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크기 구분방법 _극소형: 2cm 이하. 소형: 2∼5(6)cm 정도. 중형: 5∼10(11)cm 정도. 대형: 10∼15(16)cm 정도. 거대형: 15cm 이상. |
-
종지털컵버섯(솜털종지버섯, 종지털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um virgineum (Batsch) P. Karst. > Dasyscyphus virgineu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컵버섯속(Lachnum)
특징 : 폭 0.5∼1mm. 종지모양이다가 컵 모양∼접시 모양. 흰색∼크림색, 바깥 면에 흰색 긴 털이 밀생. 솜털종지버섯이 속이 바뀌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직경 0.5∼1mm 정도의 극소형. 어릴 때는 종지모양이다가 컵 모양으로 오래 남으며, 후에 접시 모양이 되기도 한다. 자실층면은 평활, 흰색∼크림색. 바깥 면과 가장자리는 흰색의 긴 털이 밀생되어 있다.
대는 0.5∼1mm 정도이며 밑동 쪽으로 가늘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방망이꼴. 평활, 투명, 6∼8×1.5∼2㎛.
자낭은 8개의 포자가 있다. 포자는 다소 경사진 모양으로 일정하게 1줄로 배열되어 있다. 45×3.5∼4.5㎛. 측사는 긴 바늘모양, 격막이 있고, 자낭보다 더 길게 돌출된다. 털은 원주형이면서 꼭지가 다소 굵은 곤봉형. 격막이 있고, 미세한 결정체가 피복되어 있다. 길이 120㎛ 정도.
색상 : 흰색∼크림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죽은 나무딸기의 줄기나 잔가지, 너도밤나무 열매 및 열매껍질, 자작나무 구과, 식물체를 버린 곳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가는털컵버섯(가는새털종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um tenuissimum (Quél.) Krof & Zhuang > Dasyscyphus tenuissimu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컵버섯속(Lachnum)
특징 : 폭 0.6∼1mm. 풀줄기에 난다. 머리는 컵 모양, 후에 접시 모양∼평평한 모양. 허연색. 바깥 면은 같은 색, 쌀겨 모양의 털이 있다. 대는 원주상, 흰색 털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풀의 줄기에 나는 0.6∼1mm 크기의 극소형. 머리와 대로 구분된다. 머리는 어릴 때 컵 모양이다가 후에 접시 모양 또는 평평형이 된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 허연색∼크림색. 바깥 면은 같은 색이고 쌀겨모양의 털이 있다. 가장자리는 백색의 털이 돌출되어 있다.
대는 0.3∼0.5mm이고 원주상이며 흰색 털이 있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6∼8×1∼1.5㎛.
색상 : 허연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각종 초류의 썩은 줄기에 군생 또는 밀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단풍잎털컵버섯(리트머스털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um rhytismatis (Phill.) Nannf. > Dasyscyphus rhytismati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컵버섯속(Lachnum)
특징 : 폭 0.2∼0.4mm. 지난 해 떨어진 단풍나무 등 잎에 발생. 컵 모양의 머리 밑에 대가 있다. 크림색. 리트머스털종지버섯이 속이 바뀌어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전년에 떨어진 단풍나무류 등 활엽수 잎이나 관목류의 잎에 발생하는 크기 0.2∼0.4mm 정도의 극소형. 컵 모양의 머리 부와 대가 구분된다. 윗면 자실층은 평활, 크림색. 바깥면과 가장자리는 흰색의 밀모로 덮여있다. 가장자리의 털은 돌출되어 있다. 크림색.
대에도 털이 있다. 흔히 기질인 잎에는 구멍이 많이 뚫려 있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방망이꼴. 평활, 투명, 간혹 2개의 방울이 있다. 5∼6×1.5∼1.7㎛.
색상 : 크림색
발생계절 : 봄
발생형태 : 봄. 단풍나무류 등 활엽수 잎이나 관목류의 잎에 단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꼬마털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um pygmaeum (Fr.) Bres. > Dasyscyphus pygmeaus (Fr.) Sacc.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컵버섯속(Lachnum)
특징 : 4mm 정도. 자낭각은 기질에 군생. 컵 모양이다가 평평히 퍼지며, 황색, 하면은 미세한 솜털로 덮인다. 대는 가늘고 길다. 꼬마황종지버섯이 속이 달라져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의 자낭각은 기질에 군생 또는 총생한다. 컵 모양이다가 평평히 퍼지며 지름 4mm 정도. 자실층 표면은 황색, 가장자리 및 하면은 미세한 솜털이 덮여 있으며, 털은 40×5㎛정도.
대는 보통 가늘고 길다.
포자 : 포자는 좁은 타원형. 격막은 없고 7∼12×1.5∼2㎛. 자낭은 원주상 곤봉형, 70×6㎛. 8포자형.
색상 : 황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 가을. 흙이 덮여 있는 죽은 나무나 가지, 뿌리 또는 풀뿌리 등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수지털컵버섯(수지황종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um corticale (Pers.) Nannf. > Dasyscyphus corticalis (Pers.) Mas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컵버섯속(Lachnum)
특징 : 폭 0.5∼1mm. 컵 모양. 살색∼연한 분홍황토색. 가장자리와 하면은 다소 연한 색 털이 밀포.
자실체 : 자실체는 직경 0.5∼1mm의 극소형. 컵 모양,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붙거나 극히 짧은 대가 있다. 표면 자실층은 평활, 살색∼연한 분홍황토색. 가장자리와 하면은 다소 연한 색 털이 두껍게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1개의 격막이 있고 내부에 몇 개의 방울이 있다. 14∼20×4∼4.5㎛.
색상 : 살색∼연한 분홍황토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수피가 있거나 또는 없는 활엽수 죽은 목재, 그루터기 등에 총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털컵버섯(쌍색털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um bicolor (Bull.) P. Karst. > Dasyscyphus bicolor (Bull.) Fuckel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컵버섯속(Lachnum)
특징 : 폭 1∼2mm. 활엽수 잔가지에 난다. 컵, 접시 모양∼ 편평한 형. 윗면은 난황색, 바깥 면은 흰색 털 피복. 쌍색털컵버섯을 기준종이어서 개칭.
자실체 : 자실체는 직경 1∼2mm의 극소형. 컵 모양, 접시 모양이다가 편평해 진다. 대가 없이 기질에 부착한다. 윗면 자실층은 난황색∼오렌지황색이고 평활하다. 가장자리와 바깥 면은 흰색의 털이 두껍게 피복하고 있다. 건조하면 가장자리고 위쪽으로 심하게 말린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방추상 방망이꼴. 평활, 투명, 7∼9×1.5∼2㎛.
색상 : 난황색
발생계절 : 봄
발생형태 : 봄. 참나무류, 오리나무류, 물푸레나무, 산딸기나무 등의 떨어진 가지나 잔가지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백색털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um apalum (Berk. & Br.) Nannf. > Dasyscyphus apalus (Berk. & Br.) Denni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컵버섯속(Lachnum)
특징 : 폭 0.2∼0.5mm. 골풀 등에 난다. 컵∼접시 모양. 윗면은 연한 황색∼적색을 띤 황색. 바깥 면은 백색, 백색 밀모가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지름 0.2∼0.5mm의 극소형. 컵 모양이다가 접시 모양으로 된다. 윗면 자실층은 연한 황색∼적색을 띤 황색, 때로는 크림색이고 평활하다. 바깥 면과 가장자리는 백색이고, 백색의 밀모가 덮여 있다.
대는 짧은 대가 있다.
포자 : 포자는 긴 방추형. 평활, 투명, 성숙하면 작은 방울들이 들어있다. 35∼40×1.5㎛.
색상 : 연한 황색∼적색을 띤 황색
발생계절 : 가을~봄
발생형태 : 가을∼봄. 땅에 떨어진 골풀 등의 죽은 줄기에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노란털종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ellula suecica (de Bary ex Fuckel) Nannf.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종지버섯속(Lachnellula)
특징 : 자낭반은 폭 1∼4mm, 어릴 때는 컵모양, 곧 불규칙하게 찌그러져서 접시모양∼평평한 모양이 된다. 짧은 대가 있다. 자실층은 노른자황색, 바깥면은 백색 털모양이 밀포.
자실체 : 자실체는 자낭반은 1∼4mm, 어릴 때는 컵 모양, 곧 불규칙하게 찌그러져서 접시 모양∼평평한 모양이 된다. 짧은 대가 있다. 표면의 자실층은 평활하고, 노른자황색, 가장자리와 바깥 면은 백색 털모양이 밀포되어 펠트상, 가장자리는 흔히 찢어진다.
대는 극히 짧은 대가 있다.
포자 : 포자는 구형. 평활, 투명. 4.5∼5㎛.
색상 : 노른자황색
발생계절 : 여름~가을
발생형태 : 여름∼가을. 고산지대의 소나무, 이깔나무 등 침엽수 죽은 가지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가는털종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ellula subtilissima (Cke.) Denni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종지버섯속(Lachnellula)
특징 : 폭 1∼5mm. 컵모양∼접시모양. 황색∼오렌지색. 가장자리와 하면은 백색 털 밀생. 대가 있다. Lachnellula occidentalis보다 큰 편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1∼5(8)mm의 극소형. 어릴 때는 술잔 모양이나 곧 불규칙한 컵 모양∼접시 모양이 된다. 뚜렷한 대가 있다. 표면 자실층은 평활하거나 결절모양 또는 굴곡된 모양이고 황색∼오렌지색. 가장자리와 하면은 밝은 색이며, 백색의 털이 펠트모양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다소 굴곡이 되어 있다.
대는 대가 있다.
포자 : 포자는 원주형∼방추형. 평활, 투명, 5∼7(9)×1.8∼2㎛.
색상 : 황색∼오렌지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전나무, 가문비나무 등 침엽수의 죽은 가지 수피 위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가루털종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ellula pseudofarinacea (Crouan) Dennis > Trichoscyphella pseudofarinacea(Crouan) Le Gal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종지버섯속(Lachnellula)
특징 : 폭 3mm 이하. 진한 황색∼오렌지색 가장자리와 바깥 면에 연한 황백색 털이 밀생하여 다소 분상으로 보임.
자실체 : 자실체는 폭 3mm 이하의 극소형. 극히 짧은 대를 가진 접시 모양이며, 위 표면이 오목하고 평활하며, 진한 황색∼오렌지색. 가장자리와 바깥 면 및 대는 연한 황백색의 털이 밀생한다. 유사한 다른 버섯들과 혼동되기 쉬우나, 소나무 가지 또는 솔방울에 나는 특징이 있고, 포자의 모양이 긴 솔잎 모양이며, 크기는 70∼80×1.5㎛이어서 다른 버섯과 포자 크기에 큰 차이가 있다.
포자 : 포자는 긴 솔잎 모양. 70∼80×1.5㎛
색상 : 진한 황색∼오렌지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소나무 가지 또는 솔방울에 산생 또는 군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노른자털종지버섯(암적색털종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ellula fuscosanguinea (Rhem) Denni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종지버섯속(Lachnellula)
특징 : 폭 1∼5mm. 불규칙한 접시모양∼평평한 모양, 난황색, 가장자리와 하면은 녹슨갈색 털. 암적색털종지버섯이 색깔 혼동 우려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1∼5mm의 극소형. 어릴 때는 컵 모양이나 곧 불규칙한 접시모양∼평평한 모양이 된다. 대가 없거나 또는 매우 짧은 대가 있다. 표면 자실층은 평활, 난황색∼적색을 띤 황색. 가장자리와 하면은 녹슨 갈색의 털이 빽빽이 나 있다. 가장자리는 불규칙하게 굴곡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방추상 봉형. 평활, 투명, 간혹 1개의 격막이 있다. 14∼15×4∼5㎛.
색상 : 난황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나무에 붙어 있거나 땅에 떨어진 소나무류의 수피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북미.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양모털종지버섯(노란양모접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Lachnellula calyciformis (Wild.) Dharne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종지버섯속(Lachnellula)
특징 : 폭 1.5∼3mm. 어릴 때는 컵 모양, 곧 접시모양∼평평한 모양. 아래 쪽에 극히 짧은 대가 있다. 표면은 황색~오렌지색, 하면은 백색 면모상 털이 두껍게 덮여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지름 1,5∼3mm 정도. 어릴 때는 컵 모양이나 곧 접시모양∼평평한 모양이 된다. 표면 자실층은 평활, 황색-오렌지황색, 바깥쪽 및 가장자리는 백색 면모상 털이 두껍게 덮여 있다.
대는 나부 껍질에 매우 짧은 대가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4.5∼7×2.5∼3㎛.
자낭은 8개의 포자가 들어 있고 한줄로 들어 있다. 45∼55×4.5∼5㎛. 측사는 다소 끝이 뾰족하다. 다소 드물다. 원주상, 격막은 없다. 강모체(털)는 투명하고, 여러 개의 격막을 이루고 있으며, 미세하게 결정체가 붙어 있다.
색상 : 황색~오렌지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전나무 숲의 죽은 가지나 잔가지, 땅에 떨어진 가문비나무의 껍질이 남아 있는 가지 등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흰털단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Hyaloscypha leuconica (Cke.) Nannf.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털단지버섯속(Hyaloscypha)
특징 : 둥근 단지 모양이며, 가장자리나 바깥 면에 백색∼연한 황토색 끼의 미세한 털이 두껍게 밀생되어 있다.
자실체 : 자실체는 폭 1∼2mm(0.3∼0.5mm라고 기록된 것은 잘못된 것으로 보임) 정도. 둥근 단지 모양이며, 위 표면이 오목하고, 평활하다. 가장자리나 바깥 면은 미세한 털이 두껍게 밀생되어 있다. 백색∼연한 황토색 끼가 있다. 짧은 대가 기질에 부착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2개의 작은 방울이 들어 있다. 6∼8×1.8∼2.2㎛.
자낭은 원주상 곤봉형, 8개의 포자가 들어 있고, 2줄로 들어 있다. 40∼50×5㎛. 측사는 실모양, 격막이 있다. 측사와 별도로 털이 있다. 털은 투명, 평활, 벽이 얇고, 격막은 없다. 끝은 뾰족하다. 100×3㎛.
색상 : 백색∼연한 황토색
발생계절 : 봄
발생형태 : 봄. 수피가 없는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썩은 목재 위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새싹대종지버섯(새싹주발버섯아재비)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Gemmina gemminarum (Boud.) Raitv. > Pezizella gemmarum (Boud.) Denis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대종지버섯속(Gemmina)
특징 : 폭 0.3∼0.8mm. 어릴 때는 컵 모양, 곧 접시모양∼평평한 모양. 아래 쪽에 1mm 정도 대가 있다. 표면은 회백색, 하면은 백색. 새싹대주발버섯아재비가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지름 0.3∼0.8(1)mm 정도. 어릴 때는 컵 모양이나 곧 접시모양∼평평한 모양. 표면 자실층은 평활, 회백색, 가장자리가 연한 색. 바깥 하면은 백색, 대와 함께 미세하게 털이 덮여 있다.
대는 아래쪽에는 1mm 정도의 대가 기질에 붙어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방추형, 평활, 투명, 간혹 미세한 방울이 들어 있다. 5∼7×2∼2.2㎛.
자낭은 원주상 곤봉형, 8개의 포자가 들어 있고, 2줄로 들어 있다. 35∼40×4∼5㎛. 측사는 드물다. 원주상, 격막은 없다.
색상 : 회백색
발생계절 : 봄
발생형태 : 봄. 습한 지역에 썩은 포풀러류 등에 하면 또는 낙엽 덮인 아래에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잔받침버섯(작은잔받침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Calycellina punctata (Fr.) Lowen & Dum. > C. punctiformis (Grev.) Hohn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잔받침버섯속(Calycellina)
특징 : 폭 0.5∼1mm. 부정형 접시 모양. 돋보기로 보아야 확인될 정도. 연한 황색∼난황색. 참나무 잎이나 엽맥에 난다. 작은잔받침버섯이 기준종이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0.5∼1mm의 극소형. 부정형의 접시 모양이고 연한 황색∼난황색. 때로는 오렌지적색의 반점이 있다. 자실층면은 평활하다. 바깥 면은 다소 연한색이거나 허연색이고 가장자리 끝은 미세한 털이 있다. 대가 없이 기물에 부착된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간혹 약간 굽어 있고, 양 끝에 방울이 있다. 10.5∼17×2∼2.5㎛.
색상 : 연한 황색∼난황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습지에 있는 참나무류 잎이나 엽맥에 단생 또는 총생. 썩은 참나무 재목에 나기도 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밀생황토종지버섯(밀생털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Brunnipila clandestina (Bull.) Baral >D asyscyphus clandestinus (Bull.) Fuckel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황토종지버섯속(Brunnipila)
특징 : 폭 0.1∼1mm. 술잔모양∼컵 모양. 윗면은 크림색∼황토색. 바깥 면은 담갈색 털이 밀생. 밀생털컵버섯이 속이 바뀌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직경 0.1∼1mm의 극소형. 머리 부분은 어릴 때 술잔모양이나 점차 컵 모양 이 되고 일반적으로 대가 있으나 대가 없는 경우도 있다. 윗면의 자실층면은 평활, 크림색∼황토색, 또는 담갈색. 바깥 면은 담갈색의 미세한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는 가루모양의 분상물질이 붙어 있다(탄산석회 결정). 건조할 때는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린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6∼8×1.5∼1.8㎛.
색상 : 크림색∼황토색.
발생계절 : 봄~여름
발생형태 : 봄∼여름. 나무딸기의 죽은 줄기, 바늘꽃, 엉겅퀴 줄기, 우엉줄기 등에 군생하거나 총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털유황종지버섯(노랑털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Belonidium sulphureum (Pers.) Raitv. > Dasyscyphus sulfureus (Pers.) Massee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유황종지버섯속(Belonidium)
특징 : 폭 0.2∼2mm. 초류 줄기에 난다. 머리는 컵 모양∼쟁반모양, 회백색, 또는 담갈색 가장자리와 바깥 면은 유황황색 털이 있다. 노랑털컵버섯이 속이 바뀌어서 개칭됨.
자실체 : 자실체는 폭 0.5∼2mm의 극소형. 어릴 때는 컵 모양, 후에는 쟁반모양으로 퍼진다.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붙는다. 자실층 표면은 평활, 회백색, 또는 담갈색. 가장자리와 하면층은 유황황색의 털이 두껍게 밀포되어 있다.
포자 : 포자는 긴 원주형, 흔히 약간 굽어 있다. 성숙하면 불분명한 격막들이 보인다. 평활, 투명, 26∼29×1.9∼2㎛.
색상 : 회백색, 또는 담갈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각종 초류의 썩은 줄기에 군생 또는 밀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거미줄종지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Arachnopeziza aurelia (Pers.) Fuckel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거미줄종지버섯속(Arachnopeziza)
특징 : 0.3∼1mm. 종지모양 오목, 후에 원반모양. 윗면은 황색, 평활. 바깥 면은 금빛황색∼주황색의 털이 덮여 있다. 색깔 변화가 매우 커서 혼동되기 쉽다.
자실체 : 자실체는 0.3∼1mm의 극소형. 자실층은 어릴 때 종지모양 또는 컵 모양으로 오목하나 후에 원반모양이 된다. 대가 없이 부후된 목재나 낙엽위에 노란색을 띤 균사가 그물처럼 얽힌 위에 난다. 자실층인 윗면은 황색이고 평활하다. 가장자리와 바깥 면은 금빛 황색∼주황색의 털이 덮여 있다.
포자 :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성숙하면 1∼3개의 격막, 간혹 돌출된 부속물이 있다. 17∼22×3.5∼5㎛.
색상 : 황색
발생계절 : 봄~가을
발생형태 : 봄∼가을. 저습지에 부후목 아래쪽이나 낙엽층에 군생 또는 총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원시거미줄종지버섯(원시주발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Arachnopeziza aurata Fuckel >Arachnopeziza nivea Lorton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거미줄종지버섯속(Arachnopeziza)
특징 : 폭 0.2∼0.5mm. 종지모양∼접시 모양. 백색∼허연색, 또는 연한 황토갈색. 노란 색 끼가 있다. 허연색을 띤 균사가 그물처럼 얽힌 위에 난다. A. nivea Lorton 은 동일종이다.
자실체 : 자실체는 0.2∼0.5mm 정도의 극소형. 돋보기로 확인하지 않으면 자실체를 보기 어려울 정도이다. 처음에는 공모양이고 자실층이 닫혀 있으나 점차 자실층이 열리면서 종지모양이다가 후에는 접시 모양으로 퍼진다. 자실층이나 바깥 면이나 모두 백색∼허연색, 또는 연한 황토갈색을 띤다. 자실층면은 평활, 바깥 면은 미세한 털이 나 있다. 대는 없다. 부후목이나 오래된 껍질 위에 허연색을 띤 균사가 그물처럼 얽힌 위에 난다.
포자 : 포자는 솔잎모양. 성숙하면 6∼7개의 격막이 있고, 한쪽 끝이 뾰족하다. 투명, 60∼75×1.5∼3㎛.
색상 : 백색∼허연색, 또는 연한 황토갈색
발생계절 : 봄
발생형태 : 봄. 참나무류, 오리나무류, 포플러류 등 활엽수의 부후목 또는 껍질 위에 산생 또는 군생. 땅에 버려진 목재에 흔히 난다.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
-
털백종지버섯(뾰족털컵버섯)
분류 : 자낭균문(Ascomycota) > 주발버섯아문(Pezizomycotina) > 두건버섯강(Leotiomycetes) > 살갗버섯목(Helotiales 구:고무버섯목)
학명 : Albotricha acutipila (P. Karst.) Raitv. > Dasyscyphus acutipilus (P. Kart.) Sacc.
과명 : 거미줄종지버섯과(Hyaloscyphaceae)
속명 : 백종지버섯속(Albotricha)
특징 : 폭 0.5∼1mm. 갈대 등에 난다. 종지모양, 컵 모양이다가 평평해 진다. 황토백색, 바깥 면은 백색 밀모. 대가 있다. 뾰족털컵버섯을 속이 바뀌어서 개칭.
자실체 : 자실체는 직경 0.5∼1mm의 극소형. 종지모양 또는 컵 모양이다가 평평해 진다. 표면 자실층은 황토백색. 평활하다. 가장자리와 바깥 면은 백색의 거친 밀모가 두껍게 밀생되어 있다.
대는 매우 짧고 흔히 아래쪽이 다소 가늘다.
포자 : 포자는 방추형. 평활, 투명, 7.5∼10×1.5㎛.
색상 : 황토백색
발생계절 : 여름
발생형태 : 여름. 갈대 등 화본과 식물의 죽은 줄기에 총생.
분포 : 한국, 유럽
식용여부 : 비식용
출전, 인용문헌 : 이태수. 2016. 식용·약용·독버섯과 한국버섯 목록. 233pp. (재)한택식물원
이태수. 2016. 인터넷. 한국의버섯(www.koreamushroo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