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지름 4~5cm인 깔때기 모양이며 엽액의 화경에서 1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화경은 대개 잎보다 길며 능선이 없고 포는 2개이고 길이 1~1.3cm로서 넓은 난상 삼각형이며 보통 꽃받침보다 짧고 총포처럼 꽃받침을 둘러싼다. 화관은 지름 4-5cm로서 희미하게 5각이 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신원형이고 끝이 오목하거나 둥글며 길이 2~3cm 폭 3~5cm로서 기부는 깊게 파여 있고 가장자리에 파상의 요철이 생긴 것도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서 잎보다 길다.
둥근 삭과는 지름 1.5cm 정도이며 포와 꽃받침에 싸여 있고 속에 검고 단단한 종자가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아름답게 피며 총상화서는 정생하고 길이 4-12cm이며 소화경은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1-2cm로서 포보다 짧거나 같다. 꽃잎은 지름 1-1.2c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뒷면에 흑색 점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열편은 쐐기같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다.
잎은 호생하고 두터운 육질로 윤기가 돌며 주걱같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2~5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밑으로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흑색 내선점이 있다.
꽃은 자웅동주로서 5-6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액생하며 2~4개의 꽃이 길이 3-5cm의 화경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cm 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가을철에 적갈색으로 되고 많은 피목이 있어 거칠다. 꽃받침 잎은 6개이며 바깥 줄 3개는 2cm정도로서 피침형이고 안쪽 줄 3개는 짧은 선형이다. 꽃받침 잎은 유백색이며 담황색을 띠고 안쪽에 적자색의 선이 있다. 수술은 6개 암술은 3개이다.
잎은 호생하고 두꺼우며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5~7개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0cm 폭 2.5~4cm로서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엽병은 길이 6~8cm이며 소엽병의 길이는 3cm 정도 된다.
장과는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5~10cm로서 10월에 적자색으로 익으며 과육은 황색이고 으름보다 맛이 좋다. 종자는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약간 편평하고 길이 6-10mm로서 검은색이 나며 열매 하나에 100개 이상 들어 있다. 으름덩굴과 다르게 열매가 익어도 벌어지지 않는다.
줄기는 길이가 15m 정도 뻗고 줄기 직경은 6cm 정도 자란다. 일년생 줄기는 털이 없고 녹색이 난다.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핀다. 웅화서는 소화가 많이 모여 달리고 둥글며 황색이고 지름 1cm정도로서 짧고 연한 털이 밀포한 길이 10-12mm의 대가 있다. 자화서는 지름 1.5cm 정도로서 타원형이다. 수꽃은 3-5개의 화피 열편과 4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4개의 화피 열편과 2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잎은 호생하며 2-3개로 갈라지는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난형인 것이 있다. 갈라지는 잎은 둔두 원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은 예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6-10cm, 너비 3-6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는 융모가 있다. 엽병은 길이 15-25mm로서 털이 있다.
▶잎은 모양은 생육장소가 비옥하면 감나무 잎보다 크고 결각도 적으나 바위틈이나 산비탈의 척박지에서 자라는 것은 잎이 작고 결각이 심하며 잎끝이 꼬리처럼 길게 뻗어난다.
열매는 취과로 둥글며 지름 2.5cm로서 육질이고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수과는 길이 5mm정도로서 흑색이다. 과육은 달고 식용가능하다.
수피는 회갈색으로 벗겨지고 가지에 길이 0.5-3.5cm의 가지가 변형된 가시가 있으며 소지에 털이 있다. 가지에 피목이 발달되어 있고 오래된 수피는 황회색을 띠며 세로로 찢어져 떨어진다.
뿌리는 황색이다.
낙엽 활엽 소교목 또는 관목.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 자라는 수종으로는 꾸지뽕나무외에도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돈나무 젖꼭지나무 상동나무 새비나무 붉나무 두릅나무 산초나무 멀구슬나무 쥐똥나무 졸참나무등이 있다.
화경은 길이 10-25cm로서 능선이 있고 1-2개의 인엽이 있으며 7월에 화경(花莖)은 길이 15-30cm로서 능선이 있으며 1-2개의 인엽이 달리고 윗부분에 2-12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지름 12-15mm로서 백색이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8mm로서 소화경보다 길거나 같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가 나비보다 2.5-3배 길며 꽃잎은 5개,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이 길게 나와 끝이 위로 굽는다.
잎은 1-8개가 밑부분에서 총생하고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4-7cm 넓이 2.5-4.5cm이고 둔두 둔저이며 흔히 엽병과 더불어 자줏빛이 돌고 표면은 엽맥부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에는 낮은 톱니가 약간 있고 엽병은 길이 3-8cm이다.
삭과는 지름 7-8mm로서 편평한 구형 익으면 5개로 갈라지고 갈색으로 익는다.
가는 땅속줄기가 있다.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상록 다년생 초본.
세계에 약 25종 우리 나라에는 7종이 분포한다.
초본 식물로 가는 땅속줄기가 있고 근생엽은 땅에 로제트형으로 퍼진다.
▶분홍노루발: 꽃은 분홍색 지름 12-15mm 꽃줄기의 길이 20cm 꽃줄기 끝에 7-15송이씩 밑을 향해 총상화서로 달린다.
잎은 드문드문 달리고 엽병은 길이 5~15cm로 떨어지기 쉬운 인편이 드문드문 붙는다.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10~20cm 폭은 8~15cm로써 4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첫째 우편이 가장 크며 난상 삼각형이고 각 우편에 대가 있으며 최종열편은 긴 타원형 도는 피침형으로서 나비는 1-2mm이다. 전체적인 느낌이 우아하고 여성적이다.
포자낭군은 최종열편의 엽맥 끝에 1개씩 달리고 양쪽 가장자리와 밑부분으로 잎이 달리며 컵 모양이다.
근경은 직경이 3~5mm이고 갈색 또는 회갈색 인편으로 덮이며 길게 뻗는다.
실뿌리가 내린다.
다년초
▶줄고사리: 상록다년초로 짧은 근경에서 잎이 대생하고 쇠줄같은 포복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털로 덮인 괴경이 달린다.
꽃은 5-7월에 피고 백색이며 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소화경은 짧으며 윗부분에 점같은 잔돌기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8mm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화관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고 끝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으며 열편 사이의 부편은 열편보다 다소 짧고 톱니가 다소 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가 화관통속에 들어 있다.
잎은 뿌리 끝에서 총생하여 꽃무늬처럼 비스듬히 퍼지며 난형이고 큰 것은 길이 1.5cm 나비 1.3cm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막질로 되고 잔돌기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경생으로 된다. 경생엽은 대생하고 밑부분이 합생하여 엽초로 되며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뒷면 주맥과 더불어 규칙적인 잔돌기가 있다.
화서는 줄기 긑에 총상화서로 붙거나 액생하며, 결실기에는 길이 10cm에 달하며 선모가 있고 10-30개의 꽃이 붙는다.
꽃은 꽃받침 조각은 4개로 깊게 갈라지며,
화관은 백색으로 청색선이 있거나 청색선이 없는 백색에서 청색까지 다양하고
드물게 자줏빛을 띄는 붉은 색도 있으며, 길이 2mm, 직경 3mm, 암술대는 길이 2.5mm이다.
잎은 대생하지만 상부에서는 드물게 호생한다.
엽신은 난상 원형, 혹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0.8~2cm,폭 0.7~1cm이며, 엽연은 대부분 얕은 거치가 있으나 드물게 전연이다.
엽병은 줄기의 하부의 잎에서는 길이 2-3mm이고 상부에서는 없다.
삭과는 납작한 아신장형으로 길이 약 2mm 나비 약 3mm이며, 정단은 얕은 홈이 있고 가장자리에 섬모가 있다.
종자는 편평하지만 양면이 다소 볼록하다. 염색체수는 2n=14이다.
원줄기는 지상에서 가늘고 길게 뻗으며, 지면에 닿는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고,
줄기의 중부 이상에서 직립하며, 엽액에서 가지가 분지한다.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상부에는 선모가 있다.
5-6월에 솔방울처럼 빨강 노랑 분홍 자주 등의 다양한 색깔의 꽃이 생장점에 크기 1-2㎝로 핀다.
잎은 젓나무처럼 생겼으나 끝이 둘로 갈라져 있으며 뒷면은 순백색의 기공조선(氣孔條線)이 발달하여 하얀색을 띤다.
8-9월에 검은 색의 구과가 열린다.
소지는 처음에는 약간 털이 있으며 황색을 띠지만 나중에는 털이 없어지고 자색을 띤다. 가지에는 잎이 떨어진 자국이 뚜렷하다. 동아는 난원형이며 털이 없고 송진이 약간 묻어 있다.
상록침엽교목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푸른구상(for. chlorocarpa T. Lee): 구과의 색이 푸른 것.
▶붉은구상(for. rubrocarpa T. Lee): 구과의 색이 붉은 것.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Maxim.): 구상나무에 비해 잎이 좁고 연약하며 배열이 빗처럼 되고 구과의 실편포(實片苞)가 뒤로 젖혀지지 않고 위로 서 있는데 구상나무와 혼생하기도 하며 전국 고산에 자생한다.
화경(花莖)은 밑부분이 막질의 인편으로 싸여 있고 끝에서 잎같은 3개의 포엽이 윤생한다.
총포엽은 엽병이 있고 3개로 완전히 갈라진다.
열편은 피침형이며 극히 짧은 대가 있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화경(花梗)은 총포병(總苞柄)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길고 백색 견모가 밀생함. 꽃받침열편은 5개가 수평으로 퍼지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4mm, 폭 2mm로서 백색이며 겉에 털이 밀생하고 안쪽에 털이 없다. 꽃은 4월 중순에 피며 총포 내에서 화경이 나와 끝에 1송이씩 달리고 지름 2cm이며 꽃잎은 없고 암술과 수술은 많으며 길이 2mm로서 털이 없고 암술에 견모가 밀생한다.
근경끝에서 화경(花莖)이 나와 높이 20-30cm정도 자란다.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花梗)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있고 1-2개가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밑부분에 소포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넓은 선형이며 길이 6mm 폭 2mm로서 겉에 백색털이 있고 자방은 백색의 퍼진 털이 있다.
근생엽은 없다. 총포엽은 3개로서 윤생하며 포엽은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은 우상으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중앙부의 양면에 흰색의 긴 털이 있으며 양끝이 좁고 길이 3-7cm 폭 9-25mm로서 피침형이며 양쪽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 외에 홍색 자색 등 여러 가지 색이 있고 원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며 꽃봉우리가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잎은 2개이고 타원상 주형(舟形)이며 길이 1.5-2cm로서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4개이며 길이 5-7cm로서 둥글고 교호로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이 가장 크다. 많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머리가 방사형이다.
잎은 호생하며 긴 난형으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반 정도 얼싸안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전체가 회청색이며 길이 3~20cm 가량이다.
삭과로서 난상 구형이고 길이 4~6cm 지름 3.5-4cm로서 털이 없으며 성숙하면 위쪽 작은 구멍에서 종자가 방출된다.
높이 50-15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
월년초.
설익은 열매 껍질에 상처를 내어 흘러나오는 유액(乳液)이 말라 약간 굳어졌을 때 70℃ 이하에서 말린 것을 아편이라고 한다.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1개가 비스듬히 상향하여 피며 화경은 길이 4~6cm이다. 꽃받침조각은 3개이며 장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며 길이 2.5~3.5cm이고 꽃잎도 3개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길이 3~4cm이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길이 3~5mm 꽃밥은 9~12mm이며 암술대 끝은 3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은 뒤로 말린다.
잎은 줄기 끝에 3엽 윤생하고 넓은 난상 능형으로 길이와 나비가 각 7~17cm이며 끝은 짧게 뾰족하고 밑은 약간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 작은 돌기가 있으며 3~5개의 맥이 있고 엽병은 없다.
장과는 구형이다.
줄기는 곧추 서며 기부에 갈색 인편엽이 있다.
근경은 짧고 굵으며 실한 뿌리를 낸다.
다년초이다.
수술주변이 갈색인 큰연영초에 비해 수술주변이 백색이다.
국가식물표준목록
Fl. Amer. Sept. 1 : 246 (1814)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