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 학명 | Taraxacum hallaisanense Nakai | 
				| 과명 | 국화과(Compositae) | 
				| 속명 | 민들레속(Taraxacum) | 
				| 이명 | 한라민들레 할라산민들레 | 
				| 잎 | 잎은 긴 타원형 또는 산상 도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길이 5-14.5cm  나비 0.9-2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백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장자리가 무우잎처럼 갈라지며 열편은 4-6쌍이다. | 
				|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두상화는 모두 황색 설상화이며 화경은 꽃이 필 때는 잎과 길이가 같지만 점차 길어진다. 총포는 꽃이 필 때는 길이 9-13mm로서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으며 회포편은 내포편 길이의 1/2 정도이고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내포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털이 없다. 가장자리의 화관은 길이 13-18mm이며 통부는 길이 4.5-5.5mm이고 털이 없다. | 
				| 열매 | 수과는 갈색이고 길이 3mm  나비 1mm이며 부리는 길이 6mm이고 밑부분이 울툭불툭하며 줄이 있고 관모는 길이 6mm로서 백색이다. | 
				| 줄기 | 원줄기는 없다. | 
				| 뿌리 | 굵은 근경이 땅속 깊이 들어간다. | 
				| 분포 | 제주도의 해발이 낮은 지대에서부터 해발 1 700m까지 자란다. | 
				| 형태 | 다년초. | 
				| 특징 | "보통 민들레에 비하여 초장이 짧고 전체적으로 왜성이므로 ""좀""이라는 접두어가 붙었다. 다화성이다." |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9 : 11 (1915) |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