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 Peniophora lycii (Pers.) Höhn & Litsch.
- 껍질고약버섯과(Peniophoraceae)
- 껍질고약버섯속(Peniophora)
- 배착생. 보라색을 띤 회청색. 건조하면 갈라진다. 활엽수 가지나 잔가지에 난다.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자실체는 0.1mm 이하로 매우 얇다. 기질에 수 cm의 불규칙한 크기로 얇게 퍼지면서 부착되어 있다. 부근의 자실층과 서로 융합되기도 한다. 자실층의 표면은 평활하지만, 처음 발생된 곳에 낮은 결절이 생기기도 한다. 보라색을 띤 회청색 또는 회청색을 띤 허연색. 간혹 분상을 띠기도 한다. 건조하면 목질부와 함께 갈라지기도 한다.
-
포자는 원주형∼약간 굽은 형. 9∼13×3.5∼5㎛.
담자기는 좁은 곤봉형, 25∼35×4∼6㎛., 4개의 담자뿔이 있다. 낭상체에는 결정체가 붙어 있고, 크기는 25∼35×15∼25㎛. - 보라색을 띤 회청색
- 연중내내
- 연중 내내. 여러 가지 활엽수의 가지나 잔가지에 난다. 유럽에서는 흔하다
- 한국, 유럽.
- 비식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www.jcdegids.be/_Fiches_website_2012/Peniophora%20lycii.html
"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