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Persicaria lapathifolia f. alba Y.N.Lee |
|---|---|
|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
| 속명 | 여뀌속(Persicaria) |
| 잎 | 잎은 호생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 길이 7-20㎝ 맥과 가장자리에 털과 선점이 있고 잎자루는 짧다. 엽초 모양의 턱잎은 막질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 |
| 꽃 | 꽃은 가지 끝에 달리는 이삭화서 흰색이며 이삭이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 4장 수술 6개 자방은 둥근 모양 암술대 2개이다. |
|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꽃받침에 싸이고 납작한 원형이다. |
| 줄기 | 가지는 굵고 붉은빛이 돌며 원줄기에 흑갈색 점이 있다. |
|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
| 형태 | 1년초 |
| 유사종 | ▶명아주여뀌(P. lapathifolia S. F. Gray): 꽃은 가지 끝에 달리는 이삭화서로 홍자색 또는 흰색이다. |
| 특징 | 꽃이 흰 명아주여뀌이며 명아주여뀌와 같은 장소에서 난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