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담자균문(Basidiomycota) >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 주름버섯목(Agaricales)
- Cortinarius glaucopus (Schff.) Fr. > Cortinarius glaucopus Schff. var. glaucopus > Cortinarius glaucopus var. acyaneus (M.M. Moser) Nezdojm.
- 끈적버섯과(Cortinariaceae)
- 끈적버섯속(Cortinarius)
- 갓은 황토색∼적황토색(때로는 황토색을 띤 자회색), 주름살은 회자색∼녹슨 갈색. 대는 어릴 때 청색∼라일락 청색, 후에 황갈색∼적갈색. 색깔 변화가 매우 크다.
-
갓은 폭 5∼10cm의 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편평한 형이 된다. 흔히 물결모양으로 굴곡된다. 표면은 평활, 습기가 있을 때는 점성이 있다. 방사상으로 섬유상이며 줄무늬가 있고, 황토색∼적황토색(*때로는 황토색을 띤 회자색), 중앙에 연한 색의 피막 잔존물이 남아 있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황색 끼를 띠고 흔히 연두색을 띤 반점이 있고, 오래 동안 안쪽으로 굽어 있다.
주름살은 어릴 때는 회자색, 후에 녹슨 갈색으로 된다. 넓게 대에 띠붙음이 되고 폭이 다소 넓으며, 날은 다소 무딘 톱니꼴이 된다.
대는 길이 5∼8cm(굵기10∼15mm), 아래쪽으로 약간 굵어진 후 가늘어 지고, 흔히 밑동이 잘린 모양이 된다. 표면은 어릴 때 푸른 색∼라일락 청색이고, 청록색(녹회색)을 띤 섬유상 피막 잔존물이 남아있다. 후에는 평활해지거나, 적갈색 띠 모양이 남으며, 황갈색∼적갈색이 된다. 부러지기 쉽고 속이 차 있다. - 포자는 타원형∼편도형. 황토갈색, 사마귀가 덮여 있다. 7.7∼10×4.3∼5.7㎛.
- 황토색∼적황토색
- 가을
- 가을. 침엽수 임지 또는 가문비나무 임지에 군생하거나 줄로 나거나 또는 균환을 형성한다.
- 한국, 유럽, 북미, 북아프리카.
- 식독불명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사진출처 : http://www.stridvall.se/fungi/gallery/Phlegmacium/F30A3172
"
도감등록수 2469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