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 0.6∼1(2)mm 정도. 구형∼원추형으로 기질에 붙어 있고, 표면에 고추선 강모형 갈색털이 밀생해 있다.
자실체(자낭각)는 직경은 털을 포함하여 0.6∼1(2)mm, 구형∼원추형. 대가 없이 기질에 부착한다. 외 표면은 갈색을 띠며, 강모(剛毛)형의 갈색 털이 고추 서 있다. 자낭각은 새주둥이나 젖꼭지 모양, 꼭지에 나출된다.
포자는 방추형, 약간 굽어 있다. 중앙에 미세한 격막이 있다. 32∼40×5∼5.5(6.5)㎛.
자낭은 8포자형, 불규칙하게 2줄로 꼬여 있다. 120∼150×10∼14㎛. 측사는 실 모양, 격막이 있다. 꼭지는 약간 곤봉형. 강모(剛毛)는 벽이 두껍고 좁게 속이 비어 있다. 갈색, 격막은 없고 꼭지는 뾰족하다.
폭 0.4∼0.6(2)mm 정도. 구형∼난형, 후에 자낭각의 각공이 위쪽에 꼭지 주둥이 모양 돌출. 표면에 회백색 솜털이 덮여 있다. 썩은 목재 표면에 난다.
자실체(자낭각)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부후 목재의 표면에 난다. 자실체는 구형∼난형, 직경 0.4∼0.6(2)mm 정도이고 그 표면에 회백색의 솜털 같은 털이 피복되어 있다. 기질에 직접 붙는다. 털 아래의 표면은 회색∼갈백색의 균사조직이 쌀겨 모양으로 피복되어 있다. 후에 자낭각의 각공이 위쪽 꼭지에 주둥이모양 돌출되며, 검은색을 띤다.
포자는 원주형이면서 만곡. 평활, 연한 황색, 방울이 들어있다. 가끔 침 모양 꼬리, 36∼40×4∼5㎛.
자낭은 넓은 곤봉형, 8개의 포자가 들어 있고, 2줄로 되어 있다. 180∼210×16∼22㎛.
0.5mm 정도 크기의 흑색 자낭각이 20개 정도까지 밀집해서 단풍나무 수피를 뚫고 나온다. 매듭말발굽포자버섯이 자낭각버섯속이므로 개칭.
자실체는 단풍나무류의 수피에서 주로 나온다. 자좌(stroma)는 회색의 방석 모양이고 외측에 검은색의 경계선은 없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다. 내부에 0.5mm 정도 크기의 흑색 자낭각(perithecia)이 밀집해서 송이모양 들어 있는데, 20개 정도까지 달한다. 노출되는 자낭각 분출공(殼孔)도 흑색.
포자는 타원형∼원주형. 평활, 투명, 3개의 격막이 있다. 20∼39×6∼9㎛.
자낭은 넓은 곤봉형, 8개의 포자가 들어 있다. 100×20㎛ 이하.
크기는 0.8mm 정도. 자낭각이 3∼7개 집단으로 생겨서 송이모양을 이룬다. 검은색. 오리나무에 난다.
자실체는 오리나무류의 죽은 가지 수피가 터지면서 나온다. 자낭각(perthecia)은 3∼7개가 집단으로 생겨서 송이 모양을 이루고 그 크기는 0.8mm 정도, 검은색. 미세하게 갈라진 수피 사이로 자낭각의 분출공(殼孔; ostioles)이 돌출되는데, 돌출된 분출공(殼孔)이 짧고 통통하며, 원추형으로 보인다.
포자는 타원상 원주형. 다소 벽이 두껍고, 격막이 있다. 27∼38×10∼14㎛.
자낭은 넓은 곤봉형, 짧은 대가 있고, 8개의 포자가 있다. 110×36㎛ 이하.
자낭각은 0.3∼0.4mm. 자낭각이 단풍나무 잎의 엽병이나 잔가지에 매몰되어 있다가 후에 침 모양 0.5mm 정도 돌출된다.
자실체는 자낭각(Perithecia)은 0.3∼0.4mm, 흑색, 전해에 떨어진 단풍나무류 잎의 엽병이나 잔가지에 나는데, 기질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다가 성숙하면 침 모양 꿰뚫고 나와 0.5mm 정도 돌출된다. 너무 작아서 확대경 등을 사용해야 식별할 수 있다. 자좌(stroma)는 없다. 돌출된 침상 피막은 암갈색∼흑갈색.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1개의 격막이 중간에 있다. 흔히 방울이 있다. 13∼17×2∼2.5㎛.
자낭은 8개 포자형, 넓은 곤봉형, 8개의 포자가 불규칙하게 세로로 줄 모양 들어 있다. 40∼50×5∼5.5㎛. 꼭지는 두꺼운 고리 모양.
자낭각은 0.3∼0.5mm. 자낭각이 10∼20개, 검은 자낭각이 오렌지색 자좌에 매몰되어 있다가 개암나무 수피를 뚫고 나온다.
이 버섯은 자낭각의 크기가 0.3-0.5mm 정도로 매우 작은 것이 10-20개 정도 방석모양 수피 밑에 매몰되어 있다가 수피가 갈라지면서 분출공이 들어나는 것으로 어릴 때와 분출공이 들어난 때의 형태 차이가 크다.
자낭각(Perithecia)은 0.3∼0.5mm, 10∼20개 또는 그 이상의 개별적 자실체가 방석과 같은 오렌지색 자좌(stroma) 속에 매몰되어 있다. 이 자낭각들이 수피의 바깥 층을 뚫고 나와, 검은색의 구형∼원추형으로 들어난다. 흔히 자낭각의 분출공(殼孔; Ostioles)이 새주둥이 모양 뾰족하다. 자좌는 검은색으로 된 경계를 형성하지 않는다. 총생, 흔히 가지 전체를 피복한다. 흔히 가지의 가로방향으로 자란다.
포자는 자낭 속에 8개의 포자. 가늘고 긴 원주형, 투명∼약간 갈색, 평활 내부에 여러 개의 방울이 있다. 50∼85×3.5∼4.5㎛.
자낭은 8개의 포자가 있고, 긴 포자가 세로로 다발 모양 병렬되어 있다. 꼭지는 두꺼운 고리 모양. 95∼130×10㎛. 측사는 없다.
0.5mm 이하 자낭각이 집단으로 수피 밑에 묻혀 있으며 까치밥나무류 등의 수피를 뚫고 나온다
자낭각(Perithecia)은 0.3∼0.5mm, 흑색, 밝은 갈색의 자좌(stroma)가 집단으로 수피 밑에 묻혀 있으며, 경계가 뚜렷하지는 않다. 약간 방석 모양, 외견상으로는 검은 자좌(stroma)가 껍질 표면을 뚫고 나오며, 이것들은 흑색 새 주둥이 모양의 분출공(殼孔; ostiols)에 둘러싸여 있다.
포자는 방추형, 간혹 굽어 있다. 평활, 투명, 중앙에 1개의 격막이 있고, 보통 4개의 방울이 있다. 13∼15×3∼4㎛.
자낭은 긴 방추형, 8개의 포자가 불규칙한 2줄로 배열되어 있다. 43∼51×6∼8㎛. 꼭지에 뚜렷한 고리 모양이 있다. 측사는 보이지 않는다.
자낭각은 0.3∼0.4mm. 자낭각이 5∼20개 집단으로 모여 허연색 자좌에 들어있다. 자좌와 기질에 검은 색 경계선이 있다. 후에 수피를 뚫고 일부가 노출된다.
이 버섯은 단풍나무 잔가지 등에 수피가 있는 것에 0.3-0.4mm 정도의 자낭각이 5-20개 정도 자좌 내에 들어있다가 수피를 뚫고 나오는 것으로 단면을 깎아 보면 가장자리에 검은 테가 있는 특징이 있다.
자낭각(Perithecia)은 0.3∼0.4mm, 흑색, 5∼20개가 집단으로 모여서 허연색∼담갈색의 자좌(stroma) 속에 들어있다. 기질과 검은색 선으로 분명한 경계를 이룬다. 이것이 수피를 뚫고 나와서 외부로 노출된다. 자좌는 방석모양∼원추형, 외견상으로는 갈색∼흑색, 흑색의 분출공(殼孔: ostioles)이 새주둥이 모양으로 수피 위에 들어난다. 절단면은 다소 접시 모양으로 보인다.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중간에 1개의 격막이 있다. 흔히 4개의 방울이 있다. 13∼17×2.5∼5㎛.
자낭은 곤봉형, 8개의 포자가 있고, 불규칙한 2줄로 배열된다. 60∼85×7∼8㎛. 꼭지에 고리 모양이 있다. 측사는 보이지 않는다.
자낭각은 0.3∼0.5mm. 자낭각이 무더기로 오리나무류 껍질 아래 발생되어 한 두 개 또는 집단적으로 수피를 뚫고 나온다. 가로로 절단면은 둥근 접시모양이다.
자낭각(Perithecia)은 0.3∼0.5mm, 흑색, 많은 자낭각이 무더기로 집단이 되어서 나무의 수피 속에 들어있다. 자좌(stroma)는 뚜렷하지 않거나 때때로 어두운 선에 의해서 구분이 되기도 한다. 원추형의 검은색 새 주둥이 모양 분출공(殼孔)(ostioles)이 수피 표면 아래에서 튀어나온다. 흔히 한 두 개가 나오기도 하지만, 집단적으로 나오기도 한다. 절단면은 접시 모양으로 보인다.
포자는 원주상 타원형, 평활, 투명, 중간에 1개의 격막이 있고 이 부분이 다소 잘록해 보인다. 12∼16×3∼3.5㎛.
자낭은 넓은 곤봉형, 8개의 포자가 2줄로 배열되어 있다. 52∼57×8∼12㎛. 측사는 보이지 않는다.
자낭각은 군생한다. 0.3mm 정도의 구형이며, 밖으로 들어난다. 후에 건조하면 위쪽 절반 정도는 주저앉아서 납작해진다. 흑색, 위에 적은 젖꼭지 모양 포자 분출공(孔口)이 있고, 표면은 평활하다. 자낭은 원주상 곤봉형, 짧은 대가 있고 85×15㎛ 정도. 8개의 포자가 들어 있다.
포자는 불규칙하게 꼬인 모양. 타원형∼원주형. 투명, 1개의 격막이 있으며 약간 잘록한 모양. 12∼16×5∼7㎛.
자낭은 원주상 곤봉형, 짧은 대가 있다. 8개의 포자가 불규칙하게 2줄로 배열되어 있고, 85×15㎛ 이하.
자실체 1∼4cm×0.5∼1cm, 높이 2∼4mm, 각이 지거나 둥근 가장자리를 가지고 표면은 둥근산형∼거의 평평한 형, 반점 모양으로 포자분출공이 생긴다. 둔한 갈색∼흑색.
자실체(자좌)는 1∼4cm×0.5∼1cm, 높이 2∼4mm, 각이 지거나 둥근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위쪽 표면은 둥근산형∼거의 평평한 형, 반점 모양으로 포자분출공이 생긴다. 둔한 갈색∼흑색. 표면(바깥) 쪽의 자좌가 묻혀 있는 부분은 두께 0.5∼1mm, 매우 단단하다.
자낭각은 길이 1∼3mm, 폭 0.3∼0.5mm, 원주형∼타원형이고 분출공 쪽이 목처럼 좁아져 있다.
포자는 타원형이면서 한쪽 끝이 약간 뾰족하다. 약간 눌려 있다. 평활, 발아공이 있다. 4∼5×2.5∼3㎛.
자실체는 수피 아래에 생기지만 성숙하면 수피를 찢고 돌출한다. 두꺼운 살을 가진 타원형으로 장경 2∼4cn, 단경 1∼2cm 두께 5mm 정도. 흑색, 표면에 포자분출공이 있다.
자실체(子座)는 수피의 아래에 생기지만 성숙하면 수피를 찢고 돌출한다. 두꺼운 살을 가진 타원형으로 장경 2∼4cm, 단경 1∼2cm 정도 두께는 5mm 정도 된다. 표면은 흑색, 전면에 포자분출공이 미세하게 돌출이 된다. 표면은 두께 0.4mm 정도의 흑색으로 단단한 탄질(炭質)의 조직이 있다.
내부는 전체가 자낭각으로 점유되어 있는데, 목재색, 비교적 연하다.
포자는 타원형, 평활, 약간 막이 두껍다. 녹갈색, 2개의 방울이 들어 있다. 3.8∼4.5×2.0∼2.5㎛.
자실체는 나무속이나 습한 썩은 나무 표면에 붙은 벌레의 유충 등에 감염되어 분생자병이 퍼진다. 분생자병은 벌레의 몸체로부터 사방으로 수많은 가지를 분지하면서 굵은 실 모양에서 가는 실 모양으로 퍼져 나간다. 백색, 실모양 퍼진 주변에는 미세한 백색 점 모양 또는 분상의 물질이 재면에 피복된다. 퍼져 나간 작은 가지에는 분생포자가 형성된다
0.2mm 이하. 확대경으로 보아야 될 크기. 구형, 적색. 콩꼬투리버섯목 또는 검뎅이침버섯목의 오래된 자실체에 난다.
자실체(자낭각)는 크기 0.15∼0.2mm의 극소형. 구형 또는 난형이고 확대경으로 보면 위쪽 가운데에 젖꼭지 모양이 보이기도 한다. 표면은 평활, 투명해 보이며, 오렌지 적색. 오래된 pyrenomycetes류(Xylariales 콩버섯 목, Diaporthales의 검뎅이침버섯목 등)의 오래 된 자실체 위에 난다.
포자는 방추상 타원형. 투명하거나 성숙한 후는 연한 갈색, 1개의 격막, 잘록하다. 7∼11×4.5∼5㎛.
자낭은 원주형, 밑동이 가늘다. 8개의 포자가 있고, 포자 배열은 불규칙하다. 55∼65×6㎛. 측사는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