 외면, 도토리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6. 긴황고무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Dicephalospora rufocornea (Berk. & Br.) Spooner
    과명 : 자루접시버섯과(Rutstroemiaceae)
    속명 : 긴황고무버섯속(Dicephalospora)
    특징 : 자실체는 높이 1∼4mm, 접시모양이다가 술잔모양이 되며 자낭반은 폭 1∼5mm, 오렌지황색, 바깥면은 같은 색, 짧은 대가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높이 1∼4mm의 극소형, 접시모양이다가 술잔 모양이 되며, 자낭반의 폭은 1∼5mm, 자실층은 오렌지황색, 가장자리와 바깥면은 자실층과 같은 색이나 백색의 미모가 있다.
    대는 1∼2mm, 직경 0.5∼1mm, 원통형, 아래쪽으로 다소 좁아진다. 표면은 담황색이다가 백색이 된다. 백색의 미세한 털이 있다.

    포자 : 포자는 긴방추형, 양끝이 가늘어진다. 무색, 격벽은 없다. 26∼44×3.0∼5.1㎛.
    색상 : 오렌지황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늦봄∼가을. 활엽수의 낙지, 주로 잔가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7. 다색압정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Psilachnum chrysostigmum (Fr.) Raitv > Helotium versicolor (Quél.) Boud.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압정버섯속(Psilachnum)
    특징 : 폭 0.4∼0.8mm. 컵모양∼접시모양. 허연색∼크림색, 건드리면 유황황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전에는 Helotium versicolor 이었으나, Psilachnum chrysostigmum으로 바뀌면서 속명과 과명이 함께 바뀜.
    자실체 : 자실체는 0.4∼0.8mm의 극소형. 컵모양∼접시모양. 짧은 대가 기질에 붙어 있다. 표면 자실층은 둔하고 허연색∼크림색. 자실체를 바늘 끝 등으로 건드리면 전체 자실체가 수초 내에 유황황색으로 변하고 다시 오렌지 황색으로 변한다.
    하면은 표면과 같은 색. 미세한 털이 있다. 가장자리는 때때로 물결모양 굴곡이 진다. 약간 위로 굽는다.
    대는 짧은 대가 기질에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2개의 방울이 있다. 5∼6×1.5∼2㎛.
    색상 : 허연색∼크림색
    발생계절 :
    발생형태 : 봄. 고사리류의 줄기 썩은 곳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8. 갈색민자루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Phialina ulmariae (Lasch) Denni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민자루버섯속(Phialina)
    특징 : 폭 0.3∼0.5mm. 접시 모양∼평평. 윗면은 담황색∼황토색. 바깥 면은 다소 연하고 미세한 털. 죽은 조팝나무 줄기에 난다.
    자실체 : 자실체는 0.3∼0.5mm 정도의 극소형. 접시 모양이다가 편평한 모양이 된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 담황색∼황토색(때로는 크림색). 바깥 면과 가장자리는 다소 연하고 미세한 흰 털이 있다. 기질에 대가 없이 기질에 붙는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 평활, 투명, 격막은 없다. 10.5∼13×2㎛.
    색상 : 담황색∼황토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죽은 조팝나무의 줄기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민털주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Pezizella alniella (Nyl.) Denni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주발버섯속(Pezizella)
    특징 : 폭 0.3∼0.7mm. 팽이모양, 후에 원반모양∼둥근산형. 크림색∼연한 황색. 오리나무 종자솔방울, 썩은 활엽수 가지 등에 난다.
    자실체 : 자실체는 폭 0.3∼0.7mm의 극소형. 어릴 때는 팽이모양, 곧 원반모양∼약간 둥근산형이 된다. 거의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붙지만 극히 짧은 대가 있는 것도 있다. 표면 자실층은 크림색∼연한 황색. 평활하거나 미세하게 분상. 가장자리는 불규칙하며 다소 파인 모양.
    하면은 같은 색, 미세하게 분상,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간혹 2개의 방울이 있다. 9∼11×2.5∼3㎛.
    색상 : 크림색∼연한 황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땅에 떨어진 오리나무류의 종자 솔방울, 썩은 활엽수 가지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0. 황금종지버섯(털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Neodasyscypha cerina (Pers.) Spoon. > Dasyscyphus cerinus (Pers.) Fuckel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황금종지버섯속(Neodasyscypha)
    특징 : 폭 0.1∼1mm. 구형이다가 컵 모양. 윗면은 금빛 황색∼갈황색, 바깥 면은 황갈색 밀모가 두껍게 피복. 털컵버섯이 속이 바뀌어 개칭됨. 색깔 변화가 크다.
    자실체 : 자실체는 직경 0.1∼1(2)mm의 극소형. 어릴 때는 구형이고 윗면이 닫혀 있으나 자라면서 컵 모양이 되고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굽는다. 때때로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찌그러진 모양이 되기도 한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 금빛 황색∼갈황색(때로는 회갈색). 바깥 면은 황갈색의 밀모가 밀생해 있다. 대가 없이 기물에 부착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격막은 없다. 4∼4.5×2∼2.5㎛.
    자낭은 8포자형, 포자는 불규칙하게 배열되거나 또는 2줄로 배열된다. 측사는 실모양, 자낭보다 더 크게 돌출된다. 털은 연한 갈색을 띠며, 표면에 미세한 거친 결정이 피복되어 있고, 격막은 2중 격막.

    색상 : 금빛 황색∼갈황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 또는 가을. 수피가 없는 활엽수 목재에 군생 또는 총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