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4-5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백색이고 잎과 대생한 화경(花梗)은 길이 3-7cm이며 물 위로 올라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길이 3-4.5mm이며 털이 없고 꽃잎은 5개이며 도란형으로서 밑부분에 누른빛이 돌고 소인편이 붙어 있으며 길이 6-9mm이다. 수술과 암술은 많고 꽃밥은 길이1mm정도이다.
잎은 호생하며 짧은 엽초위에 잔털이 돋은 짧은 엽병이 있고 3-4회 갈라져서 실같은 열편으로 된다.
취과는 지름 5-6mm로서 둥글고 화탁은 길이 2mm정도이며 긴 털이 밀생한다. 수과는 편평한 도란형이고 뒷면에 딱딱한 털이 있으며 길이 1.5-2.2mm로서 마르면 옆으로 주름이 진다.
길이가 50cm에 달하며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다년생 수초
▶민매화마름 (R.yezoensis NAK.) : 화탁과 수과 및 탁엽에 처음부터 털이 없다.
꽃은 4-5월에 피고 유이화서로 달린다. 자화수는 새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5mm로서 화축에 털이 있으며 포는 난상 원형으로서 흑색이고 털이 있으며 밀선은 1개이다. 자방은 난형으로서 털이 없고 밀선과 거의 같은 길이의 대가 있으며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지고 암술머리는 4개이다.
마른 잎은 오랫동안 가지에 붙어 있으며 소지에 털이 없다. 잎은 원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4-15mm 폭 4-12mm로서 원두 또는 미요두이며 예저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고 맥이 튀어나오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과수(果穗)는 길이 1-1.2cm이고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며 길이 3mm이고 6-7월에 결실한다.
가지에서 뿌리가 내리기 때문에 지상을 기면서 자란다.
낙엽활엽소관목
▶긴잎매자버들(var. brayi Trauty.) : 매자잎버드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도피침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20mm 폭 2-8mm이며 전자와 함께 자란다. ▶왕버들(S. chaenomeloides Kimura): 잎이 나올 때 붉은빛을 띠며 잎은 타원형 뒷면은 흰색이다. ▶떡버들(S. hallasanensis Leveille): 잎은 원형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4㎝ 폭 2-7㎝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
화경(花莖)은 삼각형이고 높이 80-150cm 지름 7-11mm로서 2-4개의 마디가 있다. 꽃은 7-10월에 피며 산방화서는 화경 끝에 달리고 지름 3-8cm로서 3-8개의 가지가 자라며 가지는 길이가 7cm에 달하고 1-4개의 소수가 달린다. 포는 2개 정도이며 화서보다 길고 소수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9-20mm로서 녹색이다. 인편은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 표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2개로 갈라진 끝에서 긴 까락이 자란다. 화피열편은
잎은 화경(花莖)에 달리며 폭 5-10mm로서 화경보다 길고 엽초는 때로 갈색이 돈다. 잎은 호생하며 선형이고 끝이 날카로우며 하부는 통상(筒狀)의 초가 되어 줄기를 싼다. 구연(口緣)은 비스듬한 일(一)자 모양이며 줄기끝의 엽상포(葉狀苞)는 길다.
수과는 세모진 긴 타원형이고 길이 3-3.5mm로서 면이 오목하며 회갈색이고 끝이 부리처럼 뾰족하다.
백색 또는 담홍색으로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전년도 엽액에 1-3개씩 달리며 화경이 거의 없다. 지름 2.5㎝내외로 향기가 강하고 색깔이 다양한데 기본종은 분홍색이다. 꽃받침은 5개로 자갈색의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꽃잎은 넓은 도란형으로 끝이 둥글고 많은 수술이 울타리처럼 1개의 암술을 보호하고 있다. 씨방에 밀모(密毛)가 나 있다.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타원형인데 원저이며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잎은 길이 4~10㎝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 맥액에 갈색털이 있다. 엽신기부 또는 엽병의 상부에 선점이 있다. 탁엽은 길이 5-9㎜이다.
지름 2-3㎝의 핵과로서 겉은 짧은 털로 덮여있고 6-7월에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익으며 신맛이 나며 오매(烏梅)라 한다. 열매의 한 쪽에 얕은 골이 진다. 종자는 과육이 잘 떨어지지 않으며 종자 표면에 작은 구멍이 많이 있다.
우산모양의 아름다운 수형이다. 어린가지는 녹색이나 오래된 가지는 암자색으로 수피는 갈라진다.
낙엽 활엽 교목.
▶국내에는 약 2 000년 전에 도입되어 정원수로 식재했고 최근에는 분재로 많 이 키운다. ▶매화나무라고 불리어온 수목으로 여러 품종이 있다.
▶흰매실(for.alba): 흰꽃이 핀다. ▶만첩흰매실(for.alb-a-plena Bailey): 흰꽃이 많첩으로 핀다. ▶만첩홍매실(for.alphandii Rehder): 붉은 꽃이 많첩으로 핀다.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cm이며 황색의 총상화서는 길이 10cm로서 액출(腋出)하여 반쯤 처지고 10-20개의 꽃이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 5-10mm이고 꽃잎은 약간 미요두이며 6개이다. 꽃받침잎은 6개로 바깥 3개는 난형으로 길이 4mm정도이고 안쪽 3개는 도란형으로 길이 6mm정도이다. 수술은 여러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기부에 2개의 작은 꿀샘이 있다.
잎은 새가지에서 호생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이며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3-8cm 폭 2-4cm로서 예리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열매는 길이 1cm 정도의 타원상 장과이고 9-10월에 붉게 익는다.
높이가 2m에 달하고 수피는 암회색이며 가지는 회색이고 털이 없다. 소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1-2cm이다.
낙엽활엽관목이다.
줄기의 탁엽에 매의 발톱 같은 가시가 있어 매발톱나무라 한다. 목부(木部)를 소벽(小蘗)이라 한다.
▶왕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latifolia ) : 울릉도와 강원도에서 자라며 잎의 원형 또는 난상원형이다. ▶섬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 잎이 도피침형이고 길이 1-3cm로서 모상(毛狀)의 톱니가 있으며 가시가 크고 3출하며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서 적색으로 익고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중간형이다. ▶매자나무(B. koreana) : 예리한 톱니가 고르지 않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꽃은 5~7월에 노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가지 끝에서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 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며 길이 2cm 갈색이 도는 자주색이다. 꽃잎은 5장 노란색이며 꽃받침 잎과 번갈아 늘어선다. 꽃잎 아래쪽에 거가 있는데 끝이 안으로 구부러지고 밖으로 나온다. 수술은 많으며 안쪽 것은 꽃밥이 없는 헛수술이다. 암술은 5개다.
근생엽은 여러 장이 모여 나며 엽병이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경생엽은 겹잎이며 위로 갈수록 엽병이 짧다.
과실은 골돌이며 위를 향해 달린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매끈하고 자줏빛이다.
국가식물표준목록
Act. Phytotax. Geobot. 15 : 4 (1953)
1) Flora of Korea (Y.N.Lee, 1996)
2)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3)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꽃은 6-7월에 피며 황색이고 화경(花莖)은 엽병보다는 길지만 잎보다는 짧으며 잎이 없고 끝에 1-10개의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소화경은 길이가 불규칙하고 포는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은 2개이며 난상 넓은 타원형으로서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원상 난형이며 길이 1cm정도이고 수술은 많으며 꽃잎보다 짧고 암술은 1개이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1회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3-7개이며 소엽병이 있고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결각상으로 갈라지기도 하며 엽병과 더불어 잔털이 있고 자르면 적색의 유액이 나온다.
길이 3cm정도의 삭과는 끝에 긴 부리가 있고 염주같이 잘록하며 종자는 둥글고 황갈색으로서 겉에 돌기가 있다.
높이 20-40cm이다.
짧고 굵은 근경에 잎이 총생한다.
다년생 초본
▶이 식물은 피나물처럼 여러개의 괴경이 뭉쳐 달리지 않고 단경이기 때문에 분주가 불가능하다. ▶한국특산식물이다. ▶피나물(H. vernale Max.)과 이름이 바뀌것이 아닌가 한다. 매미꽃은 줄기를 자르면 묽은 피빛 액체가 나온다. 그러나 피나물은 줄기에서 노란색의 액체가 나온다.
▶피나물(H. vernale Max.)은 중부 이북의 깊은 산 계곡 주변이나 낙엽수림 밑에서 자생한다.
꽃은 단성화고 6월경에 피며 화서는 서로 가까이 붙어 있는 2~3개의 소수로 되었다. 아래의 포엽은 비늘모양이며 피침형이고 드물게 끝이 가시모양을 이루고 가장자리는 백색막질이며 밑부분은 약간 줄기를 둘러싸고 엽초는 없다. 맨 위에 나는 소수는 웅소수며 선형(길이 1~2.5cm)이며 약간 구부러 졌다. 그 밖의 소수는 자소수며 둥근난형 또는 난형(길이 0.5~1cm)이며 몇개의 꽃이 성글게 피고 대는 없다. 화영은 나선형으로 돌려 붙는다. 웅화영은 끝이
잎은 가는 선형이며 줄기보다 짧고 편평한데 엽연는 약간 뒤로 말리며(너비 1~2mm) 굳고 털은 없으며 뒷면에 점모양의 돌기가 있다.
열매는 7월경에 여물며 둥근도란형(길이 약 1.7mm)이며 뭉툭하게 세모지며 과포속에 좀 빽빽이 들어있다.
줄기는 가늘고 무디게 세모지며 윗부분은 거칠다. 줄기 밑부분에 나는 엽초는 진한 자색빛이 도는 붉은색이고 실모양으로 가늘게 갈라 졌다.
화서는 털이 없고 가지 가지 끝 부근의 엽액에 달리는 취산화서이거나 또는 가지 끝에 달리는 총상화서로서 화경이 짧으며 꽃은 양성으로서 6월피고 황록색이며 지름 3-3.5mm이고 5수이며 소화경은 길이 2-4mm이다. 꽃잎은 타원형인데 악편보다 짧다. 수술은 5개이고 화사는 짧다. 포와 소포는 작고 빨리 떨어지며 암술대는 1개이고 기부에서 떨어지며 암술머리는 미요두이거나 2개로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7~12cm 나비 3-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분백색으로서 털이 없거나 맥액 근처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6-10mm로서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좁고 긴타원형이고 길이 7~8mm로서 가을(8~9월)에 먼저 노란빛이 돌고 그 뒤 붉게 되며 나중에는 암적색으로 되어 성숙한다.
가지는 적갈색이고 작은 피목이 산재하며 원줄기는 곧게 자라지만 가지는 늘어지고 수피는 세로로 잘게 갈라진다.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원개형.
▶천연기념물 ①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의 망개나무는 천연기념물 207호로 1968년 6월 21일 지정되어있다. ⓐ지정사유:희귀수종 ⓑ나무높이:12m ⓒ가슴높이줄기둘레:0.78m ②제266호 - ⓐ소재지: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 ⓑ면적:1 116 046㎡ ⓒ지정사유:희귀수종 자생지 ③제337호 - ⓐ소재지:충청북도 제천군 한수면 ⓑ면적:1.256㎡ ⓒ지정사유:노거수 ⓓ수령:150년 ⓔ나무높이:15m ▶세계적으로 희귀한 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
꽃은 엷은 황색으로 7~9월에 피고 두하는 길이와 지름이 각각 3-3.5mm로서 둥글며 총상 원추화서에 달리고 잔꽃은 이화(異花)인데 모두 등생(登生)하고 화탁(花托)은 나출(裸出)된다. 화경은 가늘고 짧다. 총포는 털이 없으며 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1mm정도로서 넓은 난형이며 둔두이고 중편은 타원형으로서 뒷면이 녹색이다.
잎은 호생하며 넓은 주걱형이고 길이 3-10cm 나비 1.5-4.5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되며 끝에 원두 또는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과 더불어 견모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도란형 또는 주걱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4.5-8.5cm 나비 17-40m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견모가 밀생하며 상반부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지만 가탁엽(假托葉)으로 되지 않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수과는 길이 2mm 정도로서 털이 없다.
높이 30-80cm이고 가지 끝에 로제트형의 잎이 달린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줄기면 및 잎뒤에는 갈색 면모(綿毛)가 있다.
꽃은 7-8월에 홍백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끝에서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꽃이 핀 다음 길게 자라며 짧은 선모가 있고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각 2개이다.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자홍색이고 꽃잎은 도란형이며 꽃받침 길이의 2/3정도로서 2개로 갈라지고 홍백색이다. 수술은 2개이고 자방은 2실이다.
잎은 대생하며 좁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거나 얕은 심장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4-14cm 폭 2-5cm로서 가장자리에 점으로 그치는 희미한 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으며 엽병이 엽신보다 짧고 길이 3-5cm로서 거의 털이 없다. 표면은 맥줄에 다소 털이 있고 뒷면은 털이 없다.
열매는 견과상으로 넓은 도란형이며 세로로 4개의 홈이 파져 있고 지름 3mm로서 갈고리같은 털이 있으며 열매의 대는 열매와 길이가 같거나 1.5배정도 길고 8-9월에 익는다.
높이 30-4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없다.
가는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다.
다년생 초본
세계에 약 12종 우리 나라에는 4종이 분포한다.
▶쥐털이슬: 높이 6-15cm 전체에 털이 없고 가느다란 흰색 땅속줄기로 뻗는다. 잎은 대생 심장상 넓은 난형 꽃은 붉은 빛이 도는 총상화서 꽃잎은 2장이다. ▶쇠털이슬: 높이 40-50cm 가지는 없고 전체에 긴 털과 짧은 털이 있다. 꽃은 흰색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털이슬: 높이 40-50cm 전체에 구부러진 가는 털이 있다.꽃은 흰색.
꽃은 양성으로 6~9월에 피고 화경은 길이 2~5cm로서 굴어지지 않으며 화수는 길이 1-1.5cm이다. 수술과 암술이 각각 4개이고 약격(葯隔)이 자라서 꽃잎처럼 된다. 암술대는 길이 2mm정도이다.
잎은 모두 물 속에 잠긴다. 수중엽은 호생하며 길이 4~7cm 폭 4~7mm로서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가장자리에 주름과 더불어 잔톱니가 있으며 양끝이 둥글거나 둔하고 자루가 없으며 때로는 원줄기를 감싸기도 하고 3맥이 뚜렷하며 가장자리는 파상이다. 탁엽은 길이 4mm내외로서 얇은 막질이다.
수과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뒷면에 뚜렷하지 않으나 3개의 능선이 있고 중앙부의 능선에 톱니가 있다.
길이 30~70cm이며 어느 정도 편평하다.
지하경은 길게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와 줄기가 돋고 가지가 많다.
수생 다년초
가을철에 짧은 가지가 떨어져 물 밑에서 겨울을 지난 다음 다시 자라는 특색이 있다.
▶가는가래(P. cristatus Regel et Maack): 물 속에 있는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물 속에 잠기는 잎은 길이 4-6㎝ 폭 0.7㎜ 끝이 뾰족하고 물 위에 뜨는 잎은 긴 타원형이다. ▶가래(P. distinctus A. Benn.): 물에 잠기는 잎은 잎자루가 3-4㎝이고 얇다. 물 위에 뜨는 잎은 잎자루가 6-10㎝ 긴 타원형 표면은 녹색 매끄럽고 뒷면은 엷은 황색이다. ▶선가래(P. fryeri A. Benn
많은 꽃이 모여 지름 5-15cm의 정생하는 원추화서를 이루고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5mm정도로서 황록색이고 화경은 길이 21cm에 달한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3개이며 자방은 3실이고 암술대가 3개이며 밑부분이 화반으로 둘러싸여 있다.
잎은 대생하고 5-11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길이 25cm이며 소엽은 피침상 난형 또는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4-8cm 너비 2-4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잔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뒷면 중륵 기부 근처에 흔히 백색 털이 있다.
열매는 골돌과로 1-3개씩 달리고 꼬부라진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길이 1.5-2cm로 8-9월에 익으며 세로맥이 있고 겉은 붉은빛이 돌며 안쪽은 밝은 홍색이다. 종자는 흑색 윤채가 있고 둥글며 지름 5-6mm이다.
높이가 3m에 달하고 가지는 굵으며 털이 없고 수피는 녹갈색이며 둥글다. 가지를 꺾으면 악취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