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실체는 말발굽모양, 절단면은 3각형을 이룬다. 표면은 담황갈색∼적갈색, 흔히 테모양 무늬가 있다. 관공은 처음에 담황색, 후에 암적갈색, 거칠고 각형. 구멍이 큰 편이다.
자실체는 1년생, 살아있는 참나무류 둥치에 대가 없이 직접 붙는다. 자실체는 1개 씩 나며, 말발굽모양, 좌우폭 19cm, 전후폭 11cm 이하. 두께 9cm 이하로 절단면은 3각형을 이룬다. 표면은 담황갈색∼적갈색, 면모상 또는 평활하며, 흔히 테모양 무늬가 있으며, 갓이 갈라지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둥글고 같은 색. 살은 갈색과 허연색의 균사가 혼합된 단단한 알갱이 모양의 수(髓)층이 있고, 층 사이에 황갈색의 섬유상 층이 생기며, 관공층과 살 사이에는 황갈색 조직이 있다.
하면 자실층의 구멍은 처음에 담황색, 후에 암적갈색으로 된다. 거칠고, 각형, 1∼3개/mm, 얇은 격벽을 가지고 있으며, 후에 찢어진 모양이 된다.
포자는 타원형∼난형. 갈색 끼를 띤다. 벽이 두꺼워진다. 6∼8×4.5∼6㎛.
담자기는 곤봉형 또는 밑동이 부풀어 있다. 4개의 담자뿔이 있으며, 17∼20×6∼8㎛. 균사형은 1균사형, 섬유상 층 부분의 균사는 벽이 얇고, 연한 황색 끼를 띠며, 단순한 격막을 갖고, 폭 5∼10㎛. 수(髓)층의 균사는 2개의 형으로 되어 있는데, 어떤 것은 벽이 두껍고 가지가 있으며, 찌그러지기도 한다. 폭 4∼15㎛. 다른 것은 투명하고 격막이 있으며, 벽이 얇고, 폭 3∼4㎛. 기질층의 균사는 연한 황색 끼를 띠며, 벽이 얇고 단순한 격막을 갖고 폭 4∼6㎛.
담황색, 후에 암적갈색
연중내내
연중내내 주로 살아있는 참나무 줄기에 난다. 유칼리나무나 너도밤나무, 산벚나무 등에도 발생한 기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