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청사조
학명 : Berchemia racemosa Siebold & Zucc. var. racemosa
과명 : 갈매나무과(Rhamnaceae)
속명 : 먹넌출속(Berchemia)
잎 : 잎은 호생하고 짧은 가지에서 2개씩 나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8-13cm 나비 4.5-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7-8쌍의 측맥이 있다. 맥 위에 갈색 털이 있고 끝이 다소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윤채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7-8월에 많은 녹백색 꽃이 피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며 좁은 삼각형이고 꽃잎도 5개이며 작고 수술은 5개로서 꽃잎보다 길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 : 핵과는 타원형이고 녹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을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만경식물로 옆으로 비스듬히 엉키고 가지는 먹칠을 한 듯이 검은 자록색이 돌며 털이 없다.
분포 : 군산 水源地에서 자란다. ▶일본 대만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만경목
유사종 : ▶먹넌출(var. magna Makino): 청사조에 비해 잎이 크며(길이 8-13㎝ 너비 4.5-7㎝) 충남 서산군 안면도에서 자란다.
특징 :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고 학술적 연구가치가 있다. 맹아력이 강하고 수세도 강건하게 생장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2) : 147 (1845)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먹넌출
학명 :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Makino
과명 : 갈매나무과(Rhamnaceae)
속명 : 먹넌출속(Berchemia)
이명 : 왕곰버들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8-13cm 나비 4.5-7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맥 위에 갈색 털이 있고 끝이 다소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윤채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여름철(5-8월)에 많은 녹백색 꽃이 피고 꽃받침열편은 5개이며 좁은 삼각형이고 꽃잎도 5개이며 작고 수술은 5개로서 꽃잎보다 길며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 : 핵과는 타원형이고 녹색 바탕에 붉은빛이 돌며 가을(6-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만경식물로 옆으로 비스듬히 엉키고 가지는 먹칠을 한 듯이 검은 자록색이 돌며 털이 없다.
분포 : 충남 안면도의 솔밭 근처에서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
유사종 : 기본종은 청사조라고 하며 군산 수원지에서 자란다.
특징 : 희귀종이므로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고 학술적 연구가치가 있다. 먹넌출이란 먹칠은 한 듯한 덩굴이라는 뜻인 듯하다. 맹아력이 강하고 수세도 강건하게 생장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망개나무
학명 :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과명 : 갈매나무과(Rhamnaceae)
속명 : 먹넌출속(Berchemia)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7~12cm 나비 3-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분백색으로서 털이 없거나 맥액 근처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6-10mm로서 털이 없다.
꽃 : 화서는 털이 없고 가지 가지 끝 부근의 엽액에 달리는 취산화서이거나 또는 가지 끝에 달리는 총상화서로서 화경이 짧으며 꽃은 양성으로서 6월피고 황록색이며 지름 3-3.5mm이고 5수이며 소화경은 길이 2-4mm이다. 꽃잎은 타원형인데 악편보다 짧다. 수술은 5개이고 화사는 짧다. 포와 소포는 작고 빨리 떨어지며 암술대는 1개이고 기부에서 떨어지며 암술머리는 미요두이거나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좁고 긴타원형이고 길이 7~8mm로서 가을(8~9월)에 먼저 노란빛이 돌고 그 뒤 붉게 되며 나중에는 암적색으로 되어 성숙한다.
줄기 : 가지는 적갈색이고 작은 피목이 산재하며 원줄기는 곧게 자라지만 가지는 늘어지고 수피는 세로로 잘게 갈라진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내연산과 속리산의 화양계곡 주왕산 월악산 등 충청북도 및 경상북도의 표고 400m 이하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수형:원개형.
특징 : ▶천연기념물 ①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의 망개나무는 천연기념물 207호로 1968년 6월 21일 지정되어있다. ⓐ지정사유:희귀수종 ⓑ나무높이:12m ⓒ가슴높이줄기둘레:0.78m ②제266호 - ⓐ소재지: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 ⓑ면적:1 116 046㎡ ⓒ지정사유:희귀수종 자생지 ③제337호 - ⓐ소재지:충청북도 제천군 한수면 ⓑ면적:1.256㎡ ⓒ지정사유:노거수 ⓓ수령:150년 ⓔ나무높이:15m ▶세계적으로 희귀한 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천연기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9 : 21 (1925)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