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큰뱀무
학명 : Geum aleppicum Jacq.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뱀무속(Geum)
이명 : 큰배암무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긴 엽병이 있는 기수우상복엽이다. 소엽은 3-5쌍이며 점차 작아지고 장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고르지 못한 톱니와 결각이 있으며 소엽사이에 작은 부속 소엽이 있다. 정소엽은 사각상 난형 또는 원형이며 예두 또는 원두이고 예저 또는 약간 심장저이며 길이 5-10cm 폭 3-10cm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짧은 엽병과 3-5개의 소엽이 있으며 탁엽은 도란형이고 결각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2cm의 황색꽃이 줄기나 가지끝에서 취산화서로 피며 모두 3-10개이다. 꽃받침잎 부악편 및 꽃잎은 각각 5개이며 과탁에 길이 1mm정도의 털이 있다. 수술과 암술은 여럿이다.
열매 : 수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1.5mm이며 황갈색털이 밀생하고 꼭대기에 갈고리모양의 암술대가 달려 7-8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전체에 옆으로 벌어진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수염뿌리가 뭉쳐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뱀무와 비슷하지만 소화경에 퍼진 털이 있고 과탁의 털이 짧은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 Pl. Rar. 1 : t. 95 et Collect. Bot. 1 : 88 (1786)
Icon. Pl. Rar. 1 : 10 t. 93 (1781)
Icon. Pl. Rar. 1 : 88 (17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I-II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뱀무
학명 : Geum japonicum Thunb.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뱀무속(Geum)
이명 : 배암무
잎 : 근생엽(根生葉)은 엽병이 길고 두대우열(頭大羽裂)되여 측열편(側裂片)은 소형으로 1-2쌍이고 소엽같은 부속체가 있고 정소엽은 크며 난상 원형 또는 심장형이고 둔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3-6cm로서 흔히 3개로 갈라지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경생엽(莖生葉)은 엽병이 짧고 도란형 또는 광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심장저 또는 예저로서 약간 또는 깊게 3렬하고 치아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탁엽(托葉)은 잎모양이고 성기게
꽃 : 꽃은 황색으로 6월에 피며 취산화서로서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성기게 난다. 소화경에는 비로드같은 털이 있으며 부악편은 선형이고 길이 2m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삼각상 피침형이며 겉에 융모가 밀생하고 꽃이 핀 다음 뒤로 젖혀지며 꽃잎도 5개로서 원형이고 꽃받침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짧으며 꽃받침잎 가장자리에 착생한다. 암술과 수술은 많다.
열매 : 암술대는 끝까지 남아 있고 끝이 갈고리처럼 굽으며 과탁에 길이 2-3mm의 털이 있다. 열매는 두상과(頭狀果)로서 다소 구형이고 수과에 강모(剛毛)가 밀생한다.
줄기 : 줄기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25-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분포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제주 경북(울릉도) 경기도(광릉)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큰뱀무(G. aleppicum var. sachalinense) : 소화경에 퍼진 털이 있고 과탁의 털이 짧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