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09 10:44

끈적버섯

조회 수 2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Cortinarius violaceus (L.) Gray
과명 끈적버섯과(Cortinariaceae)
속명 끈적버섯속(Cortinarius)
특징 소형∼중형. 보라색(violảceus) 버섯. 갓은 암자색, 미세한 털∼거스름 모양 인편 피복. 대는 갓과 같은 색.
자실체 갓은 4∼10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하게 퍼지고 가운데가 낮게 돌출되기도 한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암자색. 다소 진한 미세한 털이 빽빽이 덮여 있지만 후에 가는 거스름 모양의 인편이 된다. 어릴 때는 갓과 대 사이에 연한 보라색의 거미줄 모양 그물막이 연결된다. 살은 두껍고 연한 청자색.
주름살은 갓과 같은 암자색을 띠지만 후에 자갈색∼흑갈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 또는 치붙음.
대는 6∼12cm(굵기10∼25mm), 아래쪽으로 굵어져서 20∼40cm에 달하기도 한다.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인데 최초에는 비로드 상으로 후에는 섬유상으로 된 인편이 불규칙한 띠 모양으로 생긴다. 거미줄 막은 청자색이지만 후에는 포자가 낙하해서 녹슨 색으로 된다.
포자 포자는 타원형∼편도형. 황토갈색, 사마귀가 덮여 있다. 11.5∼14.5×7∼8.5㎛
색상 암자색
발생계절 가을
발생형태 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지에 난다. 식용할 수 있다.
분포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YDY03401.jpg

 

YDY03409.jpg

 

YDY03410.jpg

 

YDY03413.jpg

 

YDY03415.jpg

 

YDY03419.jpg

 

사진출처 : 자체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향기잣버섯_향기잣버섯속으로 변경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Lentinus sauavissimus Fr.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잣버섯속(Lentinus)
    특징 : 극소형~소형 둥근산모양에서 곧 깔때기형으로 되며 중앙은 톱니상 밝은 노란색~ 황토빛 노란색 습할 시 홈파진줄무늬가 생김
    자실체 : 갓은 2~5cm로 둥근산모양에서 곧 깔때기형으로 되며 중앙은 톱니상이다. 표면은 둔하고 밝은 노란색에서 황토빛 노란색으로 되고 약간 밋밋하다. 가장자리는 습할 시 홈파진줄무늬가 있고 건조 시는 밋밋하며 오랫동안 아래로 말린다. 살은 백색으로 얇고 질기며 냄새가 나고 맛은 온화하다.
    주름살은 긴-내린주름살로 어릴 때 백색에서 노란색으로 되며 폭은 넓고 보통 대와 융합할 때 구멍이 생긴다. 가장자리는 톱니상이다.
    대는 1~3cm, 굵기는 0.3~0.5cm로 원추형이고 중심생 또는 측생이나 가끔 대가 없는 것도 있다. 표면은 그물꼴이며 구멍은 거친 털상이며 백색에서 노란색으로 되며 속은 차고 질기다.

    포자 : 포자는 원통형-타원형, 평활, 투명 5.5~8×2.5~3㎛
    담자기는 가는 막대형으로 20~30×4~5.5㎛로 4-포자성이며 기부에 꺾쇠가 있다.

    색상 : 밝은 노란색~ 황토빛 노란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썩는 고목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중국, 아시아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벨벳잣버섯(털잣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Lentinus velutinus (Berk.) Pegler & Rayner
    과명 :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속명 : 잣버섯속(Lentinu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얕은 깔때기모양, 중심생의 가늘고 긴 대가 있다. 갓과 대 표면에 밤색∼암갈색 벨벳모양 털이 밀생. 주름살은 담황색∼다소 분홍색.
    자실체 : 갓은 4(6)∼7cm 정도의 소형∼중형. 자라면 얕은 깔때기형, 얇고 가죽질. 표면은 가는 털이 밀생하여 벨벳(비로드) 모양, 밤색∼암갈색,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줄금이 있고, 건조하면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오므라든다. 살은 백색. 얇다.
    주름살은 담황색, 다소 분홍색을 띤다. 촘촘하며, 때에 따라 분지가 된다. 날은 평탄하고, 대에 내리붙음.
    대는 5∼8cm(굵기 4∼6mm). 중심생, 원주형, 가늘고 길다. 표면은 갓과 같은 모양의 미세한 털이 덮여있고, 암갈색.

    포자 : 포자는 원주상 타원형, 5∼7.5×2.8∼3.5㎛.
    담자기는 4개의 담자뿔이 있다. 후막낭상체가 있다. 28∼44×4.5∼8㎛. 자실층에 매몰되어 있거나 또는 약간 돌출되어 있다.

    색상 : 밤색∼암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줄기 썩은 부위나 그루터기 또는 토양에 묻힌 가지에서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넓게 분포.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흰털젖버섯(털젖버섯아재비, 노란주름젖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Lactifluus subvellereus (Peck) Nuyt. > Lactarius subvellereus Peck > Lactarius subvellereus var. subdistans Hesl. & Sm.
    과명 : 무당버섯과(Russulaceae)
    속명 : 털젖버섯속(Lactifluus)
    특징 : 중형. 양털 덮인(vellẻreus) 버섯. 갓은 백색, 후에 황색끼∼갈색끼를 띤 얼룩, 표면에 미세한 털이 비로드상 피복된 특징이 있다. 대는 백색. 젖버섯속에서 털젖버섯속으로 개칭.
    자실체 : 갓은 8∼10cm의 중형. 중앙이 오목한 둥근산형이다가 퍼지면 낮은 깔때기모양이 된다. 표면은 흰색의 미세한 털이 비로드 상으로 덮여 있다. 흰색, 후에 황색 끼∼갈색 끼를 띤 얼룩이 생긴다. 가장자리는 어릴 때 안쪽으로 강하게 말린다. 갓이 땅속에서 퍼지기 때문에 많은 흙이나 낙엽이 피복되기도 한다. 살은 흰색. 단단하다. 절단해서 공기와 접촉하면 황색 끼를 띤다. 유액은 다량 분비되고 처음에는 흰색이나 후에 크림색이 된다.
    주름살은 연한 크림색. 폭이 좁고 촘촘하거나 매우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약간 내리붙음. 흔히 분지가 된다.
    대는 3∼3.5(4.5)cm(굵기20∼25mm), 굵고 짧으며 속이 차 있거나 해면상이다. 표면은 흰색. 비로드상이다.

    포자 : 포자는 넓은 난형∼아구형. 미세한 사마귀가 극히 가늘게 연락되어 있다. 7∼9×5.5∼7㎛.
    색상 : 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지 또는 소나무와의 혼생림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식용여부 : 약용,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기와버섯(적녹색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virescens (Schaeff.) Fr. > Russula viridrurolimbata Ying
    과명 : 무당버섯과(Russulaceae)
    속명 : 무당버섯속(Russula)
    특징 : 중형. 초록색(virẻscens) 버섯. 갓은 녹색, 수많은 점상의 진한 색 무늬가 산재되어 기와 모양인 특징이 있다. 흔하다.
    자실체 : 갓은 6∼10(13)cm의 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평평해 지며 중앙이 오목해 지고 결국은 약간 낮은 깔때기 형으로 된다. 표면은 녹색∼회록색인데 수많은 다각형 또는 점상의 진한 색 무늬가 방사상으로 산재된다. 때로는 무늬 부분이 다소 얕게 균열이 된다. 가장자리에는 방사상으로 요홈이 생기기도 한다. 살은 흰색. 어릴 때는 다소 단단하다. 식용.
    주름살은 흰색. 후에 약간 크림색을 띤다. 폭이 좁고 촘촘하며 대에 치붙음.
    대는 5∼10cm(굵기20∼30mm), 상하 같은 굵기 또는 아래쪽으로 가늘다. 속이 차 있다가 스펀지 모양(해면상)이 된다. 표면은 흰색인데 세로로 다소 잔주름이 나타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일부 그물눈이 만들어지고, 점상 또는 능선상 사마귀가 덮인다. 6.0∼8.8×4.9∼6.5㎛. 포자문은 허연색∼연한 크림색.
    색상 : 녹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 임지, 특히 참나무류나 자작나무 임지에 많다. 흔한 편.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5. 기와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crustosa Peck
    과명 : 무당버섯과(Russulaceae)
    속명 : 무당버섯속(Russula)
    특징 : 중형. 갓은 담황토색∼갈색을 띤 황토색, 표피가 불규칙한 다각형으로 균열. 기와버섯과 매우 흡사하나 색깔이 다르다.
    자실체 : 갓은 5∼11(15)cm의 중형. 어릴 때는 구형∼둥근산형, 후에 중앙이 오목한 낮은 둥근산형∼깔때기형이 된다. 표면은 습할 때 약간 점성이 있으나 속히 건조한다. 담황토색∼갈색을 띤 황토색, 가운데가 진하다. 표피는 흔히 불규칙한 다각형으로 쪼개진다. 오래되면 가장자리에 알갱이 모양으로 줄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살은 흰색. 식용.
    주름살은 흰색이지만 후에 약간 황색을 띤다. 폭은 약간 넓고 대에 치붙음이다가 대에 떨어진 붙음이 된다.
    대는 4∼7(8.5)cm(굵기12∼25(45)mm),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때로는 아래쪽으로 가늘어 진다. 흰색 또는 약간 황토색을 띠고 약간 분상이다. 속은 스펀지 모양(해면상)으로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난상 아구형. 표면에 작은 사마귀와 미세한 연락끈이 있다. 6.5∼8.5×5.5∼7㎛.
    색상 : 담황토색∼갈색을 띤 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 임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6. 당귀젖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Lactarius subzonarius Hongo
    과명 : 무당버섯과(Russulaceae)
    속명 : 젖버섯속(Lactarius)
    특징 : 소형. 갓은 연한 살색∼연한 적갈색, 연한 살색과 계피갈색 테무늬가 연속적으로 교호된다. 주름살은 연한 살색, 대는 적갈색. 향기젖버섯보다 테무늬가 뚜렷하고, 계피색.
    자실체 : 갓은 2.5∼5(6)cm의 소형. 중앙이 오목한 둥근산형이다가 깔때기 모양으로 퍼진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연한 살색과 계피갈색의 테무늬(環紋)가 연속적으로 서로 교호된다. 살은 담황갈색. 약간 두껍다. 유액은 연한 흰색을 띠는 물 모양.
    주름살은 연한 살색. 상처를 받으면 다소 갈색이 된다. 폭이 좁고 극히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상 내리붙음. 때에 따라 분지가 된다.
    대는 2.5∼3cm(굵기5∼7mm), 거의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때로는 아래쪽이 굵다. 적갈색이고 백분상이다. 세로로 골이 있고 밑동은 황갈색을 띤 거친 털이 있다. 속이 비어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표면에 약간 불완전한 그물눈이 있다. 6.3∼8×5.8∼6.7㎛. 포자문은 크림색.
    색상 : 연한 살색∼연한 적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지에 군생 또는 단생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7. 황금맥수염버섯(침유색고약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학명 : Hydnophlebia chrysorhiza (Torr.) Parmasto > Phanerochaete chrysorhiza
    과명 : 아교버섯과(Meruliaceae)
    속명 : 맥수염버섯속(Hydnophlebia)
    특징 : 배착생. 오렌지황색, 자실층 표면에 1∼4mm 정도의 가늘고 긴 침을 가지고 있다. 침유색고약버섯으로도 하였음.
    자실체 :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기물에 얇은 막으로 부착하며 벗겨지기 쉽다. 오렌지황색∼오렌지적색. 가장자리는 처음에 흰색이나 후에 밝은 오렌지황색이 되며, 연한 오렌지색∼오렌지황색의 긴 균사속을 가지고 있다.
    자실층의 표면에는 길이 1∼4mm 정도, 가늘고 끝이 뾰족한 원통형의 침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은 고립되어 있지만 때로는 2∼3개가 유합된 것도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4×2.5㎛.
    색상 : 오렌지황색∼오렌지적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수피 면에 난다. 재목의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때로는 낙엽에도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소련 극동부.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8. 톱니겨우살이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소나무비늘버섯목(Hymenochaetales)
    학명 : Coltricia cinnamomea (Jacq.) Murr.
    과명 :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
    속명 : 겨우살이버섯속(Coltricia)
    특징 : 극소형∼소형. 갓은 원반모양, 중심은 배꼽모양. 적갈색~황갈색, 가죽질, 동심원상 테 무늬가 있다.
    자실체 : 갓은 1~4cm 로 원형~깔 때기형으로, 적갈색~황갈색이며 방사상의 섬유무늬와 동심상의 환문이 있고 비단상 광택이 있다.
    갓 둘레는 톱니상이다.
    관공은 황갈색~암갈색이며, 관공구는 다각형에 크다.
    대는 1~4cm 이고 원통형이고 중심생~편심생이며, 흑갈색의 비로드상이다.

    포자 : 포자는 6~7x5~5.5㎛로 광타원형이다. 포자문은 백색
    색상 : 적갈색~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에 혼합림 내 땅에서 난다
    분포 : 전세계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9. 노랑무당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flavida Frost
    과명 : 무당버섯과(Russulaceae)
    속명 : 무당버섯속(Russula)
    특징 : 소형∼중형. 노란(flảvus) 버섯. 갓과 대가 노란색을 띠는 아름다운 버섯. 주름살은 흰색.
    자실체 : 갓은 3∼8.5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해 진후 나중에는 중앙이 오목해 진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비로드 상∼분상, 표피는 벗겨내기 어렵다.
    주름살은 흰색이다가 후에 탁한 흰색이 된다. 폭은 보통이고 약간 촘촘하거나 약간 성기며 대에 치붙음 또는 떨어진 붙음. 흔히 분지가 된다.
    대는 3∼8cm(굵기8∼22mm), 갓과 같은 황색이고 세로로 요홈이 있다. 내부는 스펀지 모양이다. 살은 흰색. 불쾌한 냄새가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표면에 작은 침 모양으로 돌기와 그물눈이 있다. 7.5∼9×6∼7.5㎛.
    색상 : 노란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림이나 소나무와의 혼효림 지상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0. 빨간구멍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Boletus subvelutipes Peck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그물버섯속(Boletus)
    특징 : 중형∼대형. 갓은 색깔 변화가 심하다. 적색 끼를 띤 암갈색, 갈적색, 황갈색 등. 미모가 밀생, 후에 평활. 관공과 대는 혈홍색. 상처받으면 곧 암청색으로 변한다. 갓의 색깔이 매우 다양해서 혼동되기 쉽다.
    자실체 : 갓은 6∼13cm의 중형∼대형.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해 진다. 표면은 처음에 미모(微毛)가 밀생하고 비로드상이나 후에 무모 평활해 진다. 색깔의 변화가 매우 심하다. 적색 끼를 띤 암갈색. 적갈색, 황갈색, 계피적색 등이고 강하게 만지면 암청색으로 변색한다. 살은 황색. 절단하면 진한 청색으로 변한다.
    관공은 구멍은 소형, 오렌지색이다가 곧 혈홍색∼적갈색, 관공은 황색이다가 후에 녹색을 띤 황색이 된다. 대에 치붙음∼떨어진 붙음. 구멍이나 관공 모두 만지거나 상처를 받으면 암청색으로 변한다.
    대는 5∼10(14)cm(굵기10∼20mm), 위쪽을 향해서 약간 가늘어 지거나 거의 같은 굵기. 밑동은 황색의 균사가 덮여 있다. 표면은 황색 바탕에 혈홍색∼적갈색의 가는 점이 밀포되어 있다. 간혹 꼭지에 가는 그물눈이 있다. 상처를 받으면 곧 암청색으로 변한다.

    포자 : 포자는 아 방추형. 평활, 11∼12.5×4∼5㎛. 포자문은 올리브색.
    색상 : 적색 끼를 띤 암갈색, 갈적색, 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의 활엽수 임내 지상에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독성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1. 절구무당버섯(절구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무당버섯목(Russulales)
    학명 : Russula nigricans (Bull.) Fr.
    과명 : 무당버섯과(Russulaceae)
    속명 : 무당버섯속(Russula)
    특징 : 중형∼대형. 갓은 탁한 백색이다가 회색, 암갈색∼거의 흑색. 주름살은 넓고 성기며 허연색이다가 적색 및 흑색끼를 띤다. 살은 상처를 받으면 붉은색-흑색으로 변한다. 절구버섯이라고도 하였지만, 무당버섯속에 속하여 혼동되므로 개칭된 것이다.
    자실체 : 갓은 5∼15cm의 소형∼대형. 중앙이 오목한 둥근산형이다가 얕은 깔때기 형이 된다. 표면은 거칠고 처음에 탁한 백색이지만 곧 회색. 암갈색. 거의 흑색으로 변한다. 어릴 때는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린다. 살은 흰색. 상처 받으면 적색이 되며 곧 흑색으로 변한다. 어릴 때 식용. 그러나 비슷한 버섯 중에 맹독성인 절구버섯아재비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주름살은 허연색, 후에 붉은 끼를 띠거나 흑색 끼를 띤다. 상처를 받으면 붉은색을 띠고 후에 흑색이 된다. 부서지기 쉽고 물방울이 맺히기도 한다. 폭이 매우 넓고 성기며 대에 띠붙음이면서 홈붙음. 작은 주름살이 혼재해 있다.
    대는 3∼8cm(굵기10∼30mm), 단단하고 갓과 같은 색.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밑동이 굵다. 상처를 받으면 벽돌색을 띤다. 속이 차 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타원형. 부분적으로 그물눈이 있고, 점상 또는 능선상 사마귀가 덮여 있다. 6.4∼8.5×5.4∼6.6㎛.
    색상 : 탁한 백색이다가 회색, 암갈색∼거의 흑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소나무 등 침엽수와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지의 지상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호주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흰그물쓴맛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Tylopilus valens (Corner) Hongo & Nagasawa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쓴맛그물버섯속(Tylopilus)
    특징 : 중형~대형, 갓 표면 회색~회백색으로 되는데 붓으로 그은 듯한 무늬가 종종 있다. 관공은 백색에서 분홍색 대에는 백색인데 같은 색의 융기된 선명한 그물무늬로 덮여있다.
    자실체 : 갓은 5~13㎝정도로 어릴 때는 반원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어릴 때 벨벳과 같은 질감이고, 옅은 회흑색 또는 진한 회색을 띠다가 성숙하면서 매끄러워지고, 회색~회백색으로 되는데 붓으로 그은 듯한 무늬가 종종 보인다. 습할 때는 약간 끈적거린다. 살(조직)은 백색이다.
    관공은 백색에서 분홍색으로 변해가며 대 끝에 붙은 모양에서 약간 떨어진 모양으로 되고, 구멍은 원형~다각형이며, 구멍의 밀도(간격)는 매우 촘촘하다. 상처가 나면 갈색으로 변한다.
    대는 길이 7~15㎝정도이고 두꺼우며, 아래쪽으로 약간 굵어지고, 자루 표면은 백색인데 같은 색의 융기된 선명한 그물무늬로 덮여있다. 기부에는 백색의 균사가 있다.

    포자 : 포자는 크기 11~16×5~5.5㎛로 방추형
    색상 : 회색~회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림 내의 땅 위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3. 흑꼭지갓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epiota atrodisca Zeller
    과명 : 주름버섯과(Agaricaceae)
    속명 : 갓버섯속(Lepiota)
    특징 : 극소형∼소형. 표면은 회백색, 중앙은 흑색∼흑갈색. 가장자리 쪽은 균열되어 크고 작은 미세한 인편 분포.
    자실체 : 갓은1.5∼4cm의 극소형∼소형. 둥근산형이다가 거의 평평한 형이 된다. 중앙은 흔히 약간 돌출이 된다. 표면은 건조하고, 회백색의 표면에는 균열이 되어서 크고 작은 미세한 흑색 또는 흑갈색 인편이 퍼져 있고, 중앙에 밀집되어 있다. 살은 매우 얇고, 백색. 식독 불명.
    주름살은 백색. 촘촘하며, 대에 떨어진 붙음, 홈붙음이 되기도 한다. 돋보기로 보면 날에 미세한 털이 있다.
    대는 2∼8.5cm(굵기 1∼4mm), 원주형. 표면은 갈색이나 꼭지 부분은 옅은 색. 고리는 상부에 있고, 막질로 백색. 밑동 쪽으로 굵어지며, 대의 속은 비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비교적 벽이 두꺼운 편. 5.5∼7.9×3.5∼4.5㎛. 포자문은 백색.
    색상 : 회백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숲속의 땅에 단생 또는 산생
    분포 : 한국, 중국, 유럽.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반승언, 조덕현. 2012. 백두산의 고등균류상(1).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0(3-4): 193∼220. 한국자연보전협회

    Read More
  14. 끈적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Cortinarius violaceus (L.) Gray
    과명 : 끈적버섯과(Cortinariaceae)
    속명 : 끈적버섯속(Cortinarius)
    특징 : 소형∼중형. 보라색(violảceus) 버섯. 갓은 암자색, 미세한 털∼거스름 모양 인편 피복. 대는 갓과 같은 색.
    자실체 : 갓은 4∼10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하게 퍼지고 가운데가 낮게 돌출되기도 한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암자색. 다소 진한 미세한 털이 빽빽이 덮여 있지만 후에 가는 거스름 모양의 인편이 된다. 어릴 때는 갓과 대 사이에 연한 보라색의 거미줄 모양 그물막이 연결된다. 살은 두껍고 연한 청자색.
    주름살은 갓과 같은 암자색을 띠지만 후에 자갈색∼흑갈색. 폭이 넓고 촘촘하며 대에 띠붙음 또는 치붙음.
    대는 6∼12cm(굵기10∼25mm), 아래쪽으로 굵어져서 20∼40cm에 달하기도 한다.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인데 최초에는 비로드 상으로 후에는 섬유상으로 된 인편이 불규칙한 띠 모양으로 생긴다. 거미줄 막은 청자색이지만 후에는 포자가 낙하해서 녹슨 색으로 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편도형. 황토갈색, 사마귀가 덮여 있다. 11.5∼14.5×7∼8.5㎛
    색상 : 암자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지에 난다. 식용할 수 있다.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5. 노란가루광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Amanita aureofarinosa D.H. Cho
    과명 : 광대섯과(Amanitaceae)
    속명 : 광대버섯속(Amanita)
    특징 : 황금분말(aureofarínosus) 버섯. 갓은 황색, 중앙에 적색을 띤다. 표면에 황색 분말 피복.
    자실체 : 갓은 폭 7~8cm의 중형. 가운데가 붉으면서 전체적으로 노란색이다. 가장자리에는 줄금이 있고, 가운데는 약간 오목하며 적색을 띤다. 표면에 황색 분말이 피복되어 있다. 식독 불명.
    주름살은 대에 떨어진 붙음으로 약간 촘촘하고 폭은 0.7∼0.8cm. 주름살은 백색이지만 날은 노랗고 가루가 부착되어 있다.
    대는 길이11cm(굵기 1.5cm) 정도. 밑동이 굵다. 노란색의 인편과 가루가 있고 대주머니는 없다. 대의 속은 비어 있고 백색. 마르면 버섯 전체가 연한 노란 색을 띤다.

    포자 : 포자는 광타원형∼아구형. 평활, 7.5∼10×5∼6㎛.
    색상 : 노란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숲속의 벌채를 위해 만든 도로 모래땅 등에 단생.
    분포 : 한국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한국균학회 균학용어편집위원회. 2013. 2013 한국의 버섯 목록. 576pp. 한국균학회.

    Read More
  16. 가랑잎이끼살이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Xeromphalina cauticinalis (With.) Kühn. & Maire
    과명 : 애주름버섯과(Mycenaceae)
    속명 : 이끼살이버섯속(Xeromphalina)
    특징 : 극소형∼소형. 줄기처럼 긴(cauticinảlis) 버섯. 갓은 갈색을 띤 황색, 중앙이 오목. 대는 흑갈색, 길고 각질.
    자실체 : 갓은 폭 1∼2.5cm의 극소형∼소형. 처음에는 중앙이 오목한 둥근산형이다가 후에 거의 평평하게 퍼지며 중앙이 오목하다. 흔히 중앙에는 젖꼭지 모양 오목해진다. 표면은 털이 없고, 방사상으로 홈선이 있다. 갈색을 띤 황색∼황갈색, 중앙부는 암갈색으로 진하다. 가장자리는 고르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들쑥날쑥 되기도 한다. 살은 얇고 가죽질이다. 비식용.
    주름살은 대에 띠붙음이면서 내리붙음. 성기고 크림색∼황토색, 서로 간에 맥으로 연결되어 있다.
    대는 2∼8cm(굵기 0.5∼2mm), 매우 가늘고 각질이며 흑갈색, 상부는 색이 연하다. 밑동에는 둥글게 뭉친 황갈색의 균사덩이가 피복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5∼6×2.5∼3㎛.
    색상 : 갈색을 띤 황색
    발생계절 : 가을
    발생형태 : 가을 침엽수 밑 또는 물이끼 사이에 군생.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7. 세발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말뚝버섯목(Phallales)
    학명 : Pseudocolus schellenbergiae (Sumst.) Johnson
    과명 : 말뚝버섯과(Phallaceae)
    속명 : 세발버섯속(Pseudocolus)
    특징 : 높이 4∼8cm. 알에서 1개의 대와 3가닥의 적황색 머리가 돌출(때로는 황색인 것도 있다), 대는 허연색. 머리 안쪽에 기본체 부착.
    자실체 : 자실체는 어릴 때 알 모양이고 지름 2∼3cm 정도. 밑동에는 흰색의 뿌리모양 균사속이 있다. 성숙한 자실체는 높이 4∼8cm. 대는 1개이나 머리 부분이 3(∼5)개의 구부러진 팔 모양으로 분리 되며 그 끝이 결합되어 있으나 후에 떨어지기도 한다. 위쪽은 황색∼적황색(황색인 것도 있다) 이고 아래쪽으로 연한 색∼허연색이 된다. 대는 짧게 속이 비어 있고, 살은 스펀지 모양으로 작은 구멍이 많다. 세 가닥으로 갈라진 머리(때로는 4가닥으로 갈라지기도 한다)의 안쪽에 점액상의 흑갈색 기본체가 부착되어 있고 악취가 난다.
    포자 : 포자는 긴 타원형. 평활, 투명, 4∼7×2∼3㎛.
    색상 : 적황색, 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임내 지상, 정원, 길가 죽림 등의 비옥한 곳에 단생 또는 군생. 매우 흔하다. 적황색 계통이 있고, 드물게 황색계통도 있다.
    분포 : 한국, 일본, 북반구 일대, 호주, 뉴질랜드.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8. 분말그물버섯(노란분말그물버섯, 갓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Pulveroboletus ravenelii (Berk. & Curt.) Murr.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분말그물버섯속(Pulveroboletus)
    특징 : 소형∼중형. 처음에 갓 표면이 레몬황색의 면상 분질물이 피복. 갓은 레몬황색, 가장자리에 막질 파편이 남아 있다. 노란분말그물버섯이 기준종이어서 바뀜.
    자실체 : 갓은 4∼10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히 퍼진다. 이 버섯은 처음에 갓 표면과 대의 상부를 레몬황색의 면상(棉狀) 분질물이 피복하고 있다가 분리가 된다. 분리된 피막은 가장자리에 오래 남아 있다. 처음에는 레몬황색, 후에 중앙부가 적갈색∼갈색을 띠게 되고 표면이 다소 균열된다. 살은 흰색∼다소 황색을 띤다. 절단하면 서서히 청변. 식용.
    관공은 구멍은 처음에 담황색이다가 후에 암갈색이 된다. 관공은 성숙하면 거의 대에 떨어진 붙음이 된다. 구멍과 같은 색이고 상처를 받으면 청변 한다.
    대는 4∼10(15)cm(굵기7∼15mm), 표면은 레몬황색. 분질, 상부에는 거미줄 막 모양의 피막 잔존물이 붙어 있으나 쉽게 소실된다.

    포자 : 포자는 방추상 타원형. 평활, 8∼13.5×4.5∼6㎛. 포자문은 올리브갈색.
    색상 : 레몬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임내 지상에 단생 또는 산생. 가끔 보인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노란대망그물버섯(밤색망그물버섯, 밤색갓그물버섯, 망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Retiboletus ornatipes (Peck) Binder & Bresinsky > B. ornatipes Peck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망그물버섯속(Retiboletu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올리브색, 관공은 황색∼회황색, 대는 황색∼올리브색, 표면에 융기된 그물눈이 있다. 밤색갓그물버섯이 개칭됨.
    자실체 : 갓은 4∼8(16)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평평하게 퍼지며, 후에 가장자리가 치켜지고 중앙이 오목해 진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약간 비로드상, 어릴 때는 올리브암갈색, 곧 올리브색∼황색을 띤 갈색이 된다. 살은 단단하고 황색. 절단하면 천천히 농황색이 되고 청변하지는 않는다.
    관공은 구멍은 소형, 원형∼각형, 황색이다가 후에 회황색∼오렌지갈색이 된다. 관공은 대에 치붙음, 띠붙음 또는 다소 내리붙음이 되고, 구멍과 같은 색이다. 상처를 받은 부분은 진한색이 된다.
    대는 5∼11cm(굵기6∼30mm), 거의 상하 같은 굵기이고 단단해서 부러지기 쉽다. 표면은 황색∼올리브황색. 거의 전면에 융기된 그물눈이 있다. 밑동은 흰색의 균사가 덮여 있지만, 균사는 상처를 입으면 등황색으로 변한다.

    포자 : 포자는 원주상 방추형. 평활, 11∼13×3.5∼4.5㎛. 포자문은 올리브갈색.
    색상 : 올리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소련 극동,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0. 자주졸각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학명 : Laccaria amethystea (Huds.) Cooke 자주졸각버섯
    과명 : 졸각버섯과(Hydnagiaceae)
    속명 : 졸각버섯속(Laccaria)
    특징 : 소형. 자수정(amethýsteus) 버섯. 소형. 전체가 보라색을 띠는 졸각버섯. 그동안 학명에 혼동이 있었다
    자실체 : 갓은 폭 2∼5cm의 소형. 자실체 전체가 보라색을 띠며 둥근산형이다가 편평하게 되고 중앙부가 오목해 진다. 표면은 자라면서 중심부 쪽의 표면이 갈라져서 작은 인편이 된다. 오래된 것은 약간 보라색 끼를 띠면서 연한 황갈색 또는 연한 회갈색으로 퇴색된다. 살은 섬유질이고 갓과 같은 색. 식용.
    주름살은 진한 보라색. 폭이 넓고 대에 떨어진 붙음. 성글다.
    대는 4∼7cm(굵기3∼5mm), 중심생이며 섬유상이며 오래되면 속이 빈다.

    포자 : 포자는 아구형, 많은 침 모양 돌출이 있고, 투명, 7.9∼10.4×7.4∼9.7㎛.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보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에 숲 속의 땅위에 단생 또는 군생. 맛있는 식용균이다. 흔하다.
    분포 : 북반구 온대 이북.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