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 없다. 갓은 반원형, 부채형 등이며 황색, 주름살은 진한 황색, 현저히 우글쭈글하다. 꽃잎우단버섯이 속이 바뀌어서 개칭됨. 후에 꽃잎버짐버섯이라고도 함.
갓은 2∼5cm, 때로는 그 이상. 반원형, 콩팥형 또는 부채형인데 대가 없다. 가장자리는 강하게 안쪽으로 말린다. 표면은 황색. 거의 털이 없거나 또는 다소 비로드상이다. 살은 담황색, 신선할 때는 특유한 불쾌한 냄새가 있다.
주름살은 갓보다 진한 황색이거나 오렌지 황색, 오래되면 약간 올리브색을 띤다. 폭이 좁고 촘촘하며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불규칙하게 수회 분지된다. 주름살이 현저히 우글쭈글하다.
대는 없다.
포자는 타원형∼약간 원주형. 평활, 흔히 한쪽이 만곡되어 있다. 비아밀로이드. 3∼4×1.5∼2㎛. 포자문은 올리브 황색.
소형. 갓은 조개껍질 모양∼부채꼴모양. 탁한 황색∼황토갈색. 주름살은 담황색. 대는 없다. 은행잎우단버섯이 속이 바뀌어 개칭됨.
갓은 2∼6(10)cm의 소형. 어릴 때는 반원형 또는 선반 모양, 후에 조개껍질 모양∼부채꼴모양 또는 불규칙한 귀 모양∼깔때기 모양 등이 된다. 표면은 탁한 황색∼황토갈색 또는 올리브황색, 올리브갈색 등. 처음에 미세한 털이 있지만 후에 없어지고 거의 평활해 진다. 살은 얇고 크림색∼연한 황색.
주름살은 처음에는 담황색이나 후에 탁한 황색∼황토색을 띤다. 폭이 좁고 촘촘하거나 약간 촘촘하고 분지가 된다. 흔히 대 부근에는 그물눈 모양이 되고 주름살과 주름살 사이에 맥상으로 연결된다.
대는 없거나 갓 자체가 좁아져서 기물에 연결된다.
포자는 타원형∼넓은 난형. 평활, 위아밀로이드, 4∼6×2.5∼4㎛. 포자문 담황토색.
탁한 황색∼황토갈색
여름~가을
여름∼가을. 소나무 등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건축재 버린 곳, 목재 계단 등에 다수가 중첩 되어서 난다. 재목의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중형∼대형. 갓과 대에 우단 같은 털이 덮여 있다. 갓은 녹슨갈색∼커피갈색, 주름살은 황갈색, 대는 커피갈색∼흑갈색. 좀우단버섯이 속이 바뀌어 개칭됨. 전의 대나무우단버섯은 동일종이다.
갓은 5∼15(20)cm의 중형∼대형. 반원형, 조개껍질 형 또는 거의 원형 등 갓이 다양한 모양으로 되며 대가 측생하거나 편심생으로 붙는다. 표면은 미세한 비로드모양으로 밀모가 덮여 있으나 오래된 것은 털이 없이 평활하다. 녹슨갈색∼커피갈색 또는 황토갈색. 살은 얇고 유연하며 거의 흰색. 특유의 향기가 있다.
주름살은 처음에는 크림황색, 후에 황갈색. 폭은 좁은 편이고 촘촘하며 대에 내리붙음. 흔히 대 부근에서 분지가 되어 있거나 또는 서로 연결되어 그물눈 모양이 된다.
대는 3∼8(12)cm(굵기10∼40mm), 굵고 짧다. 심한 편심생 또는 측생, 표면은 커피갈색∼흑갈색의 거친 털이 밀생되어 있다.
포자는 넓은 타원형. 평활, 연한 황색, 어떤 것은 방울이 들어있다. 4.4∼5.6×3.2∼4.3㎛. 포자문은 황토갈색.
배착생∼반배착생. 자실층은 선황색∼오렌지황색, 표면은 1∼2mm 정도의 사마귀모양 또는 다소 이빨모양의 많은 돌출이 있고 가장자리가 얕게 반전된다.
자실체는 일년생이고 배착생∼반배착생이다. 기물에 1mm 정도의 두께로 얇게 퍼지며 가장자리 끝은 얕게 반전이 된다. 기물에 부착되어 있으나 건조할 때는 떼어낼 수 있다. 부근의 자실체와 서로 융합하기도 하며, 자실층 표면은 선황색∼오렌지황색. 또는 오렌지 갈색이고 손으로 만지거나 오래되면 암색이 된다. 자실층의 표면은 1∼2mm 정도의 사마귀모양 또는 다소 이빨모양의 많은 돌출이 있고 때로는 갓 부근에 얕은 주름살이 불규칙하게 방사상으로 생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