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mm 이하. 확대경으로 보아야 될 크기. 구형, 적색. 콩꼬투리버섯목 또는 검뎅이침버섯목의 오래된 자실체에 난다.
자실체(자낭각)는 크기 0.15∼0.2mm의 극소형. 구형 또는 난형이고 확대경으로 보면 위쪽 가운데에 젖꼭지 모양이 보이기도 한다. 표면은 평활, 투명해 보이며, 오렌지 적색. 오래된 pyrenomycetes류(Xylariales 콩버섯 목, Diaporthales의 검뎅이침버섯목 등)의 오래 된 자실체 위에 난다.
포자는 방추상 타원형. 투명하거나 성숙한 후는 연한 갈색, 1개의 격막, 잘록하다. 7∼11×4.5∼5㎛.
자낭은 원주형, 밑동이 가늘다. 8개의 포자가 있고, 포자 배열은 불규칙하다. 55∼65×6㎛. 측사는 보이지 않는다.
개개의 자실체는 0.2∼0.3mm. 구형∼위가 찌그러진 구형, 적색. 여러 개의 자낭각이 수피를 뚫고 나와 딸기 모양이 된다.
자실체(자낭각)는 개개의 자실체는 0.2∼0.3mm, 신선할 때는 구형이고, 건조하면 위쪽 가운데가 약간 함몰되면서 그 가운데가 젖꼭지 모양이 된다. 포도주색을 약간 띤 밝은 적색. 수피를 뚫고 발생되는데, 여러 개가 함께 뭉쳐서 나오기 때문에 딸기 모양으로 보이기도 한다.
대는 없고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포자는 불규칙한 방추형. 평활, 투명, 1개의 격막이 있다. 10∼14×2.5∼3㎛.
자낭은 곤봉형, 성숙하기 전에는 8개의 포자가 들어 있고, 크기 50∼70×8㎛. 성숙한 후에는 수많은 2차 자낭포자(ascoconidia)가 들어 있다. 측사는 없다.
적색
봄
봄. 여러 가지의 활엽수(특히 버드나무과 개암나무, 포푸라 등)의 죽은 가지에 나며 한 무더기로 단생 하거나 여러 개의 무더기로 군생 한다.
크기 0.2∼0.3mm. 주홍색∼암홍색. 구형 알갱이가 수피에 다닥다닥 집단으로 피복한다.
혹보리수버섯속이나 알보리수버섯속의 버섯들은 개개 자낭각의 크기가 0.2-0.4mm 정도로 매우 작고 색깔과 형태도 유사한 것이 많아서 육안적인 구분이 매우 어렵다. 현미경적 특성 구분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자실체(자낭각)는 0.2∼0.3mm의 극소형. 구형∼난형 또는 말불버섯 모양이다. 주홍색∼암홍색. 중앙에 진하게 젖꼭지모양 또는 점모양이 돌출된다. 신선할 때는 유리같이 투명한 느낌이 있다. 표면은 평활하다. 자실체가 수피 밑에 들어 있을 때는 이들이 1∼2mm 정도 크기의 자좌(子座)로 뭉쳐져 있다. 만약 이것이 수피가 없는 표면에서 날 때는 흔히 1개만 발생하고 자좌는 없어진다.
대는 없고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포자는 타원형. 투명 또는 약간 연한 갈색, 1개의 격막이 있고, 다소 잘록하다. 10∼12(13)×5∼6㎛.
자낭은 원주형, 밑동이 가늘어진다. 포자는 일정학 배치되어 있지 않다. 60∼80×7∼10㎛. 꼭지는 고리 모양으로 두껍다. 측사는 보이지 않는다.
주홍색∼암홍색
연중내내
연중내내, 단풍나무 등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가지에 총생. 때로는 수피 전체를 덮기도 한다.
1단계(자좌)는 1mm 내외의 연한 분홍색 반구형 알갱이가 수피에 부착, 2단계(자낭각): 0.4mm 이하 적갈색 좁쌀 같은 알갱이가 여러 개씩 집합되어 수피에 부착. 점 모양으로 보이는 것은 실제 수십 개의 자낭각이 다닥 다닥 엉겨붙은 모양이다.
자실체는 2가지의 단계를 갖는 버섯이다.
첫 단계는 크기 1mm 내외의 반구형 또는 아구형으로 방석모양 수피 표면에 부착되는데, 연한 오렌지색∼연한 분홍색을 띤다. 이것은 포자낭이 발전되어서 자좌(子座)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두번째 단계는 직경 0.2∼0.4mm의 구형∼아구형의 적갈색 좁쌀 같은 수많은 알갱이가 다닥다닥 십여 개씩 엉겨 붙어서 방석모양을 이룬 단계이다. 각각의 알갱이 표면 중앙은 점 모양 약간 오목하고 진하며, 후에는 터진 모양을 이루는데, 이는 포자가 형성되어 비산되는 단계이다.
포자는 원주상 타원형. 평활, 투명, 중앙에 1개의 격막, 약간 잘록한 모양, 12∼25×4∼9㎛.
연한 오렌지색∼연한 분홍색
연중내내
연중 내내. 물에 일부가 잠긴 각종 활엽수의 잔가지 또는 습기 많은 지역의 가지나 줄기에 밀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