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낭균문(Ascomycota) > 동충하초강(Sordariomycetes) > 동충하초아강(Hypocreomycetidae) > 동충하초목(Hypocreales)
- Isaria farinosa (Holmsk.) Fr. 꽃동충하초 > Paecilomyces farinosus (Holmsk.) Br. & G. Sm.
- 동충하초과(Cordycipitaceae)
- 꽃동충하초속(Isaria)(나방꽃동충하초속)
- 높이 1∼4cm. 머리는 흰색∼회백색. 곤봉모양∼솜방망이 모양, 대는 불규칙한 원주형, 회백색. 번데기눈꽃동충하초, 번데기곤봉형눈꽃동충하초가 개칭됨(기준종).
-
자실체(자좌)는 땅 속 또는 부후목에 묻힌 나방 류(나비목)의 번데기에서 나온다. 자실체는 1개 또는 10여 개 까지 생긴다. 높이 1∼4cm.
결실부는 위쪽에 생기고 흰색∼회백색. 곤봉모양, 솜방망이 모양, 작은 덩어리 모양 또는 가루모양의 분생포자가 덮인다.
대(분생자병)는 불규칙한 원주형. 직경 1mm 정도. 회백색. - 포자는 분생포자, 타원형. 2∼2.7×1.5∼2㎛.
- 흰색∼회백색
- 여름~가을
- 여름∼가을. 임내, 임도 주변, 부후목 등에 들어 있는 나방류의 번데기나, 나뭇가지 등에 붙어 있는 번데기에서 발생이 된다.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 약용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mushroomobserver.org/72458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