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명 | Aconitum chiisanense Nakai | 
|---|---|
|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 속명 | 초오속(Aconitum) | 
| 이명 | 지리산바꽃 지이바꽃 | 
| 잎 | 잎은 호생하고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엽병이 있다.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고 최종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털이 없다. | 
|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자주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화경에 털이 있고 포는 선형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뒤쪽의 꽃받침잎이 고깔처럼 위에서 내려 덮고 길이 2cm정도로서 이마끝이 뾰족하게 앞으로 나오며 양쪽 2개는 긴 대가 있어 고깔같은 꽃받침잎 속으로 들어가고 수술은 여러개이며 수술대는 밑부분이 퍼진다. 자방은 5개가 서로 떨어져 있다. | 
|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끝에 암술대가 길게 남는다. | 
|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추 자란다. | 
| 뿌리 | 뿌리는 마늘쪽처럼 굵고 육질이다. 괴경을 지리초오(智異草烏)라 한다. | 
| 분포 | 경남(지리산) 및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 
| 형태 | 다년생 초본 | 
| 유사종 | ▶놋젓가락나무(A. ciliare) ▶노랑돌쩌귀(A. koreanum) ▶진돌쩌귀(A. seoulense) | 
|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J. Jap. Bot. 11: 147 (1935) |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