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8 20:06

꽝꽝나무

조회 수 1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명 Ilex crenata Thunb. var. crenata
과명 감탕나무과(Aquifoliaceae)
속명 감탕나무속(Ilex)
잎은 호생하고 촘촘히 달리며 타원형 긴타원형 또는 좁은 도란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5~3cm 폭은 6-20mm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는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록색이고 작은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은 이가화(二家花)로서 5~6월에 작은 흰색 꽃이 피며 수꽃은 3~7개씩 짧은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암꽃은 엽액에 한송이씩 달리고 화경이 길며 퇴화된 4개의 수술과 1개의 4실 자방이 있다.
열매 구형의 핵과는 지름 6-7mm로서 10-11월에 흑색으로 익고 길이 4-6mm의 과경이 있다.
줄기 높이가 3m에 달히고 수피는 회백색이며 가지와 잎이 무성하고 어린가지에 잔털이 있다.
뿌리 잔근성이며 잔뿌리는 많지 않다.
분포 ▶중국 남부와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변산반도와 거제도 보길도 제주도에 분포하며 한라산에서는 1 800m까지 자생한다.
형태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열매의 색깔이 노랑인 것 또는 분홍색인 것이 품종 또는 변종으로 취급되고 있다. ▶좀꽝꽝나무(var. microphylla Max.): 잎 길이 8-14mm이고 타원형 또는 광타원형이다.
특징 ▶부안 중계리의 꽝꽝나무 군락은 분포 북한지로서의 성격도 인정되지만 그것보다 이 군락이 일제시대 때 천연기념물도 지정될때에는 건생식물 군락으로 더 가치가 인정되었다. (천연기념물 제124호-ⓐ소재지: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면적:4 231㎡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가지가 치밀하고 잎이 밀생하여 좋은 수형을 이루며 수세가 강건하고 맹아력이 좋다.
국명출전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Fl. jap. 78 (1784)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Board Pagination Prev 1 ...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