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 학명 |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A.Gray | 										
				| 과명 | 
				메꽃과(Convolvulaceae) | 										
				| 속명 | 
				미국나팔꽃속(Ipomoea) | 										
				|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고  잎자루는 길이 6-9㎝  하향모가 있다. 잎새는 윤곽이 난형(卵形)-원형(圓形)이고 길이 5-8㎝  폭 4.5-8㎝  잎이 원형으로 분열하지 않고 톱니가 없다. | 										
				| 꽃 | 
				꽃은 6-10월에 피며  이른 아침에 피고 곧 오므라든다. 꽃자루는 잎 겨드랑이에서 생기고 1-3개의 꽃이 달리며  길이 2-2.5㎝로 잎자루보다 많이 짧다. 포엽(苞葉)은 2개로 작은 꽃자루 기부에서 마주 난다. 꽃받침은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뻗고 뒤로 굽으며 뒷면에 길고 거친 털이 밀포된다. 꽃잎은 깔때기 모양이며 담청색이고 지름 2-3㎝이다. | 										
				| 열매 | 
				열매는 편구형(扁球形)  털이 없고  3개의 삭편이 있다. | 										
				| 줄기 | 
				줄기는 길이 100-150㎝  덩굴성으로 다른 식물을 감아 오르거나 지면을 포복하고 하향모(下向毛)가 많다. | 										
				| 분포 | 
				서울과 경기도 포천 등지에서 자라고 있다. | 										
				| 형태 | 
				1년생 초본 | 										
				| 특징 |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에 귀화되었다. 국내에서는 1980 년 任良宰   全義植 양씨가 장항과 군산에서 채집하여 최초 보고된 바 있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Fernald. Gray's Manual of Botany. ed. 8. 1180 (1950) | 										
				| 참고문헌 | 
				1)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박수현, 19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