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09 10:44

미세돌기목이

조회 수 4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분류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Heterochaete delicata (Kl. ex Berk.) Bres.
과명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돌기목이속(Heterochaete)
특징 배착생. 가죽질, 두께 1mm 정도, 융합되면 폭 20cm 정도까지 퍼진다. 황백색∼오렌지백색, 황색을 띤 회갈색 등, 표면은 미세한 알갱이 모양.
자실체 자실체는 배착생. 가죽질 모양 다소 얇게 기물에 퍼지는데, 인근의 것이 서로 융합되면서 크게 확대가 된다. 두께 1mm 정도. 융합되면 20cm 정도까지 퍼지기도 한다. 황백색. 오렌지백색. 황색을 띤 회갈색 등이고 중심부가 다소 진하다. 습할 때나 건조할 때나 두께의 변화가 거의 없다. 자실체는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둥글게 퍼져 나가는데 표면에는 미세한 알갱이 모양이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기물에 붙어 있거나 뒤집히기도 한다.
포자 포자는 콩팥형∼타원형. 11∼16.5×4.5∼7㎛., 분생자를 만들기도 한다.
색상 황백색∼오렌지백색, 황색을 띤 회갈색
발생계절 연중내내
발생형태 연중. 각종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죽은 나무에 난다.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 인도, 호주, 칠레.
식용여부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orositake-tokki.jpg

 

orositake-tokki2.jpg

 

orositake.jpg

 

orositake2.jpg

 

orositake3.jpg

 

사진출처 :http://mikawanoyasou.org/kinoko/orositake.htm

"

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1. 긴대밤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Boletellus elatus Nagas.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밤그물버섯속(Boletellus)
    특징 : 소형∼중형. 높게 솟은(elảtus) 버섯. 갓은 적갈색∼밤갈색, 대는 매우 길며 다소 진한 색, 관공은 황색.
    자실체 : 갓은 3∼9cm의 소형∼중형. 반구형∼둥근산형, 때로는 평평형이 되거나 가장자리가 약간 치켜 올라가기도 한다. 표면은 건조하고 습할 때는 약간 점성이 있다. 처음에는 다소 면모상, 후에 거의 무모. 적갈색∼밤갈색 후에 황갈색으로 퇴색된다. 살은 황백색∼거의 흰색. 대는 황백색이다가 후에 담홍∼갈색을 띤다. 절단하면 청변.
    관공은 구멍은 중∼대형, 처음에는 밝은 황색이다가 후에 황녹색∼올리브녹색. 관공은 대의 주위에 함몰한다. 구멍과 같은 색. 상처를 받아도 변색하지 않는다.
    대는 9∼23cm(굵기6∼12mm: 꼭지부분), 아래쪽으로 굵어지고 밑동은 약간 부풀어 있으며 폭 14∼40mm, 갓에 비하여 현저히 길다. 흔히 밑동 부근에서 굽어 있다.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이거나 암색(흔히 갈색을 띤 포도주색), 후에 칙칙한 황갈색으로 퇴색된다. 미세한 연모(軟毛)가 덮여 있어서 비로드 상, 세로로 달리는 약간 융기된 주름이 있다. 때로는 꼭지부에 불명료한 그물눈이 있고, 밑동은 흔히 백색 균사가 현저히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원주상 타원형. 표면에 세로로 달리는 줄무늬가 있다. 16∼19×9∼11㎛. 포자문은 올리브갈색.
    색상 : 적갈색∼밤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가시나무류 등 활엽수림과 또는 소나무, 전나무 등의 침엽수와의 혼효림 지상에 단생 또는 군생. 가끔 보인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 비로드밤그물버섯(노각밤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Boletellus chrysenteroides (Snell) Snell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밤그물버섯속(Boletellu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암갈색∼갈색, 어릴 때는 비로드상, 후에 균열, 주름살은 레몬색, 대는 L자형으로 굽는다. 후에 노각밤그물버섯이라고도 했다.
    출전: 日Ⅰ 281, き 168, Audubon 567. Bol 282, NN 364, George 161.

    자실체 : 갓은 3.5∼7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중앙이 평평한 둥근산형이 된다. 때로는 평평형이 된다. 표면은 건조하면 약간 비로드 상, 후에 불규칙하게 표면이 균열된다. 암갈색∼갈색. 때로는 암자갈색. 균열된 부분의 살은 탁한 황백색 또는 약간 붉은 끼를 띤다. 살은 황백색∼거의 백색. 절단하면 청변한다.
    관공은 구멍은 비교적 크고(0.5∼1.5mm), 다각형, 처음에는 진한 레몬색. 후에 녹황색∼올리브색을 띤다. 관공은 처음에 대에 띠붙음∼약간 치붙음이나 후에 대 주변에 함몰된다. 상처를 입으면 청변 한다.
    대는 5,5∼9cm(굵기5∼8mm), 흔히 L자 형으로 굽어 있다.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가늘어 진다. 속이 차 있다. 표면은 가는 인편상(특히 상부)∼섬유상인데 섬유무늬가 나타난다. 꼭지는 황색. 아래쪽으로는 암홍∼암갈색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표면에 세로로 달리는 뚜렷한 골모양의 줄무늬가 있다(흔히 분지된다), 11.5∼13.5×7∼7.5㎛. 포자문은 암 올리브갈색.
    색상 : 암갈색∼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오래 썩은 부후목 또는 임지 내 부식토 등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일본,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3. 밤그물버섯(비늘밤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Boletellus ananas (M.A. Curt.) Murr.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밤그물버섯속(Boletellu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분홍적색의 바탕에 다소 진한 색이거나 같은 색의 거칠고 큰 인편이 전면에 피복되고 후에 분홍갈색∼칙칙한 황색이 된다. 갓 가장자리에 너털너털한 막질이 남는다. 이속의 기준종이어서 비늘밤그물버섯을 개칭하였다.
    출전: 박성식, 조덕현(1988) Kor.J. Mycol., 16(3), 41). North American Boletes. 83p.

    자실체 : 갓은 3∼10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이다가 넓은 둥근산형이 된다. 표면은 건조하고, 분홍적색 바탕에 다소 진한 색이거나 같은 색의 거칠고 큰 인편이 전면에 돌출 피복되고(때로는 솜털모양의 허연색 피복물), 후에 분홍갈색∼칙칙한 황색이 된다. 어릴 때 갓과 대 사이에는 막질로 연결되었다가 찢어지며, 너털너털하게 찢어진 막질이 남게 된다. 살은 허연색∼담황색, 절단하면 청변한다. 비식용
    관공은 구멍은 신선할 때 황색, 오래되면 적갈색 끼를 띠기도 한다. 문지르면 청변하고, 구멍은 불규칙하거나 각형, 1∼2개/mm, 때로는 더 넓은 것도 있다. 관공은 길이 9∼16m 정도.
    대는 6∼15cm(굵기7∼16mm), 아래쪽으로 다소 굵어지거나 또는 거의 원주형. 속이 차 있고, 건조하며, 평활하거나 약간 섬유상 피복, 허연색∼연한 갈색, 때때로 꼭지 부근에 붉은색 끼를 띤 띠 모양이 생긴다. 부분적으로 막질의 잔존물이 갓의 가장자리에는 남지만, 대에는 남지 않는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포자 표면에 세로로 뚜렷한 능상 돌기물이 얇은 날개처럼 나선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연한 갈색. 15∼24×7∼11㎛. 포자문은 암갈색∼암 녹슨갈색.
    색상 : 분홍적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나 소나무림 또는 혼료림 임지내에 산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4. 점액남방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Austroboletus subvirens (Hongo) Wolfe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남방그물버섯속(Austroboletu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암록색(암자색)∼올리브색, 후에 퇴색되어 황토색이 되고, 거북등 모양 균열. 주름살은 백색∼홍자갈색. 대는 처음에 녹색∼올리브색의 융기된 그물눈이 있다. 이 버섯은 색깔과 형태 변화가 매우 큰 버섯이어서 혼동되기 쉽다.
    자실체 : 갓은 4∼8.5cm의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형이 된다. 노숙하면 가장자리가 약간 쳐들어 진다. 표면은 다소 분상∼비로드상, 습할 때는 약간 점성. 처음에는 암록색(암자색)∼올리브색. 후에는 퇴색해서 황토색을 띤다. 흔히 거북등 모양으로로 균열이 된다. 어린 자실체의 가장자리는 올리브색을 띤 솜 찌꺼기 모양∼약간 분상의 피막 찌꺼기가 부착된다. 살은 흰색, 연하고 쓴맛이 있다.
    관공은 백색이다가 회홍색∼홍자갈색을 띤다. 구멍은 보통(0.5∼1mm)이고 원형 또는 다각형, 관공은 대의 주위에 깊이 함몰된다.
    대는 6∼11cm(굵기7∼20mm), 거의 상하 같은 굵기 또는 위쪽으로 가늘다. 표면은 담황색의 바탕에 녹색∼올리브녹색의 융기되고 세로로 긴 그물눈을 갖는다. 후에 황토색이 된다. 그물눈은 약간 분상이나 습할 때는 다소 점성이 있다. 밑동은 흰색 면모상.

    포자 : 포자는 방추형. 미세한 사마귀가 맥상으로 덮여 있다. 13∼19×6∼8㎛. 포자문 포도주갈색.
    색상 : 암록색(암자색)∼올리브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임지나 참나무와 소나무의 혼효림 내 지상에 단생∼군생
    분포 : 한국, 일본, 뉴우기니.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5. 가는대남방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Austroboletus gracilis (Peck) Wolfe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남방그물버섯속(Austroboletus)
    특징 : 소형∼중형. 가냘픈(grảcilus) 버섯. 갓은 밤갈색∼적갈색, 또는 오렌지색을 띤 갈색. 표면이 미세하게 균열. 대는 같은 색, 융기된다. 색깔이 다소 다양한 편임.
    자실체 : 갓은 3∼8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중앙이 평평한 둥근산형. 표면은 미세한 털이 밀생하여 비로드상∼다소 면모상, 습할 때는 점성이 있다. 밤갈색∼적갈색 또는 오렌지색을 띤 갈색. 흔히 표면이 미세하게 균열된다. 때로는 쭈글쭈글한 맥이 나타난다. 살은 연하고 백색 또는 연한 핑크색. 공기와 접촉해도 변색하지 않는다.
    관공은 구멍은 비교적 크고(0.5∼1.5mm) 길며, 원형∼다소 다각형, 관공은 대 주위에 함몰되며 처음에는 허연색. 후에는 갈색을 띤 분홍색∼포도주색. 상처를 받아도 변색하지 않는다.
    대는 5∼12cm(굵기7∼10mm), 가늘고 길며, 갓과 같은 색이거나 연한 색. 위쪽으로 가늘어 지고 속이 차 있다. 표면은 비로드 상∼거의 평활, 흔히 약간 융기된 세로방향의 쭈글쭈글함이 있거나, 불명료한 그물눈(국부적으로 연락)이 나타난다. 밑동은 흰색이거나 때때로 황색의 얼룩이 생긴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방추형. 표면에 미세한 점상 돌기를 갖고 있다. 11.5∼15×5∼5.5㎛. 포자문은 다소 붉은색 끼를 띤 갈색.
    색상 : 밤갈색∼적갈색, 또는 오렌지색을 띤 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과 또는 소나무, 전나무 등의 침엽수와 혼효된 임지에 보통 단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6. 방추남방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Austroboletus fusisporus (Kawam.) Wolfe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남방그물버섯속(Austroboletus)
    특징 : 극소형∼소형. 방추형 포자(fusispỏrus) 버섯. 갓은 황갈∼계피색, 흔히 중앙이 돌출. 대는 담황갈색 바탕에 갓과 같은 색의 융기된 그물눈이 세로로 길게 피복.
    자실체 : 갓은 1.5∼4cm의 극소형∼소형. 둥근산형, 때로는 중앙부가 돌출한다. 표면은 점성, 황갈∼계피색. 거의 무모, 흔히 거북등 모양으로 균열된다. 다소 인편상∼알갱이모양(粒狀)이 되는 것도 있다. 갓의 아래쪽에는 처음에 허연색∼연한 계피색의 피막이 덮여 있지만, 후에 피막은 갓 가장자리 끝에 눌러 붙는다. 살은 흰색이고 연하며 쓴맛이 강하다. 절단해도 변색하지 않는다.
    관공은 구멍은 크기 0.3∼1mm, 다각형, 처음에는 다소 분홍백색, 후에 회홍색∼홍자갈색으로 된다. 관공은 길고 대부분 대에 떨어진 붙음이 되며 구멍과 같은 색. 상처를 받아도 변색하지 않는다.
    대는 3.5∼8.5cm(굵기3∼6mm), 거의 상하 같은 굵기, 속이 차 있다. 백갈색∼담황갈색의 바탕에 갓과 같은 색의 융기되고 세로로 긴 그물눈이 피복되어 있다(그물눈이 심하게 들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습할 때는 다소 점성이 있다. 고리는 일반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포자 : 포자는 넓은 방추형. 표면에 사마귀가 맥상으로 덮여 있다. 13,5∼18.5×8∼11㎛. 포자문 포도주갈색.
    색상 : 황갈∼계피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및 가시나무류 임지나 이들과 소나무의 혼효림내 지상 또는 부후목 상에 단생.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7. 적색신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Aureoboletus thibetanus (Pat.) Hongo & Naga.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신그물버섯속(Aureoboletus)
    특징 : 소형∼중형. 갓과 대는 적갈색, 관공은 선황색, 후에 다소 녹슨색. 대에 세로로 진한 색의 줄무늬가 있고, 밑동에 흰색 균사가 있다.
    자실체 : 갓은 2.5∼7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둥근형이다가 후에 평평해 진다. 표면은 점성이 있고 특히 습할 때 점성이 많다. 적갈색∼갈색, 오래되면 밝은 갈색. 오렌지 갈색. 또는 드물게 회홍색이 된다. 살은 연하고 다소 젤라틴 질. 처음에는 약간 붉은 끼를 띠며 후에는 거의 흰색. 공기에 접촉해도 변색하지 않는다. 식용.
    관공은 선황색. 성숙하면 다소 녹슨색을 띤다. 구멍은 지름 0.5∼1mm. 대에 띠붙음∼홈붙음.
    대는 5∼8cm(굵기6∼15mm), 상하 같은 굵기이거나 위쪽으로 다소 가늘다. 속이 차 있다. 표면은 평활 또는 때에 따라서 위쪽에 황색을 띠는 분말을 부착한다. 갓보다 다소 연한 색∼회홍색. 흔히 세로로 진한 색의 줄무늬가 있다. 밑동은 흰색의 균사가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10∼15(18)×4∼5.5㎛.
    색상 : 적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 임지 또는 소나무와의 혼효림 지상에 군생 또는 단생.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파푸아뉴기니, 부탄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8. 황소신그물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그물버섯목(Boletales)
    학명 : Aureoboletus moravicus (Vacek) Klofac
    과명 : 그물버섯과(Boletaceae)
    속명 : 신그물버섯속(Aureoboletus)
    특징 : 소형∼중형. 갓은 황토갈색∼오렌지갈색, 때때로 분홍 끼가 있다. 관공은 연한 황색이다가 황토황색∼올리브황색, 대는 크림색 바탕에 세로로 갈색 섬유상 무늬 또는 골이 잡힌다. 가장자리가 날카롭고 관공보다 밖으로 튀어 나온다.
    자실체 : 갓은 3∼8cm의 소형∼중형. 처음에는 반구형이다가 둥근산형∼넓은 둥근산형 또는 쿠션 모양이 된다. 표면은 둔하고, 미세하게 눌려붙은 인편이 있으며, 황토갈색∼오렌지갈색, 때때로 분홍색 끼가 있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관공보다 밖으로 튀어나온다. 살은 연한 황색, 어릴 때 절단하면 약간 청변하지만, 오래되면 변색하지 않는다. 살이 두껍다. 식용.
    관공은 어릴 때는 연한 황색, 후에는 황토황색∼올리브황색, 문지르면 다소 갈변하거나 청변한다. 관공은 길이 4∼8mm 정도, 황색∼올리브황색, 대와 넓게 띠붙음이거나 약간 대에 내리붙음.
    대는 5∼8cm(굵기12∼20mm), 원주형∼방추형. 밑동 쪽으로 가늘어 지기도 하고 때로는 굵어지기도 한다. 표면은 크림색 바탕 위에 세로로 갈색의 섬유상 무늬가 있거나 또는 섬유상 골이 잡힌다. 속이 차 있고 단단한 살이 편이다.

    포자 : 포자는 방추상 타원형. 평활, 연한 황색, 방울이 들어 있다. 8∼11.7×3.9∼4.8㎛. 포자문은 올리브황색.
    색상 : 황토갈색∼오렌지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의 활엽수 임내 지상, 공원, 길가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9. 털미로목이(그물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Elmerina hispida (Imaz.) Y.C. Dai & L.W. Zhou > Protodaedalea hispida Imaz. > Auricularia hispida Iwade.(그물목이)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미로목이속(Elmerina)
    특징 : 소형∼대형. 반원형, 상면에 5mm 정도의 깃털모양으로 분지된 털. 유백색∼담황갈색. 하면에 두꺼운 주름살이 다소 미로상.
    자실체 : 자실체는 기물에 갓의 측면이 직접 붙고 반원형이며, 직경 3∼15cm, 부착부위 두께 1∼7cm 정도로 약간 말발굽형이나 둥근산 모양을 띠기도 한다.(*간혹 대 모양이 형성되기도 한다) 유백색∼담황갈∼담갈색. 상면에는 길이 1∼5mm의 깃털모양으로 분지된 털이 덮여 있다.
    하면에 자실층탁이 발달해 있는데 방사상∼미로상의 주름살을 이룬다. 주름살은 두께 0.5∼1mm. 살은 젤리 질을 포함한 육질인데, 다소 무르다. 건조하면 현저히 수축되어 원형을 잃게 되고 암갈색이 된다.

    포자 : 포자는 난형. 평활, 투명, 10∼12×4∼7㎛.
    색상 : 유백색∼담황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부후목에 난다. 드물다.
    분포 : 한국, 일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0. 큰구멍미로목이(가지큰구멍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Elmerina cladophora (Berk.) Bres. >Elmerina hexagonoides (A. David & Jaq.) Nunez.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미로목이속(Elmerina)
    특징 : 지름은 3~5cm의 가죽질 또는 목질, 편평형, 반원형, 부채형이나 불규칙형 백색 또는 백황색이고 양모 같은 털이 있음
    자실체 : 자실체는 가죽질 또는 목질이다. 균모의 지름은 3~5cm, 두께 0.5~1.5cm로 편평형, 반원형, 부채형이나 불규칙형인 것도 있다. 표면은 백색 또는 백황색이고 양모 같은 털이 있으며 동심원상의 테가 있고 대부분은 밋밋하나 거칠고 딱딱한 털이 돌출하는 것도 있다. 살은 상아색이다. 구멍은 각진형 또는 불규칙형으로 상아색이며 약 1~3/mm개가 있다. 자루는 없다.
    포자 : 포자는 8~11×5~6㎛로 타원형 또는 광타원형으로 무색이며 표면은 매끈하다. 담자기는 곤봉상이고 4-포자성이다. 포자문은 백색.
    색상 : 백색 또는 백황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일년생으로 나뭇가지 또는 고목에 배착하여 발생
    분포 : 한국, 중국, 대만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1. 혓바늘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Pseudohydnum gelatinosum (Scop.) P. Karst.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혓바늘목이속(Pseudohydnum)
    특징 : 소형. 반원형∼부채꼴 모양으로 기물에 붙거나 짧은 대가 있다. 윗면은 담갈색∼갈색. 하면은 흰색∼황백색, 긴 원추형 가시 밀생. 젤리질.
    자실체 : 자실체는 반원형∼부채꼴 모양으로 기물에 직접 붙기도 하나, 주걱모양 짧은 대가 붙기도 한다. 젤리 질이며 지름 4cm, 두께 1.5cm 정도까지 달한다. 윗면은 담갈색∼갈색∼흑색. 미세한 털 모양으로 돌기(菌絲束)가 덮여 있다. 하면은 흰색∼황백색. 긴 원추상의 가시가 밀집해서 나 있고 이곳에 자실층이 생긴다. 가시는 길이 4mm, 폭 1mm 정도까지 달한다.
    포자 : 포자는 구형∼아구형. 평활, 투명, 알갱이가 들어있다. 5∼6×4.5∼5.5㎛.
    색상 : 담갈색∼갈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의 썩은 그루터기나 뿌리 등에서 단생 또는 군생. 식용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남북미, 뉴질랜드.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2. 미세돌기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Heterochaete delicata (Kl. ex Berk.) Bres.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돌기목이속(Heterochaete)
    특징 : 배착생. 가죽질, 두께 1mm 정도, 융합되면 폭 20cm 정도까지 퍼진다. 황백색∼오렌지백색, 황색을 띤 회갈색 등, 표면은 미세한 알갱이 모양.
    자실체 : 자실체는 배착생. 가죽질 모양 다소 얇게 기물에 퍼지는데, 인근의 것이 서로 융합되면서 크게 확대가 된다. 두께 1mm 정도. 융합되면 20cm 정도까지 퍼지기도 한다. 황백색. 오렌지백색. 황색을 띤 회갈색 등이고 중심부가 다소 진하다. 습할 때나 건조할 때나 두께의 변화가 거의 없다. 자실체는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둥글게 퍼져 나가는데 표면에는 미세한 알갱이 모양이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기물에 붙어 있거나 뒤집히기도 한다.
    포자 : 포자는 콩팥형∼타원형. 11∼16.5×4.5∼7㎛., 분생자를 만들기도 한다.
    색상 : 황백색∼오렌지백색, 황색을 띤 회갈색
    발생계절 : 연중내내
    발생형태 : 연중. 각종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죽은 나무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 인도, 호주, 칠레.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3. 왁스막질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Exidiopsis calcea Wells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막질버섯속(Exidiopsis)
    특징 : 부착형 단단하게 기질에 부착, 습기가 있을 때 막질, 약간 왁스처럼 수 cm로 번짐, 회백색
    출전: 조덕현,정재연. 2014.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2(1-2)., sw2 56p.

    자실체 : 자실체는 단단하게 기질에 부착, 습기가 있을 때 막질, 약간 왁스처럼 수 cm로 번진다. 표면은 밋밋, 가루가 있고, 회백색, 가끔 회갈색의 색조를 가진다. 건조하면 단단하다. 경계가 분명하고, 가장자리 쪽으로 얇다. 끈적기는 없고, 건조하면 부서지기 쉽다.
    포자 : 포자는 12~18×5~8.5μm, 타원형에서 막대형, 약간 소시지형, 매끈, 투명, 가끔 알갱이를 함유, 때로는 기름방울도 함유.
    색상 : 회백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나무 판자에 발생
    분포 : 한국(보령: 성주산), 유럽, 북미, 아시아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4. 그루터기좀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Exidia truncata Fr.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좀목이속(Exidia)
    특징 : 폭 1∼6cm. 팽이모양, 평평한 모양, 원반모양 등. 흑갈색∼흑색. 죽은 가지에 붙어 있을 때는 대가 있다. 서 있는 나무에 붙을 때는 대가 없다. 형태가 다양한 편.
    자실체 : 자실체는 떨어진 죽은 가지에 붙어 있을 때는 팽이모양, 평평한 모양, 원반모양이며, 대가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서있는 나무에 붙을 때는 선반모양으로 흔히 대가 없다. 흑갈색∼흑색. 오래된 것은 불규칙하게 파상이 되어 목이 모양이 된다. 크기는 1∼6cm, 윗면은 평활하거나 또는 작은 요홈으로 불규칙한 주름이 잡혀 있고, 알갱이 모양의 사마귀가 붙기도 한다. 뒷면은 뭉툭한 가시모양 돌기가 많다. 젤리 질이며 연하지만 질기다. 건조하면 자실체가 검은 조각처럼 기질에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 평활, 투명, 어떤 것은 잔 알갱이가 들어 있다. 14∼19×4.5∼5.5㎛.
    색상 : 흑갈색∼흑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각종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죽은 나무에 나며, 우기에 눈에 띤다.
    분포 : 한국, 일본, 시베리아,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5. 뭉게좀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Exidia thuretiana (Lev.) Fr.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좀목이속(Exidia)
    특징 : 어릴 때 주름 잡힌 납작한 덩어리 모양, 후에 서로 융합되어 10cm 정도까지 퍼지며 표면은 많은 주름이 잡혀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어릴 때 주름 잡힌 납작한 덩어리 모양이다가 서로 융합이 되어 폭 1∼5cm, 길이 10cm 정도까지 얇고 넓게 퍼지며, 두께 3∼6mm 정도. 윗 표면은 많은 주름이 잡혀있어서 울퉁불퉁하고 흰색∼허연색 또는 약간 황토색이나 핑크색 끼를 띠기도 한다. 표면은 둔하게 평활하다. 살은 젤리 질이며 다소 질기다. 건조하면 기질 위에 종이장처럼 막질로 얇게 부착되고 연골질이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 평활, 투명, 어떤 것은 알갱이가 들어있다. 13∼18×5.5∼7㎛.
    색상 : 흰색∼허연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활엽수의 죽은 가지 위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아프리카.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6. 분홍좀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Exidia recisa (Ditmar) Fr.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좀목이속(Exidia)
    특징 : 폭 0.5∼3cm. 작은 덩어리∼반구형(요철이 많다), 후에 귀 모양 또는 잔 모양. 1개씩 발생, 융합되지 않는다. 젤리 질, 황갈색∼암갈색. 형태 및 색깔변화가 크다.
    자실체 : 자실체는 처음에 작은 덩어리나 반구형이면서(어릴 때나 건조할 때는 흔히 날카로운 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점차 목이와 비슷한 귀 모양 또는 잔 모양이 된다. 1개씩 개별적으로 발생되며, 서로 융합되지는 않는다. 지름 0.5∼3cm, 높이 0.5∼2cm 정도. 젤리 질이며, 황갈색∼암갈색(때로는 적색을 띤 암갈색), 윗면에는 주름이 잡힌 평면이거나 오목한 모양이다. 밑면은 윗면과 거의 같은 색이나 진한 색. 작은 주름 모양의 요철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소시지형. 평활, 투명, 흔히 방울이 들어있다. 14∼15×3∼3.5㎛.
    색상 : 황갈색∼암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죽은 활엽수나 가지 위에 난다. 흔하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중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7. 주걱혀버섯(장미혀버섯, 장미주걱목이, 주걱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Guepinia helvelloides (DC.) Fr. > Phlogiotis helvelloides (DC.) Martin > Tremiscus helvelloides (DC.) Donk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혀버섯속(Guepinia)
    특징 : 연한 황적색∼연한 주홍색. 대와 머리 부분이 일체로 되며, 머리는 은행잎∼구두주걱 모양. 주걱목이를 속이 달라져서 개칭. 장미혀버섯이라고도 함.
    자실체 : 자실체는 대와 머리 부분이 일체로 되며 땅 위에 난다. 아래 부분이 대가 되어 땅위에 직립하며, 윗부분은 은행잎 모양, 주걱 모양 또는 귀 모양. 갓 끝은 아래쪽으로 굽어 있다. 위쪽 하면은 자실층이 발달하는데, 평활하거나 주름이 잡혀 있다. 높이 3∼8(10)cm, 폭은 위쪽이 3∼6cm, 대부분이 0.5∼2cm. 흡습 시는 젤리 질. 연한 황적색∼연한 주홍색. 마르면 수축되고 단단한 연골질이 된다.
    포자 : 포자는 불규칙한 타원형. 뾰족한 주둥이가 있다. 평활, 투명, 9.5∼11×5.5∼6㎛.
    색상 : 연한 황적색∼연한 주홍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침엽수 임내 지상에 난다.
    분포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식용여부 : 식독불명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8. 가는혀버섯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Guepinia fissa Berk.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혀버섯속(Guepinia)
    특징 : 높이 0.3∼3cm. 대는 2∼3개로 분지, 또는 분지되지 않는다. 끝은 주걱모양, 곤봉모양 등 오렌지황색 또는 붉은색을 띤다.
    자실체 : 자실체는 높이 0.3∼3cm의 극소형. 군생 또는 총생. 아교질의 연골질, 대는 가지가 없거나 또는 분지된다. 원통형∼눌린 모양, 밑동이 결합되기도 한다. 대는 흔히 2개 이상 여러 개로 불규칙하게 분지가 되는데, 각각의 가지는 눌린 모양이고, 끝은 주걱모양, 곤봉모양, 원추형 등을 이루며 오렌지황색 또는 붉은색을 띤다. 대의 아래쪽은 붉은 끼를 띤 황색 또는 흑색.
    포자 : 포자는 난형 또는 소시지형, 황색을 띤다. 횡경막이 1개 있다. 7∼10.5×3.5∼4㎛.
    색상 : 오렌지황색 또는 붉은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썩은 나무에 군생 또는 총생.
    분포 : 한국, 일본, 필리핀, 남미, 호주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19. 주름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Auricularia mesenterica (Dicks.) Pers.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목이속(Auricularia)
    특징 : 반배착생. 갓은 연한 회색과 올리브갈색이 교호되어 테무늬 형성. 밑면(배착된 면)은 엽맥 모양 주름이 있고 자갈색∼적자색.
    자실체 : 자실체는 배착생 또는 반배착생. 성장 후 가장자리가 뒤집혀서 불규칙한 반원형의 갓이 된다. 두께 2∼5mm, 넓이는 수cm∼십여 cm까지 퍼지며, 갓은 기질로부터 1∼3cm 크기. 표면에 거친 털과 많은 동심원상 무늬와 홈이 있으며, 연한 회색과 올리브갈색이 교호되어 테를 만든다.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으로굴곡된다. 밑면이나 배착성 부분은 그물모양 또는 엽맥 모양의 많은 주름이 있고 자갈색∼적자색. 때로는 포자로 인해 허옇게 덮이기도 한다. 건조하면 흑색의 질긴 가죽질이 된다. 식용한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소시지형. 평활, 투명, 방울이 들어있다. 15∼17.5×6∼7㎛.
    색상 : 자갈색∼적자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활엽수의 고목에 활물기생하거나 죽은 나무에 사물기생을 한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럽, 북미, 호주.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20. 뿔목이

    분류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목이목(Auriculariales)
    학명 : Auricularia cornea Ehrenb.
    과명 : 목이과(Auriculariaceae)
    속명 : 목이속(Auricularia)
    특징 : 극소형 , 아교질로 술잔모양 또는 귀모양으로 아래의 표면은 가는 맥상의 주름이 있다. 신선할 때는 자실체 전체가 투명, 표면에 미세한 털이 있음
    자실체 : 자실체는 아교질로 신선할 때는 자실체 전체가 투명하다. 균모의 크기는 다양하나 두께는 두께는 0.8~1.2mm로 술잔모양 또는 귀모양으로 아래의 표면은 가는 맥상의 주름이 있다.
    대는 없거나 있으면 아주 짧다. 색깔은 신선한 황갈색 또는 갈색이고 때로는 황색, 갈색, 암녹색 또는 갈색 등으로 다양하다. 표면에 미세한 털이 있으며 털의 길이는 180~220㎛로 두께는 5~7㎛이다. 자실층은 광택이 나고 밋밋하다.

    포자 : 포자는 13~16×5~6㎛로 콩팥형이다. 담자기는 곤봉상이고 45~55×4~5㎛로 가로막에 의하여 4실로 구분되며 각 실에서 자루(경자)가 나와 그 끝에 포자를 만든다.
    색상 : 황갈색 또는 갈색이고 때로는 황색, 갈색, 암녹색 또는 갈색 등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고목에 다수가 층층으로 군집하여 발생하며 드물게 단생
    분포 : 전 세계
    식용여부 : 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