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포도

    학명 : Vitis vinifera L.
    과명 : 포도과(Vitaceae)
    속명 : 포도속(Vitis)

    잎 : 잎은 호생하며 원형이고 3~5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각 열편은 심장저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면모가 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톱니가 있다.
    꽃 : 원추화서는 잎과 대생하며 6월에 피고 황록색이고 소포가 많이 달리며 꽃받침은 윤상 절두이고 꽃잎은 5개가 끝에서 서로 붙어 있으며 밑부분이 갈라져서 떨어진다. 수술은 5개이고 화사(花絲) 사이에 밀선(密腺)이 있다.
    열매 : 장과는 방상으로 처지며 둥글고 8-9월에 다갈색으로 익으며 종자가 2~3개 들어 있다.
    줄기 : 잎과 대생하는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가고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분포 : 중남부 지방에서 재식하고 있다.
    형태 : 낙엽활엽만목.
    유사종 : 왕머루 털왕머루 섬왕머루 등이 있다.
    특징 : ▶많은 재배 품종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2. No Image

    청까마귀머루

    학명 : Vitis ficifolia f. glabrata (Nakai) W.T.Lee
    과명 : 포도과(Vitaceae)
    속명 : 포도속(Vitis)
    이명 : 청가마귀머루 털개머루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3-5개로 깊게 갈라지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6-10cm로서 열편이 다시 갈라지고 만(灣)이 둥글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맥위에만 털이 밀생한다. 가을철에 잎이 붉게 물든다.
    꽃 : 원추화서는 잎과 대생하며 잎보다 짧고 화경에서 덩굴손이 발달하며 털이 있고 꽃은 잡성으로서 7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5수이며 꽃받침은 윤상이고 꽃잎은 끝이 합쳐지며 밑부분이 갈라져서 떨어진다.
    열매 : 장과는 지름 5-10mm로서 9-10월에 자흑색으로 익고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나무에 기어 올라가거나 지상으로 뻗는다. 어린부분은 능각이 있으며 적갈색선모로 덮여 있다.

    분포 : 중부 이남.
    형태 : 낙엽만경.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696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3. No Image

    왕머루

    학명 : Vitis amurensis Rupr.
    과명 : 포도과(Vitaceae)
    속명 : 포도속(Vitis)
    이명 : 머래순 머루 멀구넝굴 잔털왕머루 제주새머루털새머루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길이 12~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에 털이 있고 열편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잎은 붉게 단풍이 든다.
    꽃 : 원추화서는 잎과 마주 달리며 화경 밑부분에서 흔히 덩굴손이 발달하고 꽃은 6월에 황록색의 꽃이 핀다. 꽃받침은 윤상이며 꽃잎은 5개가 끝부분에서 합쳐지고 밑부분이 갈라져 화탁에서 떨어지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사이에 밀선이 있다.
    열매 : 장과는 송이로 되어 아래로 처지며 지름 8mm로서 9월에 흑색으로 익고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길이가 10m에 달하고 소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으며 붉은빛이 돌고 어릴 때는 면모로 덮여 있으며 수피는 암갈색으로 된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100~1 650m 사이의 계곡과 산록에서 자생한다. ▶일본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만경목.
    유사종 : ▶머루(V. coignetiae Pulliat): (Crimson Glory Vine): 잎 뒷면에 적갈색 털이 있다. ▶섬머루(var. glabrescens Hara): 잎 뒷면에 적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곧 떨어지고 울릉도에서 자란다.
    특징 : 다래와 더불어 야생열매의 대표적인 덩굴식물이다. 바위 위나 다른 나무 위로 기어올라 울창한 정글을 만든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Cl. Phys.-Math.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15: 266 (185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4. No Image

    섬머루

    학명 : Vitis coignetiae f. glabrescens (Nakai) H. Hara
    과명 : 포도과(Vitaceae)
    속명 : 포도속(Vitis)
    이명 : 섬왕머루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길이 12-25cm이다. 표면에 적갈색털이 밀생하나 곧 떨어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꽃받침은 윤상이며 꽃잎은 5개가 끝부분에서 합쳐지고 밑부분이 갈라져 화탁에서 떨어지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사이에 밀선이 있다.
    열매 : 장과는 송이로 되어 밑으로 처지며 지름 8mm로서 9월에 흑색으로 익고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소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으며 붉은 빛이 돌고 적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곧 떨어진다.

    분포 : 울릉도에 분포.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머루(V. coignetiae Pulliat): (Crimson Glory Vine) 잎 뒷면에 적갈색 털이 있다. ▶왕머루(Vitis amurensis Rupr.): 잎은 길이 12-25㎝의 넓은 난형이며 심장저이고 잎 뒷면에는 털이 없다.
    특징 : 다래와 더불어 야생열매의 대표적인 덩굴식물이다. 바위 위나 다른 나무 위로 기어올라 울창한 정글을 만든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3 : 138 (1954)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5. No Image

    새머루

    학명 : Vitis flexuosa Thunb.
    과명 : 포도과(Vitaceae)
    속명 : 포도속(Vitis)
    이명 : 산포도
    잎 : 잎은 덩굴손과 대생거나 호생하며 길이 4-10㎝ 너비 4-8㎝로서 난상 원형이거나 삼각상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재저 또는 심장저이고 나비 5-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어린 나무의 것은 까마귀머루처럼 갈라지기도 한다.
    꽃 : 원추화서는 잎과 대생하며 때로는 화경에서 덩굴손이 발달하고 꽃은 단성으로서 6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5수이다. 꽃받침은 윤상이며 꽃잎은 윗부분에서 합쳐져서 밑부부이 떨어진다.수꽃은 수술 5개와 퇴화한 암술이 1개 암꽃은 암술 1개와 퇴화한 수술이 5개이다.
    열매 : 열매는 9월에 흙색 장과로 익고 지름 8mm로서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길이 3m이상 자라고 줄기나 어린 가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중부이남의 표고 100~1 300m 사이의 산록 및 계곡에 자생한다. ▶일본 대만 중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의 만경목.
    유사종 : ▶털새머루(var. choii T. LEE) : 잎은 난원형이고 양면에 드물게 면모가 있으며 제주도 및 안동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ans. Linn. Soc. London 2: 332 (179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6. No Image

    머루

    학명 :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과명 : 포도과(Vitaceae)
    속명 : 포도속(Vitis)
    이명 : 산머루 산포도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길이 12-25cm이다.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적갈색털이 있고 열편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 : 원추화서는 잎과 마주 달리며 화경 밑부분에서 흔히 덩굴손이 발달하고 꽃은 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꽃받침은 윤상이며 꽃잎은 5개가 끝부분에서 합쳐지고 밑부분이 갈라져 화탁에서 떨어지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사이에 밀선이 있다.
    열매 : 장과는 송이로 되어 밑으로 처지며 지름 8mm로서 9월에 흑색으로 익고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소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으며 붉은 빛이 돌고 어릴 때는 성모(星毛)로 덮여 있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100-1 650m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왕머루(V. amurensis Rupr.): 잎의 뒷면에 털이 없다. ▶섬머루(var. glabrescens Hara): 잎 뒷면에 적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곧 떨어지고 울릉도에서 자란다.
    특징 : 다래와 더불어 야생열매의 대표적인 덩굴식물이다. 바위 위나 다른 나무 위로 기어올라 울창한 정글을 만든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Vigne amer. 7 : 186 (1883)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7. No Image

    까마귀머루

    학명 : Vitis ficifolia var. sinuata (Regel) H. Hara
    과명 : 포도과(Vitaceae)
    속명 : 포도속(Vitis)
    이명 : 가마귀머루가새머루 돌머루 모래나무 새멀구 참멀구
    잎 :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3-5개로 깊게 갈라지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6~19cm로서 열편이 다시 갈라지고 만(灣)이 둥글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회갈색 면모가 밀생한다. 가을철에 잎이 붉게 물든다.
    꽃 : 꽃은 잡성화로서 7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5수성이며 잎과 대생하는 원추화서를 이루고 화서가 잎보다 짧으며 화경에서 덩굴손이 발달하며 털이 있다. 꽃받침은 윤상이고 꽃잎은 끝이 합쳐져며 밑부분이 갈라져서 떨어진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지름 5-10mm로서 9-10월에 흑자색으로 익고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열매는 포도 송이 모양으로 달리고 신맛이 난다.
    줄기 : 나무에 기어올라가거나 지상으로 뻗어 길이가 2m에 달하고 어린 줄기는 능각이 있으며 적갈색 면모로 덮여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 만경목.
    유사종 : ▶청까마귀머루 (var.glabrata NAK.) : 잎 뒷면 맥 위에만 털이 있다.
    특징 : 가을에 잎이 붉게 물든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3 : 138 (195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