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소형. 얇은 가죽질. 층생, 부채모양, 황갈색∼적갈색 표면에 방사상으로 심한 고랑. 오래되면 심하게 갈라져 너털너털해 진다. 자실층은 평활, 회백색. 단붚꽃구름버섯을 속명이 바뀌어서 개칭.
자실체는 얇은 가죽질이며 1년생. 극히 많은 자실체가 기와가 쌓이는 모양으로 층생. 갓은 부채모양인데 어릴 때는 황갈색∼적갈색 표면에 방사상으로 심한 고랑이 져 파상이며 무모이다. 가장자리 끝은 연한 색∼황색. 오래된 것은 갓이 방사상으로 심하게 갈라져서 손가락모양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들은 안쪽으로 심하게 만곡한다. 표면은 적갈색∼흑갈색. 방사상으로 미세하게 도드라진 테 무늬가 나타난다.
자실층은 평활, 회백색. 미분상이다.
소형∼중형. 갓은 반원형∼부채꼴, 표면은 암갈색의 융털 띠와 평활한 흑색의 띠가 교호되어 테무늬 형성. 자실층은 탁한 백색이다가 계피색. 비늘꽃구름버섯이라고도 했다.
자실체는 다년생. 목질. 쓰러진 나무에 넓게 착생하며 반배착생. 다수 층으로 겹처 나기도 하며, 때로는 수직으로 부착하기도 한다. 갓은 반원형∼부채꼴 또는 선반형. 표면은 암갈색(일부는 진한 계피색)의 융털 띠와 평활한 흑색 띠가 서로 교호되어 현저한 테무늬가 형성되며, 얕은 테 모양으로 골이 형성된다. 크기 4∼10×3∼6cm, 두께 1∼3mm로 얇다. 살은 진한 계피색, 등쪽 면에는 흑색의 얇은 각피가 있다.
자실층 면은 거의 평탄. 탁한 백색이다가 후에 계피색이 된다. 다소 분상. 이 버섯의 자실층면에 수산화칼륨(KOH)를 투여하게 되면 흑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포자는 타원형. 평활, 투명, 3∼4×3㎛.
암갈색
연중내내
연중내내 활엽수(특히 가시나무류)의 오래된 나무 또는 죽은 나무에 발생. 재목에 백색구멍부후를 일으킨다.
밑동이 기물에 배착되고 반원형, 얇은 가죽질, 계피색∼암갈색. 표면이 심하게 굴곡되어 있다. 털깍지꽃구름버섯이 개칭됨.
갓은 다년생. 대가 없이 밑동이 기물에 배착되고 윗부분은 반전된다. 반원형, 평상시에는 가죽질이나 마르면 가죽질 모양의 목질이 된다. 크기는2∼10×1∼3cm, 두께 1mm 정도. 표면은 불규칙한 물결모양 심하게 굴곡되며 가장자리는 얇고 안으로 구부러져 있다. 때로는 잘게 갈라지는 것도 있다. 계피색∼암갈색, 다수의 테무늬와 테 모양 골이 있으며 연한 털로 덮여 있다. 살은 연한 계피색, 목재색이다.
하면 자실층은 둔한 오렌지황색인데 건조할 때는 회백색이 된다.
포자는 원주형, 투명, 기부에 뿔 같은 돌기가 있다. 5∼6×2.5㎛포자는 원주형, 투명, 기부에 뿔 같은 돌기가 있다. 5∼6×2.5㎛
배착생. 균열된 작은 다각형들이 모인 집합체처럼 보인다. 크기는 0.3∼1cm 정도, 회백색.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처음에는 작은 사마귀모양의 것이 쓰러진 나무 위에 다수 발생. 그것에서 점차 생장하면서 부근의 것과 융합되고 균열된 작은 다각형들이 모인 집합체처럼 보인다. 개개의 크기는 0.3∼1cm 정도. 두께는 1∼5mm), 목질이고 다년생이다.
자실층 면은 회백색. 내부의 살은 계피색이다.
포자는 타원형∼난형. 평활, 4∼5×3㎛.
회백색
연중내내
연중내내 엽수 특히 참나무류 및 가시나무류의 오래된 나무 또는 죽은 나무에 발생. 재목에 백색구멍부후를 일으킨다.
배착생∼반배착생. 가장자리가 반전하여 좁은 선반모양 갓 형성. 표면은 거의 흑색. 하면 자실층은 흰색∼연한 코르크 색, 거북등 모양으로 종횡으로 균열된다.
갓은 자실체는 목질인데 단단하고 다년생, 두께 1∼3mm로 길이 수cm∼수십 cm 크기로 퍼진다. 전체가 배착생이거나 반배착생이다. 드물게 위쪽 가장자리가 반전되어 폭 1cm 정도의 좁은 선반(띠) 모양의 갓이 퍼진다. 갓은 일반적으로 파상으로 굴곡된다. 반전된 표면은 거의 흑색∼흑갈색. 털이 없고 테 모양의 골이 촘촘하게 나타난다. 살은 코르크 색.
하면 자실층은 흰색∼연한 코르크색. 거북등 모양으로 종횡으로 균열이 생겨서 가늘게 균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