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섬포아풀

    학명 : Poa takeshimana Honda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울릉꾸렘이풀 울릉꿰미풀
    잎 : 잎은 선형이고 길이 15㎝ 나비 1.3㎜로서 매끈하며 줄기 윗부분의 잎은 때로 화경(花莖)보다 길고 엽초는 마디사이보다 길며 털이 없고 엽설은 길이 0.3mm로서 절두이다.
    꽃 : 화경(花莖)은 둥글다.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퍼지지 않고 좁으며 길이 5-7㎝로서 다소 구불구불하고 능선에 잔돌기가 있으며 가지가 1-2개씩 달리고 화서축과 평행하며 실처럼 가늘다. 작은이삭은 피침형이며 3개의 소화가 들어 있고 거의 털이 없어 밋밋하다. 포영은 길이 2-3mm 호영은 길이 3mm이다. 포영은 길이가 다소 다르며 첫째 것은 1맥이 있고 둘째 것은 3맥이 있으며 작은이삭과 길이가 같다. 호영은 5맥이 있고 밑부분에 구불구불한

    줄기 : 높이 30cm이고 밀생하고 가냘프며 털이 없다.

    분포 : 경상 북도 울릉도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No Image

    섬조릿대

    학명 : 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조릿대속(Sasa)
    이명 : 섬대 성인죽
    잎 : 초상엽은 녹색이지만 점차 회백색으로 되며 포편은 젖혀지고 위로 갈수록 커진다. 잎은 2-7개씩 달리며 넓은 피침형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7-20cm 폭 1.5-5cm로서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중맥 기부에 털이 있다. 엽초는 잔털이 있으며 견모(肩毛)가 2-3개 있는 것이 있다.
    꽃 : 꽃은 3-4년생의 줄기옆에서 나오는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소수(小穗)는 3-5개의 꽃으로 구성되며 기부에 원형의 소포가 2개 있다. 화경은 길이 9-13cm로서 초상엽을 벗어나지 못하고 첫째 포영은 자주색으로서 백분이 있으며 길이 1cm정도이고 둘째 포영도 자주색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내영은 2개이고 막질로서 잔털이 있다. 수술은 6개이며 꽃밥은 길이 5mm이고 암술대가 짧다. 꽃은 5-6년마다 봄철에 핀다.

    줄기 : 원대는 높이 2-5m 지름 4-6mm정도로 포와 더불어 털이 없다.

    분포 : 울릉도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 활엽 목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5 : 27 (1901)
    Nakai, Veg. Dagelet Isl. 15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섬대

    학명 : Sasa borealis var. gracilis (Nakai) T.B.Le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조릿대속(Sasa)

    잎 : 초상엽과 엽초맥 사이의 역모가 점차 없어지며 견모(肩毛)가 없다.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10-25cm로서 점첨두이거나 꼬리처럼 길며 밑부분이 급히 예저로 되고 가시같은 연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잎가장자리가 백색으로 되는 것이 많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맥 사이에 역모가 있다.
    꽃 : 화서는 밑부분의 마디에서 나오며 이랫부분은 엽초로 싸이고 화경은 가늘며 위로 갈수록 털이 많다. 화수(花穗)는 총상인데 소수(小穗)는 자주색이고 길이 1-2cm로서 3-6개의 꽃과 2개의 포로 되며 자줏빛이 돌고 겉에 털이 있다. 하포는 길이 2-3mm이며 상포는 하포보다 2배정도 길다. 포영은 크기가 거의 같고 길이 6-7mm이며 화영은 3개이고 자줏빛이 돌며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없으며 꽃밥의 길이는 4mm내외이다.
    열매 : 과실은 현재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줄기 : 높이 60cm이하 지름 1-3mm이고 자줏빛이 돌며 백분으로 덮여 있지만 없어지고 곧게 선다.

    분포 : ▶일본에 분포한다. ▶전남(완도) 전북(백양산 내장산)에 야생한다.

    유사종 : 조릿대(Sasa borealis Makino)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4. No Image

    선포아풀

    학명 : Poa nemorali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선꾸렘이풀 선꿰미풀
    잎 : 잎은 가늘고 길이 20cm 폭 1.5mm이며 털이 없고 엽초는 마디사이보다 짧거나 길며 길이 3-7cm이고 엽설은 길이 0.5mm이하로서 막질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4-10cm로서 거칠고 가지가 비스듬히 위로 퍼지며 작은이삭은 길이 3~5mm로서 2~5개의 잔꽃으로 이루어진다. 포영은 끝이 뾰족하고 3맥이 있으며 첫째 것은 길이 3mm정도이고 둘째 것은 길이 3.5mm정도이다. 호영은 길이 3-4mm로서 3맥이 뚜렷하며 뒷면 능각부와 측맥에 연모가 있고 주맥은 반 정도 측맥은 1/3까지 구불구불한 솜털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맥 위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30-70cm이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국 산지에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특징 : 여러 개가 뭉쳐 나거나 큰 무리를 이루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선쥐꼬리새

    학명 : Muhlenbergia hakonensis (Hack.)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쥐꼬리새속(Muhlenbergia)
    이명 : 선쥐꼬리풀
    잎 : 잎은 길이 10-20㎝ 나비 2-4㎜로서 짙은 녹색이다. 엽설은 길이가 0.5㎜이며 막질이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0-15㎝ 지름 5-10mm로서 선형이며 가지는 1-2개씩 달리고 곧추서며 소수는 피침형으로서 길이 4-4.5mm이다. 포영은 좁은 피침형이고 1맥이 있으며 첫째 것은 길이 2.8mm 둘째 것은 길이 3mm정도이다. 호영은 길이 3.9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약간 갈라진 끝에서 길이 6-10mm의 까락이 돋으며 내영은 호영보다 짧고 2개의 능각이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1.5-2mm이다.

    줄기 : 높이 40-100cm이고 뻗는 가지로 번식하며 가지가 거의 없고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뚜렷하다.
    분포 : 제주 한라산과 강원 금강산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13. (19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서울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var. duriuscula (L.) W.D.J. Koch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애기김의털 이삭김의털
    잎 : 잎은 길이 5-20㎝로서 녹색 또는 백녹색이며 말려서 지름 0.7-1㎜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고 엽설은 길이 0.5㎜이하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8cm로서 곧추서고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수축(穗軸)에 털이 있고 소수가 5-10개이며 길이 5-7mm이고 녹색 또는 분록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둘째 포영은 약간 길며 3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3.5-4.5㎜이며 길이 0.5-2㎜의 까락으로 되는 것도 있다. 꽃밥은 길이 1.5-2.5㎜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50㎝이며 가냘프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서울과 거문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ino): 높이 35-70㎝ 줄기는 가냘프고 밀생한다. 엽설은 막질로 길이 0.8㎜이다. ▶개묵새(F. takedana Ohwi): 높이 30-60㎝ 줄기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Fl. Germ. Helv. 812 (W.D.J. Koch, 183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7. No Image

    육절보리풀

    학명 : Glyceria acutiflora Torr.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미꾸리광이속(Glyceria)
    이명 : 개미피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10-30㎝ 나비 3-6㎜이고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백색 막질이며 길이 4-7㎜로서 좁은 삼각형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화서는 선형으로서 밑부분이 엽초로 싸이며 길이 10-30cm이고 가지는 2개씩 달리며 길이가 다르고 원줄기와 평행하다. 소수(小穗)는 길이 25-50mm로서 연한 녹색이며 길이 2-4㎝ 나비 3㎜로서 대가 짧고 선상 피침형이며 8-15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길이가 서로 다르다. 첫째 것은 길이 3mm로서 1맥이 있고 피침형 예두이며 둘째 것은 길이 4-5mm로서 1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9mm이고 피침형 예두로서 7맥이
    열매 : 영과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2.5-3mm이고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높이 20-7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에서 새싹이 돋는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두메미꾸리꽝이(G. alnasteretum Komarov):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80-150㎝ 근경은 길다. 잎은 진한 녹색이고 엽설은 위쪽이 약간 들쭉날쭉하다. ▶긴진돌피(G. effusa Kit.):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다. ▶대택광이(G. spiculosa Roshev.): 높이 70-100㎝ 근경은 옆으로 길게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고 줄기는 곧게 선다. ▶검정진들피(G. triflora Komarov): 잎몸은 길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n. middle United States 1: 104 (182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대만피

    학명 : Echinochloa glabrescens Munro ex Hook.f.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피속(Echinochlo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9. No Image

    엉성겨이삭

    학명 : Agrostis divaricatissima Mez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겨이삭속(Agrostis)
    이명 : 너울겨이삭누운겨이삭버들겨이삭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8-10㎝ 폭 2-3.5mm로서 맥위와 가장자리에 잔털이 밀생하고 엽설은 길이 1mm로서 절두(截頭)이며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다.
    꽃 : 화수는 길이 9-20cm 폭 4-10㎝로서 가지가 옆으로 퍼지고 소수경(小穗梗) 끝이 다소 굵으며 거칠고 소수는 길이 2-2.5mm이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며 막질로서 1맥이 있고 중륵은 거칠며 끝이 뾰족하다. 호영은 길이 1.2-2mm로서 까락이 없거나 뒷면 끝부분에 소돌기같이 달리고 5맥이 있으며 내영은 호영 길이의 1/2정도. 꽃밥은 길이 1mm 정도이다. 수술은 3개 인피는 0.2㎜이다.

    줄기 : 높이 50cm이고 총생하지만 옆으로 뻗는 줄기가 있다.

    분포 : 평양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0. No Image

    시베리아포아풀

    학명 : Poa sibirica Roshe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잎 : 잎몸은 선형이고 폭 3.5-6㎜이고 끝이 뾰족하고 납작하며 엽초가 꺼칠꺼칠하다. 엽설은 길이 1㎜로 끝이 둔하다.
    꽃 : 원추화서의 길이 6-18㎝ 긴 타원형 피라미드형 성기게 달리고 가지는 약간 길다. 작은이삭은 길이 4-5㎜ 낱꽃은 3-4송이이다. 호영은 좁은 피침형이고 서로 다르고 용골 위가 꺼칠꺼칠하다. 제1호영은 길이 1-2㎜ 1맥이고 제2호영은 길이 3㎜ 3맥이다. 외영은 5맥으로 털이 없고 밑에 구불구불한 솜털이 없다. 내영은 외영과 같은 길이이다. 용골 2개 위에 섬고가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의 길이 1.3-1.5㎜이다.

    줄기 : 줄기는 밀생한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긴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의 풀밭에 난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1. No Image

    시베리아잠자리피

    학명 : Trisetum sibiricum Rupr.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잠자리피속(Trisetum)

    잎 : 잎은 길이 15-25㎝ 폭 4-10㎜로서 때로 백색털이 있고 엽설은 길이 1-3㎜정도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0㎝로서 잠자리피보다 다소 넓고 성기게 퍼지며 가지가 반윤생한다. 소축과 소수경(小穗梗)에 털이 약간 있다. 소수는 황갈색 또는 녹갈색으로서 대개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길이 6-10㎜이고 3-5개의 꽃이 달린다. 포영은 첫째 것은 길이 3-4mm로서 1맥 둘째 것은 길이 5-7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6-7mm로서 3맥이 있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잔점이 있고 뒷면에서 길이 7-12mm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털이 없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eitr. Pflanzenk. Russ. Reiches 2: 65. (184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새포아풀

    학명 : Poa annua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개꾸렘이풀 새꿰미풀
    잎 : 잎은 길이 2-8cm 폭 2~4mm로서 양끝이 갑자기 둔해지며 털이 없고 매끄럽다. 엽설은 길이 3~6mm이며 반원형이다.
    꽃 : 꽃은 5~9월에 걸쳐 피고 길이 3-8cm의 원추화서는 난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가지가 2개씩 달려서 수평으로 퍼지고 잔이삭은 긴 타원상 난형이며 길이 3-5mm로서 5개 내외의 잔꽃이 들어 있다. 잔꽃은 연한 녹색이나 일부는 홍자색을 띠기도 한다. 첫째 포영은 길이 1.5mm 정도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2.5㎜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3㎜정도로서 중륵이 뚜렷하며 가장자리는 막질로서 털이 없으나 다른 곳에는 백색 털이 있고 내영은

    줄기 : 높이 10-25cm이며 기부에서 갈라져 뭉쳐 나고 밑부분이 마디에서 굽는다.

    분포 : ▶범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특징 : ▶가을에 싹이 나와 파란 잎이 총생하며 다음해 5월에 꽃이 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학명 : Arundinella hirta (Thunb.) Koidz.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새속(Arundinella)
    이명 : 애기새야고초
    잎 : 잎은 길이 15∼40cm 나비 5∼15mm이며 편평하나 약간 안으로 말리고 털은 있거나 없으며 엽초는 절간보다 길고 때로 털이 있으며 엽설은 짧고 긴 털이 줄지어 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0~40cm이고 하부의 가지는 반윤생하나 위쪽에는 쌍생 또는 단생한다. 소수는 길이 3.5~4.5m이고 2개의 꽃으로 되며 밑의 꽃은 수꽃 위의 것은 양성이고 종종 암자색을 띤다. 제1포영은 3맥으로 소수보다 약간 짧고 제2포영은 5 또는 7맥으로 소수와 길이가 같다. 호영은 5맥이고 투명한 막질이며 양성화의 기반에는 털이 있고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선다.
    뿌리 : 인편으로 덮인 긴 근경을 뻗는다.
    분포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몽고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9: 302 (1925)

    Read More
  14. No Image

    산향모

    학명 : Hierochloe alpina (Sw. ex Willd.) Roem. & Schult.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향모속(Hierochloe)
    이명 : 산기름새
    잎 : 화경(花莖)의 잎은 길이 10mm이내로서 편평하고 근생엽은 자라서 길이 30cm정도로 되며 안으로 말린 것은 1-2㎜이다. 경생엽은 짧고 근생엽보다 넓다. 엽설은 길이 0.2-0.5mm이고 엽초는 간혹 혈자색이 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5-3㎝ 지름 1-1.5cm로서 타원형이고 10-12개의 소수(小穗)가 달린다. 가지는 짧으며 2개씩 달리고 소수는 길이 5-6mm로서 황갈색이며 도란형이고 까락이 보인다. 수꽃의 포영은 길이 5-6mm로서 3맥이 있으며 호영은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갈라진 밑부분에서 까락이 돋으며 내영에서 돋은 까락은 길이 5mm정도로서 꼬인다. 암꽃의 호영은 예두로서 복모가 있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밑부분에 전년도의 마른 잎이 있으며 1-3개의 새싹이 돋는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백두산지역 등 북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2: 515. (18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산조풀

    학명 : Calamagrostis epigeios (L.) Roth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새풀속(Calamagrostis)
    이명 : 돌서숙 돌조풀 산서숙
    잎 : 잎은 납작하며 안쪽으로 말리고 길이 20-40cm 폭 3-4mm이며 표면과 가장자리는 거칠고 뒷면은 밋밋하다. 엽설(葉舌)은 막질로서 길이 5-6mm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2개로 갈라졌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5-20cm로서 짧은 가지가 갈라져 소수(小穗)를 밀착하기 때문에 원주형에 가까우며 연한 녹색에 자줏빛이 돈다. 가지는 반윤생하고 소수는 1개의 잔꽃으로 되며 좁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5-8mm이고 자주빛을 띤다. 포영은 길이가 거의 같아 6mm정도로서 대개 1맥이 있지만 3맥도 있으며 중륵 위에는 잔톱니가 있다. 호영은 길이 3mm가량으로 막질이고 3맥이며 뒷면 중앙부에 길이 3.5mm가량의 까락이 달린다. 기반(

    줄기 : 높이 60-150cm이고 곧추서며 지름 3mm가량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벌어진다. 엽초에는 털이 없다.
    뿌리 : 짧은 지하경이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형성한다.
    분포 : ▶아시아와 유럽의 온대에 분포한다.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ent. Fl. Germ. 1 : 34 (Roth, 178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산조아재비

    학명 : Phleum alpinum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갈풀속(Phleum)
    이명 : 두메산조아재비 산돌조
    잎 : 잎은 길이 10㎝ 폭 5-6㎜로서 편평하며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엽설은 반원형이고 길이 3.5mm이며 막질로 되어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화서는 원주형이며 길이 1.5-3㎝ 지름 8-10mm로서 자줏빛이 도는 연한 녹색이고 소수(小穗)가 밀착하며 소수는 길이 3mm 지름 1.5mm이고 편평하다. 포영은 3맥이 있으며 둥근 절두이고 능각끝에 길이 1mm정도의 퍼진 털이 있으며 끝이 길이 2mm정도의 까락으로 된다. 호영은 길이 2㎜정도로서 밋밋하고 용골에 강모가 있으며 표면에 연모가 있고 절두이며 3맥이 있고 끝에서 까락이 나온다. 외영은 길이 2.5㎜로서 투명하고 5

    줄기 : 높이 30-40cm이고 포기를 형성하며 밑이 땅을 기다 윗부분이 곧게 서며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북반구 남미의 고산 또는 극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북부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산잠자리피

    학명 : Trisetum spicatum (L.) K.Richt.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잠자리피속(Trisetum)
    이명 : 두메잠자리피 이삭잠자리피
    잎 :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납작하고 길이 5-10㎝ 폭 2-5㎜로서 엽초와 더불어 백색털이 있으며 엽초는 마디 사이보다 짧고 열리며 긴 털이 있다. 엽설은 길이 0.1-1.5mm로서 막질이고 절두이며 불규칙한 톱니모양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거의 수상 원추형(穗狀 圓錐形)이고 길이 3-10cm 지름 7-15mm로서 가지에 백색털이 있다. 소수는 2-3개의 꽃으로 되며 길이 5-6mm로서 연한 황록색이거나 약간 자줏빛이 돈다. 소축은 위쪽 낱꽃의 긴 강모같은 내영 뒤쪽으로 솟아 나온다. 첫째 포영은 길이 3-4mm로서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4-5mm로서 3맥이 있으며 모두 예첨두이다. 양서화의 호영은 희미한 잔점이 있고 길이 4-5mm로서 5맥이 있

    줄기 : 높이 10-30cm이고 윗부분에 밀모가 있다.

    분포 : 우리나라 북부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l. eur. 1: 59. (189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산새풀

    학명 : Calamagrostis langsdorfii (Link) Trin.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새풀속(Calamagrostis)
    이명 : 가지산새풀 산메뚜기풀 산메뛰기피 큰산새풀
    잎 : 엽초는 털이 없으며 엽설(葉舌)은 난형이고 길이 4-10mm로서 둔두이다. 잎은 분록색이며 납작하고 길이 20-35cm 폭 3-8mm로서 털이 없거나 껄끄럽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0-25cm로서 끝이 처지며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가지가 반윤생하며 거칠다. 소수(小穗)는 적자갈색 또는 연한 녹색이고 길이 3-7mm이다. 포영은 길이가 같고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막질이고 1-3맥이 있다. 호영은 막질로서 포영보다 약간 짧고 5맥이 있으며 대개 뒷면 중앙 이하에서 길이 2-2.5mm의 까락이 나오고 까락은 호영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곧게 선다. 기반(基盤)의 털은 길이가 외영과 거

    줄기 : 높이 80-150cm이고 군생하며 곧추서고 털이 없다. 가지는 가늘며 끝이 처지고 거의 돌려 붙는다.
    뿌리 : 근경으로 번식하여 군집한다.
    분포 : ▶아시아와 유럽의 한·온대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유사종 : ▶큰산새풀 (var.ramosa NAK.) : 화경(花莖)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오대산 설악산 및 금강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ram. unifl. sesquifl. 225 (182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산묵새

    학명 : Festuca japonica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산김의털아재비
    잎 : 잎은 길이 15~20cm 나비 2mm 정도이고 엽설은 길이 0.8mm로서 막질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7~15cm로서 가지가 1~2개씩 달리고 매우 성글며 잔이삭은 길이 5~5.5mm로서 3~4개의 잔꽃으로 이루어지고 까락이 없다. 첫째 포영은 길이 1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2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길이 4mm로서 5맥이 있으며 내영은 호영보다 짧고 2개의 능선이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1.5mm이고 자방은 끝에 털이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가냘프고 밀생한다.

    분포 : 원산 근처의 산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개묵새(F. takedana Ohw
    특징 : ▶김의털아재비와 비슷하지만 까락이 없고 첫째 소화의 길이가 3-4mm인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0 : 83 (190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산두

    학명 : Oryza sativa var. terrestis Makin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벼속(Oryza)
    이명 : 밭벼
    잎 : 잎은 길이 30㎝ 나비 3-5㎜로서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고 엽설은 2개로 갈라진다.
    꽃 : 원추화서는 꽃이 필 때는 곧추서지만 익을때는 밑으로 처지며 많은 소수가 달리고 소수는 가지에 호생하며 짧은 대가 있고 1개의 꽃으로 된다. 포영은 퇴화되며 호영과 내영이 발달하고 호영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6㎜정도이고 좌우에서 편평해지며 짧은 털이 있고 까락이 없는 것과 있는 것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비슷하고 수술은 6개이다.



    분포 : 밭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생초본이다.
    유사종 : 벼 찰벼
    특징 : 밭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