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Tricholomopsis sasae Hongo
과명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솔버섯속(Tricholomopsis)
특징 소형. 갓은 오렌지황색 바탕에 연한 적갈색의 털 모양 소인편이 산포되고 중앙부에 밀집된다. 대가 가늘고 짧다. 후에 조릿대솔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갓은 폭 1∼4.5cm 크기의 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진다. 갈색을 띤 오렌지황색의 바탕에 연한 적갈색∼흑적색의 털 모양 소인편이 산포되어 있고, 중앙부는 밀집되어 있다. 살은 얇고 황색을 띤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황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백분상, 촘촘하고 대에 홈붙음∼띠붙음.
대는 1.5∼3.5cm(굵기3∼5mm), 상하 같은 굵기이고 연한 갈색을 띤 황색. 속이 비어 있다.
포자 포자는 넓은 타원형∼아구형. 평활, 투명, 5∼6.2×4∼5.2㎛.
색상 오렌지황색
발생계절 가을
발생형태 가을 조릿대 밭이나 초원 등에 소수 군생∼속생.
분포 한국, 일본.
식용여부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sasaakagetake-akiyoshi1.jpg

 

사진출처 : http://yoshiki-yk.sakura.ne.jp/sasaakagetake.htm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대솔버섯(조릿대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opsis sasae Hongo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솔버섯속(Tricholomopsis)
    특징 : 소형. 갓은 오렌지황색 바탕에 연한 적갈색의 털 모양 소인편이 산포되고 중앙부에 밀집된다. 대가 가늘고 짧다. 후에 조릿대솔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갓은 폭 1∼4.5cm 크기의 소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진다. 갈색을 띤 오렌지황색의 바탕에 연한 적갈색∼흑적색의 털 모양 소인편이 산포되어 있고, 중앙부는 밀집되어 있다. 살은 얇고 황색을 띤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황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백분상, 촘촘하고 대에 홈붙음∼띠붙음.
    대는 1.5∼3.5cm(굵기3∼5mm), 상하 같은 굵기이고 연한 갈색을 띤 황색. 속이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아구형. 평활, 투명, 5∼6.2×4∼5.2㎛.
    색상 : 오렌지황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조릿대 밭이나 초원 등에 소수 군생∼속생.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꽃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opsis flammula Métrod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솔버섯속(Tricholomopsis)
    특징 : 소형, 갓 표면은 어릴 때 진한 적색의 짧고 부드러운 털에서 성숙하면서 적갈색과 흑색이 섞인 털모양 작은 인편, 황색, 연한 갈색
    자실체 : 갓은 지름 1.5~5㎝정도로 어릴 때는 낮은 종 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어릴 때 진한 적색의 짧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가 성숙하면서 적갈색과 흑색이 섞인 털 모양의 작은 인편으로 변해가며 인편 밑으로 황색 또는 연한 갈색 바탕 면이 드러나 보인다. 살(조직)은 얇고 황색을 띤다.
    주름살은 황색으로 자루에 바르게 붙은 주름살에서 살짝 내려 붙은 모양이 되며, 주름살 간격은 촘촘하다.
    대 1.5~5㎝정도로 위아래 같은 굵기이고, 표면은 연한 황색 바탕에 적갈색의 미세한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속은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6-7 × 3-4 μm, 타원형∼아구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포자문, 크림색∼백색.
    색상 : 황색, 연한 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침엽수의 썩은 그루터기나 가지에 적은 수로 무리를 이루거나 홀로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장식솔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opsis decora (Fr.) Sing.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솔버섯속(Tricholomopsi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황금색 바탕에 암갈색∼올리브갈색의 미세한 비늘이 덮이고 주름살은 황금색. 대가 가늘다.
    자실체 : 갓은 폭 3∼7(9)cm 크기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되며, 중앙부는 약간 돌출되기도 하고 때로는 오목해 진다. 표면은 황금색의 바탕에 암갈색∼올리브갈색의 미세한 가는 비늘이 점상으로 덮여 있고 중앙부에 더 밀집되어 있다. 가장자리 끝은 섬유상 털이 붙어 있고 어릴 때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감겨 있다. 살은 황색, 때로는 쓴맛이 있다. 식용.
    주름살은 황금색 촘촘하고 대에 치붙음.
    대는 3∼7cm(굵기4∼10mm), 상하 같은 굵기이며 때때로 굽기도 하고, 갓과 비슷한 색. 작은 인편이 산포되어 있다. 속이 차 있거나 때로는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6.2∼8.4×4.2∼5.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죽은 나무, 그루터기에서 단생 또는 속생. 고지대에서 많이 난다. 드물다.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자주버섯(자주깔때기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sporum porphyrophyllum (S. Imai) Guzmán ex T.J. Baroni > Tricholoma porphyrophyllum S. Imai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자주버섯속(Tricholosporum)
    특징 : 중형∼대형, 갓은 암갈색∼자갈색, 깔때기 모양. 주름살은 자주색, 대는 담청색, 아래가 굵다.
    자실체 : 갓은 폭 7∼13cm의 중형∼대형. 반구형에서 평평한 모양을 거쳐 깔때기 모양이 된다. 표면은 평활, 다소 흡습성, 암갈색∼자갈색, 후에 담청색을 띤다. 가장자리는 아래로 굽으며, 물결모양,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살은 백색. 식독 불명.
    주름살은 자주색이다가 자회색∼갈색으로 퇴색되며 대에 내리붙음이고 촘촘하거나 다소 성기다.
    대는 5∼8cm(굵기1.5∼2.5cm), 윗부분이 가늘고 아래쪽이 약간 굵어진다. 처음에는 자회색∼담청색을 띠나 후에 담갈색이 된다. 속이 차 있으나 비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거칠고 큰 사마귀 돌기가 있다. 지름 4∼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암갈색∼자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숲속 땅위에 단생하거나 2∼3개 씩 총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5. 녹황색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viridifucatum Bon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중형, 중앙은 약간 볼록하다. 표면은 녹황색의 바탕에 흑회색의 방사상의 섬유가 있음 드물다
    자실체 : 갓은 폭 50~90mm로 어릴 때 반구형에서 둔한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해지나 중앙은 약간 볼록하다. 표면은 녹황색의 바탕에 흑회색의 방사상의 섬유가 있다. 중앙에 압착된 회갈색의 인편이 있고 습기가 있을 때 광택이 난다. 가장자리는 날카롭다. 살은 백색으로 변색하지 않으며 두껍고 맛은 온화하고 밀가루 냄새와 맛이 있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홈파진주름살로 백색이며 폭은 좁다. 가장자리는 물결형 또는 톱니상이다.
    대는 6~8cm, 굵기는 1~2cm로 원통형으로 가끔 기부 쪽으로 비틀린 것이 있고 표면은 밝은 녹황색으로 위와 아래쪽은 백색으로 갈색의 섬유상이다. 자루의 속은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5.5~7×4.5~6㎛로 광타원형에서 아구형이며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다. 담자기는 32~35×7~9㎛로 4-포자성이다. 기부에 꺾쇠가 있다.
    색상 : 녹황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참나무류의 숲의 땅에 단생·군생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6. 흑비늘송이(처녀송이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virgatum (Fr.) P. Kumm.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중형. 많은 줄무늬(virgảtus) 버섯. 갓은 흑회색 바탕에 가늘고 긴 흑색 또는 암색 섬유가 방사상으로 피복. 후에 처녀송이라고도 함. 색깔 변화가 크다.
    자실체 : 갓은 폭 3∼8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끝이 뾰족한 원추형, 후에 가운데가 넓게 돌출되는 둥근산형이 된다. 연한 갈색을 띤 흑회색 바탕에 매우 가늘고 긴 흑색 또는 암색의 섬유가 방사상으로 눌려 붙어 있다. 중앙부는 거의 흑색이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고르다. 살은 백색. 갓의 표피 밑은 약간 회색, 신맛이나 쓴맛이 있다. 식용.
    주름살은 어릴 때는 백색, 후에 회백색. 폭이 매우 넓고 촘촘하며 대에 홈붙음.
    대는 5∼9cm(굵기5∼15mm),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밑동 쪽이 굵으며 허연색 또는 회색 섬유상 인편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6.1∼7.5×4.6∼5.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흑회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침엽수 또는 활엽수 임내의 지상에 단생 또는 군생. 드물다.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7. 비늘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vaccinum (Schaeff.) P. Kumm.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중형. 암소(vaccinus) 버섯. 갓은 살갗갈색∼황토색 바탕에 적갈색의 솜털이 밀포되고 가장자리 밖까지 솜털이 뻗쳐 있다. 대는 갓보다 연한 색.
    자실체 : 갓은 폭 3∼8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상 원추형, 후에 둥근산형∼가운데가 둔하게 높은 평평한 형이 된다. 표면은 살갗갈색∼황토색 바탕에 적갈색의 솜털모양으로 털이 가늘게 찢어져서 밀포되고 중앙이 진하다. 가장자리 끝에는 솜털∼융털모양으로 털이 밖으로 퍼져 있다. 살은 처음에 백색이나 후에 연한 붉은색을 띤다. 식용.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나 후에 연한 살갗색이 된다. 촘촘하고 대에 홈붙음∼치붙음.
    대는 5∼10cm(굵기6∼15mm), 상부는 백색, 기타는 갓보다 다소 연한 색이고 섬유상이며,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밑동 쪽이 가늘다. 처음에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속이 비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5.5∼7×4∼5.3㎛.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살갗갈색∼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늦여름∼늦가을 침엽수 임내의 지상에 군생. 드물다.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호주, 아프리카.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8. 담갈색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ustale (Fr.) P. Kumm.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중형. 갓은 적갈색∼밤갈색, 점성이 많으며, 습할 때는 점액이 흐른다. 주름살은 백색. 시기에 따라 색깔과 형태 변화가 커서 혼동되기 쉽다.
    자실체 : 갓은 폭 4∼8cm 크기의 중형. 어릴 때는 원추상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며, 가끔 가운데에 다소 오목해 진다. 표면은 평활, 습할 때 점성이 심하다. 적갈색∼밤갈색, 가장자리 쪽이 다소 연하고 물결모양으로 굴곡되기도 한다. 살은 크림백색, 절단하면 갈색 끼를 띤다. 식용하나 다소 독성이 있어서 구토, 복통, 설사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끓여서 우려낸 후 먹는다.
    주름살은 백색. 오래되면 적갈색의 얼룩이 생긴다.
    대는 4∼9(12)cm(굵기0.5∼1.5(2.5)cm),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때로는 아래쪽이 불룩해지는 방추형이 된다. 갓보다 다소 연한색이고 꼭지부근은 연하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5.4∼6.7×3.7∼5.2㎛. 포자문은 연한 크림색.
    색상 : 적갈색∼밤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늦여름∼늦가을. 활엽수 임지에 나며,자작나무 숲에 많이 난다.
    분포 : 북반구 온대.
    식용여부 : 식용,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9. 땅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terreum (Schaeff.) P. Kumm. > Tricholoma myomyces (Pers.) J.E. Lange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중형. 갓은 쥐갈색 또는 갈회색∼암갈색, 표면은 미세한 솜털이 촘촘히 피복된 특징이 있다. 대는 허연색∼갓보다 연한 색. 색깔이 다양한 편.
    자실체 : 갓은 폭 4∼8cm의 중형.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이 되며 가운데에 다소 낮고 평평한 돌출이 생긴다. 쥐갈색 또는 갈회색∼암갈색이고 가장자리가 다소 연해지며, 표면은 미세한 솜털이 촘촘하게 피복되어 있다. 살은 연한 회백색. 식용.
    주름살은 허연색∼연한 회색. 폭이 넓고 약간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이나 떨어진 붙음이 된다.
    대는 4∼8cm(굵기1∼1.7mm), 허연색∼갓보다 연한 색이고 평활하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아구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5.9∼7.8×4.2∼6㎛. 포자문은 허연색.
    색상 : 쥐갈색, 갈회색∼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늦여름∼늦가을. 임지토양에 나며 주로 활엽수임지에 난다.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0. 유황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sulphureum (Bull.) P. Kumm. > Tricholoma sulphureum (Bull.) Kumm. var. sulphureum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중형. 유황색(sulphureus) 버섯. 갓은 유황 황색. 갓은 간혹 적갈색 끼를 띠기도 한다. 주름살은 유황황색, 대는 유황황색, 적갈색 인편 밀포. 색깔 변화가 크다.
    자실체 : 갓은 폭 3∼8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하게 퍼지며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가기도 한다. 표면은 평활, 유황 황색. 가끔 적갈색 끼를 띠기도 한다. 살은 연한 유황 황색이고 강한 가스 냄새가 있다. 독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주름살은 연한 유황 황색. 폭이 좁은 편이고, 약간 성기며 대에 홈붙음.
    대는 2.5∼7(10)cm(굵기8∼15mm), 갓과 같은 색. 적갈색의 섬유상 인편이 밀포되어 있다.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편도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5∼6.2×4∼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유황 황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에 활엽수 임지에 주로 나며, 간혹 침엽수 임지에도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북반구 온대.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1. 원뿔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subacutum Peck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 중형 원추상에서 삿갓모양으로 되었다가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부는 돌출, 회청갈색 혹은 회갈색이고 중앙에 방사상의 털상의 인편이 밀집
    자실체 : 갓은 폭 3~7.3cm로 처음 반구형 혹은 원추상에서 삿갓모양으로 되었다가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부는 돌출한다. 표면은 회청갈색 혹은 회갈색이고 중앙에 방사상의 털상의 인편이 밀집한다. 가장자리 쪽으로 연한 색 또는 오백색이다. 살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홈파진주름살로 백색이고 밀생하며 포크형이다.
    대는 6~11cm, 굵기는 0.5~1.5cm로 원주형이고 표면은 밋밋하며 털모양의 인편이 있다. 자루의 속은 비고 기부는 팽대한다.

    포자 : 포자의 크기는 6~7.5×4.5~5㎛이고 난원형으로 표면은 매끈하다.
    색상 : 회청갈색, 회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활엽수-침엽수림의 땅에 군생하며 외생균근을 형성
    분포 : 한국, 중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쓴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sejunctum (Sowerby) Quél.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올리브황색∼올리브회색의 바탕에 갈색 섬유상 인편이 방사상으로 퍼져 있고, 중앙은 암갈색. 대는 백색∼담황색, 세로로 섬유상, 오래되면 황갈색 반점.
    쓴맛이 있고 구토성이 있으므로 삶아서 우려낸 후 먹는다.

    자실체 : 갓은 폭 4∼10cm 크기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둔각의 원추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며 가장자리가 약간 물결모양이 된다. 간혹 중앙이 약간 돌출된다. 표면은 평활, 올리브황색∼올리브회색의 바탕에 갈색 섬유상 인편이 방사상으로 퍼져있고, 중앙은 암갈색 때로는 연기색을 띤다. 가장자리가 연한 색이다. 이 버섯을 지역에 따라서 색깔 차이가 심하여 혼동되기 쉬운 버섯에 속한다. 살은 백색. 갓 표면 아래는 연한 황록색. 식용.
    주름살은 허연색∼크림색. 폭이 좁고 약간 성기며 대에 홈붙음.
    대는 5∼8cm(굵기1∼2cm), 상하가 같은 굵기이지만 밑동이 다소 굵은 방망이 꼴이다. 표면은 백색∼담황색, 세로로 섬유상이며 오래되면 표면에 연한 황갈색의 반점이 생기기도 한다.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4.8∼7×4.3∼5.6㎛.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올리브황색∼올리브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활엽수 및 혼효림 임지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3. 재비늘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sciodes (Secr.) Martin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갈회색∼암갈색, 중앙이 뾰족이 돌출되고 미세한 비늘이 덮여 있다. 주름살은 백색이다가 회백색이 된다.
    자실체 : 갓은 폭 3∼7cm의 소형∼중형 버섯. 어릴 때는 원추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며, 거의 대부분 중앙부가 뾰족하게 돌출한다.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내생 또는 외생 섬유상이고 미세한 비늘이 덮여 있으며, 건조할 때는 흔히 갈라지기도 한다. 암갈색이다가 후에는 갈회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오래 동안 안으로 감겨 있으며, 날카롭고 고르다. 간혹 가장자리가 쪼개지기도 한다. 식용.
    주름살은 어릴 때는 백색, 후에 회백색. 다소 분홍색 끼가 있다.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홈붙음.
    대는 3.5∼8cm(굵기7∼18mcm), 원주상이나 간혹 아래쪽으로 굵어지거나 가늘어지기도 한다. 표면은 백색∼회백색, 평활,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속이 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6.1∼8.1×4.5∼6.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갈회색∼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내 토양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4. 노란비늘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richoloma scalpturatum (Fr.) Quél.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중형. 어릴 때는 회갈색, 후에는 연한 색∼베이지색, 표면에 암회갈색∼흑갈색 비늘이 있다. 대는 허연색∼연한 회색 바탕에 세로로 미세한 섬유상, 매끄럽다.
    자실체 : 갓은 폭 2.5∼6(8)cm의 소형. 어릴 때는 둥근산형, 곧 평평해지며, 중앙이 둔하게 돌출된다. 표면은 미세하게 방사상으로 섬유상. 어릴 때는 회갈색, 후에 연한 색∼베이지색이 되고, 비늘은 암회갈색∼흑갈색, 가장자리 쪽은 연하다. 때로는 붉은색 끼가 있다. 가장자리는 오래 동안 안쪽으로 굽어 있다. 살은 백색, 얇다. 식용.
    주름살은 어릴 때는 백색∼회백색. 점차 황색을 띤다.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 홈붙은 형은 되지 않는다. 날은 다소 굴곡이 지거나 가는 톱날형이 된다.
    대는 3∼6cm(굵기5∼10mm), 원주형, 때로는 밑동쪽으로 약간 굵어진다. 흔히 굽어 있다. 표면은 허연색∼연한 회색 바탕에 세로로 미세한 섬유상. 공단처럼 매끄럽다.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4.6∼6.0×3∼3.7㎛.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연한 색∼베이지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또는 침엽수 임내 지상, 공원, 관목림 내 지상 등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5. 송이아재비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robustum (Alb. & Schwein.) Ricken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적갈색∼진한 갈색, 표면이 찢어져 섬유상 인편이 된다. 대는 적갈색, 밑동이 급히 가늘어진다. 송이보다 다소 늦게 나고, 끓이면 검은색을 띤다.
    자실체 : 갓은 폭 4∼10cm 크기의 중형. 둥근산형이다가 후에 낮은 둥근산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갈색∼진한 갈색, 표면이 작고 잘게 찢어져 섬유상의 인편이 된다. 중앙이 진하고 가장자리가 연하다. 가장자리는 아래쪽으로 굽으며 막편이 부착되기도 한다. 살은 백색인데 후에 갈색을 띤다. 식용. 끓이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송이보다 향기가 약하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대에 띠붙음이다가 퍼지면 홈붙음이 된다. 백색 후에 갈색의 얼룩이 생긴다.
    대는 5∼10cm(굵기 1∼2cm). 거의 같은 폭이지만 밑동이 급히 가늘어 진다. 꼭지는 백색이고 아래쪽은 적갈색.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6∼7×3.5∼4㎛.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적갈색∼진한 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송이보다 조금 늦은 시기에 소나무림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북미, 호주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6. 낙엽송송이(족제비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psammopus (Kalchbr.) Quél.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중형. 갓과 대는 황토갈색, 갓 중앙이 약간 돌출. 주름살은 백색∼연한 황색, 낙엽송 임지에 난다. 후에 족제비송이라고도 했다. 색깔변화가 다소 크다.
    자실체 : 갓은 폭 3∼8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되고 약간 중앙이 돌출된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황토갈색, 가운데가 진하다. 평활하거나 또는 가는 인편이 덮여 있다. 살은 허연색. 식용하나 다소 쓴맛이 있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 후에 연한 황색을 띠며 오래된 것은 갈색의 얼룩이 생긴다.
    대는 4∼8(10)cm(굵기5∼15mm), 상하가 같은 굵기이거나 아래쪽이 다소 굵다. 갓과 같은 색. 작은 인편이 덮여 있다. 꼭지는 허연색.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5.8∼6.3×4.4∼5.3㎛.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황토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낙엽송 임내 지상에서 군생 또는 산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일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7. 줄무늬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portentosum (Fr.) Qüel.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중형, 갓은 중앙부가 볼록하고 방사상의 암색의 줄무늬선이 있으며 노후하면 털모양의 인편이 있다. 어두운 회색
    자실체 : 갓은 폭 5~10cm로 처음 반구형에서 거의 편평형으로 되며 중앙부가 볼록하다. 표면은 거의 밋밋하고 방사상의 암색의 줄무늬선이 있으며 노후하면 털모양의 인편이 있다. 살은 백색에서 황색이며 약간 얇고 맛은 없다.
    자루의 살은 송진 냄새가 나고 어떤 때는 털모양의 흔적이 있다. 가장자리는 아래로 말리고 나중에 종종 갈라진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바른주름살에서 홈파진주름살로 백색 또는 황색으로 포크형이다.
    자루는 3.5~10cm, 굵기는 0.5~1.6cm로 거의 원주형 또는 거의 곤봉상이다. 표면은 비교적 거칠고 백색이고 거의 밋밋하며 상부는 백색의 작은 인편이 있고 하부는 때때로 황갈색의 반점이 있다.

    포자 : 포자의 크기는 5~6.5×3.5~5㎛로 난원형 또는 아구형이고 표면은 밋밋하다. 포자문른 흰색
    색상 : 어두운 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늦여름~가을 숲속의 땅에 군생·산생
    분포 : 한국, 중국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8. 무리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populinum Lge.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중형∼대형. 연한 갈색∼적갈색. 살은 백색. 균환을 만들거나 무리로 난다. 담갈색송이 비슷하나 주름살이 백색이다가 후에 적갈색. 대는 백색이다가 갈색끼를 띤다.
    자실체 : 갓은 폭 6∼12(14)cm의 중형∼대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한 형이 되며, 가장자리는 어릴 때 안쪽으로 오래 감겨 있다. 중앙이 돌출되지는 않는다. 표면은 평활, 습기가 있을 때는 약간 점성이 있고 건조할 때는 광택이 있으며 갈라지기도 한다. 연한 갈색∼적갈색, 중앙 쪽이 진하다. 가장자리는 약간 고랑이 져 있다. 살은 백색, 표피 아래는 적갈색, 두껍고 단단하다. 식용할 수 있다.
    주름살은 백색, 후에 날 부분으로부터 적갈색으로 변한다. 폭은 좁고 빽빽하며, 대에 홈붙음. 날은 고르다.
    대는 5∼10cm(굵기 1∼3cm), 원주형, 간혹 아래쪽으로 굵어지거나 가늘어지기도 한다. 표면은 평활하고 광택이 있으며, 백색, 후에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색끼를 띤다. 미세하게 세로로 섬유상.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광타원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4.1∼6.5×3.0∼4.9㎛.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연한 갈색∼적갈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포플러 류의 숲이나 혼효림 임지 토양에 난다. 때로는 큰 균환을 만들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거북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pardinum Quél.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중형∼대형. 암회백색 바탕에 섬유상 인편 밀포. 주름살은 백색∼황토색, 대의 상단은 백색 분상, 아래쪽은 백색 바탕에 담갈색의 작은 섬유상 인편이 덮여 있다. 형태와 색깔 변화가 매우 크다.
    자실체 : 갓은 폭 5∼15cm의 중형∼대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한 형이 된다. 어떤 것은 중앙이 오목해 지기도 하고 어떤 것은 돌출되기도 한다. 표면은 건조하고 암 회백색이며, 섬유상 비늘로 덮여 있다. 독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주름살은 어릴 때는 백색, 촘촘하며, 폭이 넓고 대에 치붙음.
    대는 5∼15cm(굵기15∼35mm), 원주형이며 흔히 밑동이 다소 굵다. 상단은 백색 분상, 아래쪽은 백색 바탕에 담갈색을 띤 작은 섬유상 인편이 덮여 있다. 속이 차 있고 단단하며, 섬유질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8∼10×5.5∼6.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암회백색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임내 지상에 난다. 군생 또는 속생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미국.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0. 독송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Tricholoma muscarium Kawam. ex Hongo
    과명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속명 : 송이속(Tricholoma)
    특징 : 소형. 파리 잡이(muscárium) 버섯. 담황색 끼의 바탕에 올리브갈색 섬유가 촘촘히 덮이고 중앙부가 뾰족하게 돌출. 대는 백색, 가운데가 굵은 방추형.
    자실체 : 갓은 폭 4∼6cm 크기의 소형. 원추형이다가 둥근산형 후에 거의 평평하게 퍼지며 중앙부가 뾰족하게 돌출한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담황색의 바탕에 갈색을 띤 올리브색 섬유가 촘촘하게 덮여있고 중앙부가 진하며 가장자리가 연하다. 살은 거의 백색. 이 버섯에는 살충제 성분인 트리코민산이 함유되어 있다. 식용되기도 하지만, 많이 먹으면 술 먹은 후 악취된 상태처럼 되는 증상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먹지 않거나, 적게 먹는 것이 좋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백색, 후에 약간 황색을 띠게 된다. 폭이 넓고 촘촘하거나 약간 성기고 대에 내리붙음이면서 홈붙음.
    대는 6∼8cm(굵기6∼15mm), 상하가 같은 굵기, 또는 다소 가운데가 굵은 방추형이 된다. 거의 백색∼담황색, 섬유상이고 거의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투명, 5.5∼7.5×4∼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담황색 끼의 바탕에 올리브갈색 섬유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에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활엽수 임내 지상에 군생하거나 산생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용,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