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한라골풀
학명 : Juncus hallasanensis T.H.Chung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한라비녀골풀 할라비녀골풀
잎 : 잎은 2~3장이 호생 협선형 다소 원주형 예첨두 경질 횡격장은 융기 현저 엽이는 없고 길이는 총 3~5cm가량 최하의 엽상포는 화서보다 다소 짧거나 같은길이.
꽃 : 꽃은 취산화서로 정생하며 3~16개의 두상화수는 1~3개의 꽃을 집착 화개편은 송곳형이며 예첨두이다.
열매 : 삭과는 장타원상 3릉추형 예첨두 화개편보다 초출 길이는 약 2.5mm 광택이 있다.
분포 : 한반도(제주) 일본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 Fl. (T.H.Chung, 1956)
-
No Image
푸른갯골풀
학명 : Juncus setchuensis var. effusoides Buchenau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구슬비녀골 좀갯골풀
잎 : 잎은 인편상이고 밑부분에 약간 남아있다.
꽃 : 6-8월 개화. 화서는 골풀처럼 한쪽에 달리고 화피열편은 연녹색이며 길이 2-2.3mm로서 피침형이다. 수술은 3개이고 화피보다 약간 짧으며 꽃밥은 타원형이고 수술대보다 짧거나 거의 같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상 구형이며 화피보다 다소 길고 연한 황갈색으로 윤채가 있으며 1실이지만 3개의 격막이 있다. 종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 0.6m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에 분록색이 돈다. 원줄기는 둥글고 길이 25-50cm로서 종선이 뚜렷하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골풀과 비슷하지만 원줄기에 분록색이 돌고 삭과가 연한 황록색인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hrb. Syst. 29: 238 (Engl., 190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청비녀골풀
학명 : Juncus papillosus Franch. & Sav.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실골 푸른비녀골풀
잎 : 잎은 편원통형이며 화서보다 짧고 나비 1-2mm로서 단관질(單管質)이지만 격막이 완전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는 끝에 달리고 작은 두상화가 드문드문 달리며 두상화는 2-3개의 꽃으로 된다.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짧으며 화피열편은 좁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mm정도로서 녹색이 돌고 안쪽 것이 약간 길다. 수술은 3개이며 화피 길이의 2/3정도이고 꽃밥은 수술대보다 훨씬 짧다.
열매 : 삭과는 피침형이며 길이 3.5-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종자는 도란형이며 길이 0.6m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총생하며 높이 20-40㎝로서 가는 원기둥 모양이고 2-3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가을에 짧은 지하경이 뻗으며 끝에 육질의 월동아(越冬芽)가 형성된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98 (Franch. & Sav., 187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참비녀골풀
학명 : Juncus leschenaultii J.Gay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개비녀골
잎 : 잎은 좌우로 편평하고 다관질이며 길이 10-20㎝ 나비는 2-3㎜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첫째 포는 잎같으며 화서보다 짧고 두상화서는 3-8개의 꽃으로 된다. 화피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3.5mm로서 연한 녹색이다. 내.외화피는 거의 같고 길이는 3㎜이다. 수술은 3개이며 화피 길이의 1/3-1/2이고 꽃밥이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삭과는 세모진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4-4.5㎜이며 갈색이 돌고 종자는 도란형으로서 길이 0.6m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편평하고 다소 좁은 날개가 있으며 높이 20-40cm 나비 1-2mm이고 총생한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화서에서 싹을 내는 것을 볼 수도 있으며 변이가 심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Soc. Hist. Nat. Paris. 3: 137 (18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참골풀
학명 : Juncus brachyspathus Maxim.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조선골
잎 : 잎은 퇴화되어 원줄기 밑부분에 엽초상으로 남는다.
꽃 : 7-8월 개화. 화서는 골풀처럼 옆에 달리고 2-7개의 꽃으로 되며 화피열편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3-4mm이고 연녹색이며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이고 내화피 길이의 1/2정도이며 꽃밥은 수술대 길이의 1/3-1/2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누른빛이 돌고 내화피와 길이가 비슷하며 종자는 타원형으로 길이 2/3mm정도이다.
줄기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원줄기의 연장처럼 생긴 포와 더불어 높이가 30㎝에 달한다.
분포 : 북부지방 고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im. fl. amur. 293 (185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애기골풀
학명 : Juncus bufonius L.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애기비녀골 애기비녀골풀
잎 : 잎은 편평하고 홈이 지며 원줄기보다 짧다.
꽃 : 6-9월 개화. 두상화가 취산상으로 달린다. 포는 잎같으며 화서보다 훨씬 짧고 소포는 난형이며 길이 1.5mm로서 백색 막질이다. 화피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중륵부는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겉의 것은 길이 4-5mm로서 끝이 꼬리처럼 길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 길이의 1/2정도이며 꽃밥은 수술대 길이의 1/2-1/3이다.
열매 : 삭과는 세모진 긴 타원형이고 갈색으로서 윤채가 있으며 화피보다 다소 짧고 종자는 길이 0.6mm정도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8-30cm이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일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실비녀골풀
학명 : Juncus maximowiczii Buchenau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실골풀
잎 : 잎은 편평하며 가늘고 부드러우며 길이 10-25㎝ 나비 0.5-1mm로서 표면에 홈이 있고 원줄기 밑부분에 1개의 잎이 달린다.
꽃 : 두상화서는 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1-4송이의 꽃으로 이루어지고 6-7월에 피며 포는 난상 막질이고 첫째 포가 때로 짧은 잎같이 된다. 꽃에는 화병이 있으며 화피열편은 연한 녹색이고 선형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끝이 다소 둔하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보다는 길지만 성숙한 열매와 길이가 비슷하며 꽃밥은 수술대보다 훨씬 짧다.
열매 : 삭과는 길이 7mm정도로서 연한 갈색이고 종자는 꼬리 모양의 부속체가 달리며 길이 2mm정도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10-15cm이며 가늘고 밑부분에 1장의 잎이 같은 길이로 난다.
분포 : 우리 나라의 북부 고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hrb. Syst. 12: 394 (Engl., 18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솔비녀골풀
학명 : Juncus ounsanensis T.H.Chung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꽃 : 꽃은 취산화서에 달리고 포는 잎처럼 생기며 꽃이삭보다 길다. 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길이 4mm 정도이며 수술은 3개로서 화피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길이 3mm 정도이며 3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 : 밑에서 줄 모양의 잎이 모여난다.
분포 : 한국 원산 근처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Kor. (Nakai, 2 Parts; Part 1, 8 Feb 1909; Part 2, 28 Dec 1911)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설령골풀
학명 : Juncus triceps Rostk.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검정비녀골 검정비녀골풀 신흥골풀
잎 : 잎은 편평하고 다소 안쪽으로 말리며 길이 10-12cm 나비 1mm정도로서 다관질이고 반듯하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두상화는 1-2개씩 달리며 반구형이고 지름 1-1.5cm로서 3-6개의 꽃이 들어 있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보통 화서보다 길고 꽃은 화경이 있으며 짙은 갈색이고 화피열편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5-7mm이며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꽃밥은 수술대 길이의 1/2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화피 길이의 2배 정도이고 갈색이며 광택이 난다. 종자는 타원형으로서 양끝의 미상체(尾狀體)와 더불어 길이 3mm정도이다. 종자 자체의 길이는 1m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둥글고 높이 25-40cm로서 밑부분에 비늘같은 잎이 다소 달리지만 그 윗부분에 3-4개의 정상엽이 있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함경 북도 설령과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gr. Junc. 48 (18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비녀골풀
학명 : Juncus krameri Franch. & Sav.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비녀골
잎 : 잎은 화서보다 짧고 원통형이며 단관질로서 격막이 뚜렷하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화서끝에 달리며 3-10송이의 꽃이 다소 밀착하여 두상화서를 이루고 맨 밑의 포는 잎 모양이며 화서보다 길다. 화피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녹색으로서 길이는 3-4㎜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짧고 꽃밥은 난형이며 수술대보다 훨씬 짧다.
열매 : 삭과는 삼각상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화피보다 다소 길고 종자는 길이 0.5mm정도로서 도란형이다.
줄기 : 원줄기는 둥글며 높이 30-60cm로서 2-3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지하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1(1) : 175 (Franch. & Sav., 187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지 (임록재, 1996, 1997, 1998, 2000, 2001)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별날개골풀
학명 : Juncus diastrophanthus Buchenau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넓은비녀골넓은잎비녀골 넓은잎비녀골풀
잎 : 잎은 길이 10-20㎝ 나비 3-5mm로서 좌우로 편평하며 다관질이지만 격막이 뚜렷치 않다.
꽃 : 6-7월 개화. 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며 첫째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짧다. 두상화는 구형이며 지름 1-1.4㎝로서 꽃이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화피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녹색으로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3개이며 화피 길이의 1/3정도이고 꽃밥은 긴 타원형으로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삭과는 세모가 지며 길이 5mm정도로서 점차 뾰족해지고 화피보다 다소 길며 종자는 길이 0.6mm정도로 도란형이다.
줄기 : 원줄기는 편평하며 높이 20-40cm 나비 2-3mm로서 날개가 있고 보통 3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hrb. Syst.12: 309 (Engl., 18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백두실골풀
학명 : Juncus potaninii Buchenau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산골풀 왜실골풀
잎 : 밑부분에서 돋은 잎은 길이 3㎝ 나비 1㎜로서 털이 없고 뒤로 다소 젖혀지며 밑부분의 귀같은 돌기는 높이 1㎜정도로서 백색 막질이다.
꽃 : 화경(花莖)에는 2-3개의 잎이 달리고 잎은 화경보다 짧으며 끝에 1개의 두상화서가 달리고 1-2개 간혹 3개의 꽃이 들어 있다. 화서는 길이 4mm 지름 1.5mm로서 볏짚색이며 포는 난형이고 막질이며 화피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모두 길이가 같다. 꽃밥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수술대보다 훨씬 짧고 수술대는 길이 2mm이다.
열매 : 열매는 화피보다 약간 길거나 거의 비슷하며 연한 갈색이고 종자는 길이 1㎜로 양끝에 흰색 꼬리 모양의 부속체가 붙는다.
줄기 : 높이 4-7cm이다.
분포 : 백두산 고지부근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hrb. Syst. 12: 394 (Engl., 18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물골풀
학명 : Juncus gracillimus (Buchenau) V.I.Krecz. & Gontsch.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개골풀
잎 : 잎은 선형이고 편평하며 백록색으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가늘며 윗면이 구부러지고 나비는 1㎜가량이며 엽초 윗부분의 귀같은 돌기는 작다.
꽃 : 꽃은 5-7월에 피고 길이 6-15㎝의 복취산화서에 달리며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길거나 짧다. 화피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2㎜가량이며 뒷면은 흑자색이고 양쪽 가장자리는 적갈색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 길이의 2/3정도이고 꽃밥은 수술과 길이가 같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으로서 갈색 윤채가 있으며 화피보다 길고 종자는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40-70cm이고 원줄기가 둥글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USSR. 3: 528, 627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대택비녀골풀
학명 : Juncus stygius L.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가는실골 가는실골풀
잎 : 근생옆은 무더기로 많이 나며 조금 납작한 둥근실모양이며 줄기보다 보통 짧다. 경생엽은 1(2)개이며 너비 0.8mm이고 끝은 무디고 아랫부분은 연한 갈색을 띠고 격막은 뚜렷하지 않다. 엽초(길이 2cm) 엽연은 막질이며 윗부분은 연한 갈색을 띤 난형의 귀같은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줄기끝에 2~3개씩 모여 1(2)개의 작은 두상화를 이루고 길이 3~4mm로 연한 갈색 또는 누런색으로 피며 양성화이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길이는 화서와 같거나 조금 짧다. 작은 포는 넓은난형이거나 넓은피침형이며 끝은 뭉툭하며 꽃보다 짧거나 거의 같고 진한 갈색 또는 붉은 갈색을 띤다. 화경은 짧다. 화피열편은 길이가 서로 같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바깥쪽것은 끝이 조금 뾰족하고 안쪽 것은 끝이 조금 무디며 등쪽은 누런색 또는 볏짚색이고 끝은 아
열매 : 열매는 세모난 난형(길이 5~6mm)이고 뾰족하며 윤기가 있다. 종자는 좁고 긴 타원형(길이 1.3mm 너비 0.6mm)이고 볏짚색을 띤다.
줄기 : 줄기는 한대씩 곧추 자라며 조금 둥글납작한 선형(높이 10~25cm 굵기 0.5m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거나 뚜렷하지 않다. 연한 흰색 또는 연한 갈색의 가는 수염뿌리이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러시아 북아메리카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식물체는 굳고 좀 성글게 모여나며 보통 갈색을 띤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Nat. 2, ed. 10 : 987 (1759)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눈비녀골풀
학명 : Juncus wallichianus Laharpe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누운비녀골풀 누은비녀골풀산비녀골
잎 : 잎은 타원형이며 단관질이고 격막은 완전하며 2-3개가 원줄기에 달리고 원줄기보다 짧다. 정단면은 원형이며 세로로 자르며 여러 개의 격막이 보인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 밑의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짧으며 두상화는 3-10개의 꽃으로 되고 옆의 꽃이 퍼진다. 화피열편은 녹색이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3.5mm로서 내외의 것이 거의 비슷하다. 수술은 3개이며 화피 길이의 1/2정도이다. 꽃밥은 수술대보다 짧고 긴 타원형이며 암술은 1개이다. 화서에 싹이 돋는 경우가 있다.
열매 : 삭과는 삼각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mm정도로서 화피보다 길며 갈색이고 종자는 도란형으로서 길이 0.6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10-50cm이고 원줄기는 둥글거나 거의 둥글고 날개가 없다. 줄기는 곧게 서고 날개는 없으며 속은 기실로서 비어 있다. 줄기는 끝 부분에서 여러 개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매우 짧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원줄기의 밑부분에서 뿌리가 내려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는 수가 있기 때문에 눈비녀골풀이라고 하지만 일본 이름을 잘못 이해한 것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ssai monogr. jonc. 139 (18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날개골풀
학명 : Juncus alatus Franch. & Sav.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날개골
잎 : 잎은 좌우가 편평하며 끝이 뾰족하고 나비 2-5mm로서 다관질이지만 격막은 겉에서 그다지 보이지 않으며 엽초 끝의 귀같은 돌기는 작다.
꽃 : 6-7월 개화. 화서는 끝에 달리며 첫째 포가 화서보다 짧다. 두상화는 4-7개의 꽃으로 되고 화피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3.5mm로서 녹색이 돌며 내화피는 외화피와 거의 같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 길이의 2/3정도이고 꽃밥은 긴 타원형이며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삭과는 삼각상 긴 난형이고 적갈색으로 광택이 나고 길이는 약 4㎜이다. 종자는 도란형이며 길이 0.5mm정도이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25-40cm이며 원줄기는 편평해지고 끝이 뾰족하며 나비2-4.5mm로서 날개가 좌우에 붙어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1(1) : 175 (Franch. & Sav., 187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길골풀
학명 : Juncus tenuis Willd.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풀골
잎 : 잎은 편평하며 나비 1mm정도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위로 다소 말리며 귀같은 돌기는 타원형이고 길이 2-3mm로서 회백색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서 갈라진 여러 개의 가지에 다수의 작은 담녹색 꽃이 모여 핀다. 화서 기부에 고르지 않은 포가 3-4개 있다. 첫째 포는 잎같으며 길이 5-20cm로서 화서보다 길고 꽃이 1개씩 달린다. 화피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5-4mm로서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 길이의 1/2정도이며 꽃밥은 수술대 길이의 1/2정도이고 암술 1개이다. 암술대는 깊게 3개로 갈라져 암술머리를
열매 : 삭과는 연한 녹색으로서 난상 타원형이며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다. 종자는 찌그러진 도란형이고 길이 0.5mm정도이다.
줄기 : 근경에서 총생하며 높이 30~60cm이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 Pl., (ed. 4) 2(1) : 214 (179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구름골풀
학명 : Juncus triglumis L.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바눌비녀골
잎 : 잎은 비늘모양으로 원줄기 밑부분에 달리며 길이 1-6㎝ 나비 1mm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원통형이며 엽초 끝의 귀같은 돌기는 난형이고 끝이 둔하다.
꽃 : 7-8월 개화. 원줄기 끝에 2-3개의 꽃으로 된 두상화서가 1개씩 달린다. 포는 다갈색이고 인편상으로서 꽃과 길이가 비슷하다. 화피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mm정도로서 다갈색이며 막질이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며 꽃밥은 수술대보다 훨씬 짧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짙은 다갈색으로서 화피보다 다소 길고 종자는 길이 2mm정도로서 양끝에 꼬리같은 백색 부속체가 있다.
줄기 : 높이 10-15cm이다.
분포 : 관모봉 지역 등 북부 고산일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골풀
학명 :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Buchenau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잎 : 줄기 밑부분에는 엽포가 퇴화되어 길이 10-20cm정도 크기로 비늘 모양으로 붙어 있다.
꽃 : 화서는 원줄기 끝의 측편으로 달리고 첫째 포는 원줄기에 연속해서 길이 10-20cm정도 자라므로 줄기의 끝부분처럼 보인다. 꽃은 1개씩 달리며 녹갈색이고 화피열편은 6개이며 길이 2-3mm로서 피침형이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과 수술대는 길이가 서로 비슷하고 각각 화피 길이의 2/3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거나 도란형이며 길이 2-3mm로서 갈색이 돌고 3실이며 종자는 길이 0.5mm정도이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25-100cm 1.5-4mm로서 원주형이며 마디가 없고 뚜렷하지 않은 종선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고 짧으며 마디사이가 짧고 수염뿌리가 많이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습지에서 자생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경식물이다.
유사종 : ※산지에서 자라고 전체가 가는 것을 for.gracilix Buchen. 보다 굵은 것을 for.robustior T.Lee 꽃이 둥글게 밀착하는 것을 for.glomeratus Mak.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참골풀(J. brachyspathus Max.) ▶갯골풀(J. haenkei E. Meyer) ▶푸른갯골풀(J. setchuensis var. effusoides Buchen.)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hrb. Syst. 12: 229 (Engl., 18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갯골풀
학명 : Juncus haenkei E.Mey.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골풀속(Juncus)
이명 : 갯골
잎 : 잎은 비늘같고 원줄기 밑동에 다소 남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화서는 골풀처럼 원줄기 옆에 달리고 포는 원줄기의 연장처럼 보이며 길이 20cm정도 자라는 것도 있다. 꽃은 1개씩 달리고 화피열편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mm정도로서 중앙부는 녹갈색이며 양쪽은 다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백색 막질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 길이의 1/2정도이고 꽃밥은 수술대와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길다.
열매 : 삭과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5-6㎜로서 짙은 갈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종자는 도란상 타원형으로 길이 1mm정도이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원줄기는 둥글다.
뿌리 : 근경이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junc. 10 (182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