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 학명 |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 										
				| 과명 | 
				장미과(Rosaceae) | 										
				| 속명 | 
				벗나무속(Prunus) | 										
				| 이명 | 
				개살구나무살구 | 										
				|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6-8cm  폭 4-7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단거치가 있고 엽병도 길이 20-35mm로서 털이 없다. | 										
				| 꽃 |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25-35mm로서 연한 홍색이고 화경이 거의 없이 단립 또는 쌍생한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홍자색이고 젖혀지며 꽃잎은 둥글고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1개이다. | 										
				|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며 융모(絨毛)가 있고 지름 3cm정도로서 7월에 황색 또는 황적색으로 익고 핵은 요점(凹點)이 없으며 거칠고 측면에 날개같은 돌기가 없다. 종자를 행인(杏仁)이라 한다. | 										
				| 줄기 | 
				가지가 많고 수피에 코르크질이 발달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 										
				| 분포 | 
				▶일본  중국  몽고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 										
				|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 										
				| 유사종 | 
				고편도   산이스라지나무(P. ishidoyana)   털개살구나무   매화나무   귀룽나무 등이 있다. | 										
				| 특징 | 
				영춘화처럼 봄을 반기는 살구꽃은 복숭아꽃과 함께 고향을 상징하는 관상수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9: 87 (1883)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