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좀딸기
학명 : Potentilla centigrana Maxim.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애기풀딸 좀풀딸 풀딸 풀딸기
잎 : 탁엽은 피침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붙어 있으며 소엽은 3개이고 길이 1-2.5cm 폭 7-20mm로서 뒷면은 녹백색이며 맥위에 복모가 다소 있고 6-11쌍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황색이고 1개씩 정생하지만 겉으로 보기에는 잎과 대생한 것 같고 끝에서는 2-3개가 산방상으로 되며 소화경은 길이 1-4cm이다. 꽃받침은 5개이며 끝이 뾰족한 좁은 난형이고 부악편과 길이가 비슷하며 꽃잎은 길이 3mm로서 넓은 도란형이고 끝이 파지며 꽃밥은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넓은 난형이고 털은 없으며 불규칙한 줄이 약간 있고 암술대는 선형이며 길이 0.7mm정도이다.
줄기 :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뿌리가 내리고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경상 북도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Bull. Phys.-Math. Acid. Imp. Sci. Saint-Petersbourg 9 : 156 (187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딱취
학명 : Ainsliaea apiculata Sch.Bip.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단풍취속(Ainsliaea)
이명 : 좀땅취 털괴발딱지 털괴발딱취
잎 : 잎은 엽병이 길고 원줄기 밑에서 밀생하며 난형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1~3cm로서 양면에 긴 털이 있으며 5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 끝이 둔하며 흔히 정열편이 길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백색이며 두화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화경이 짧으며 포는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많으며 총포는 길이 10-15mm이고 포편은 5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길이 1mm정도로서 난형이고 내편은 선형이며 소화가 흔히 폐쇄화로 된다.
열매 : 수과는 길이 4.5mm정도로서 짧은 털이 밀생하고 편평한 도피침형이며 관모는 길이 7mm정도로서 갈색이고 깃털은 길이가 거의 같다.
줄기 : 높이 8-30cm이고 마디가 있으며 털이 다소 많고 단순하거나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자라고 마디가 있다.
분포 : 백양산을 비롯한 남부지방이나 제주도 등지의 해안근처 산야의 계곡 주변의 음습한 곳에 생육한다.
형태 : 상록성 다년초
특징 : 속명은 이탈이아의 식물학자 Whitelaw Ainslie를 기념하여 붙여졌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ollichia 18: 188 (186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돌피
학명 :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피속(Echinochloa)
잎 : 엽신은 길이 10~30cm이고 나비 7~10mm이며 엽설은 없다.
꽃 : 총이 중축을 따라 배열하며 원추화서를 이룬다. 소수는 2개의 소화로 되어있고 제1포영은 0.6~0.8mm 나비 0.4~0.5mm이며 제2포영은 길이 2.2~3mm 너비 1.8mm이다. 제 1소화의 호영은 길이 2mm이고 제2소화의 호영은 길이 2mm이며 혁질이다. 내영은 길이 2~2.5mm 나비 1mm이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1 : 37 (1942)
-
No Image
좀도깨비사초
학명 : Carex idzuroei Franch. & Sav.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납작하고 연하며 폭 4-8㎜로서 3맥이 뚜렷하고 횡맥이 많으며 밑부분의 엽초는 연질이고 연한 색에 검은 흑자색의 작은 부분이 있다.
꽃 : 화경(花莖)은 총생하고 높이 40-60㎝로서 삼각형이며 약간 밋밋하다. 소수(小穗)는 4-5개로서 끝의 1-2개는 수꽃이며 길이 2-4cm 지름 2mm로서 선형이고 옆의 2-3개는 암꽃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2-3cm 지름 7-10mm로서 곧추서며 서로 떨어져서 대가 없거나 밑부분의 것에 대가 있다. 첫째 포는 잎같고 초가 있거나 없으며 자화영(雌花穎)은 난형이고 길이 5mm로서 흑황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뒷면은 녹색이며 3맥이 있다. 암술대는 중앙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2배정도 길고 세모진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1-1.2㎝ 폭 3.5mm로 검은 회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맥이 많다. 부리는 길고 백색 막질이며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세모진 난형이며 길이 3mm로서 떨어진다.
줄기 : 연하며 삼각기둥 모양이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155, 583 (Franch. & Sav., 1877-18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담배풀
학명 : Carpesium cernuum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담배풀속(Carpesium)
이명 : 여우담배풀
잎 : 근생엽은 개화시기에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주걱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9-25cm 나비 4-6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흘러 날개로 되고 양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복거치 또는 파상의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약간 작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거나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거나 둔하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지름 15-18mm로서 모두 관상화이고 줄기 끝과 원줄기 끝에 밑을 향한 두상화서로 달리며 화경이 길고 포엽은 많으며 길이 2-5cm로서 선상 피침형이다. 총포는 각두형(殼斗形)이고 길이 7-8mm로서 바깥 것은 잎같으며 나비가 넓고 백색 털이 있으며 안쪽 것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다.
열매 : 수과는 선형이고 길이 4.5-5mm 나비 1mm정도이지만 끝부분의 것은 길이 1mm정도이며 점성의 부리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밑부분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이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좀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
과명 :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속명 : 닭의장풀속(Commelina)
이명 : 가는닭의밑씻개 가는잎달개비 산닭개비
잎 : 잎은 호생하고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나비 1cm정도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갑자기 좁아져 막질의 엽초와 연결되며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은 백록색으로 털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잎짬에서 나온 화경 끝의 총포 안쪽에 달리며 하나씩 나와서 핀다. 총포는 앞같거나 접혀서 합쳐진 조개껍질 같으며 겉에 9~10맥이 있고 맥위에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 꽃잎 수술이 각각 3개이고 헛수술이 4개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이며 마르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 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곧추 자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낸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kor. 2:265 (1911)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좀다람쥐꼬리
학명 : Lycopodium selago L.
과명 : 석송과(Lycopodiaceae)
속명 : 석송속(Lycopodium)
이명 : 애기다람쥐꼬리 애기석송 애기솔석송 좀솔석송
잎 : 잎은 중간에서 윗부분이 좁아진다. 잎은 총생하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지만 윗부분은 안쪽으로 굽어져서 원줄기와 평행해지며 중륵이 없고 길이 3-5mm 폭 0.7-1mm로서 밑에서는 양쪽 가장자리가 거의 평행해지지만 위에서부터 1/3정도에서 좁아져 끝이 뾰족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이 넓지 않다.
열매 : 포자낭은 신장형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린다.
줄기 : 원줄기는 갈라지지 않거나 밑에서 여러개로 갈라져서 속생하며 높이 3-10cm로서 잎과 더불어 지름 4-12mm이고 윗부분 끝에 무성아(無性芽)가 달린다.
뿌리 : 원줄기의 밑부분은 비스듬히 자라기 때문에 땅에 닿는 곳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설악산 및 북부의 고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 다년초
특징 : 다람쥐꼬리와 비슷하지만 잎은 중간에서 윗부분이 좁아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좀다닥냉이
학명 : Lepidium ruderale L.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다닥냉이속(Lepidium)
이명 : 미륵냉이
잎 : 근생엽(根生葉)은 2회 깃꼴겹잎이고 경생엽(莖生葉)은 1회 깃꼴겹잎 갈래는 선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1-2개의 톱니가 있다.
꽃 : 5-6월경 가지 끝에 총상화서(總狀花序)가 달리며 백색이다. 꽃받침잎은 선형이며 꽃잎은 없고 수술은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단각 넓은 타원형 또는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로서 겉에 그물 무늬가 있다.
줄기 :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퍼진다.
분포 : 충무의 바닷가 길 옆에서 자라고 있다.
형태 : 2년생 초본
유사종 : ▶콩말냉이(L. virginicum): 근생엽은 톱니가 있고 경생엽도 톱니가 있다. 열매의 길이는 2.5-3㎜이다.
특징 : ▶충무 앞 미륵산록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미륵냉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XII) (박수현, 1998)
-
No Image
좀네잎갈퀴
학명 : Galium gracilens (A.Gray) Makino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좀잎갈키덩굴 참갈퀴
잎 : 잎은 4개씩 윤생하며 선상 긴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둔하며 길이 6-12mm 나비 1.5-2.5mm로서 중륵과 가장자리에 비스듬히 퍼진 백색 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녹색이며 화서는액생 또는 정생하고 소수의 꽃이 달리며 소화경은 네잎갈퀴의 소화경(1-3mm)보다 다소 길고 화관은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합쳐지고 분과에 인편같은 소돌기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30-40cm이고 연약하다.
분포 : 남부 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네잎갈퀴에 비해 보다 연약하기 때문에 좀네잎갈퀴라고 하며 잎이 선상 타원형 또는 선상 피침형인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17 : 74 (190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좀네모골
학명 : Eleocharis wichurae Boeck.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바늘골속(Eleocharis)
이명 : 네모골
잎 : 윗부분의 엽초는 연한 녹색이고 부분적으로 적갈색이 돌며 가장자리가 수평해지고 흔히 갈색이 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화수는 곧추서고 긴 난형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1-2.5cm 지름 4.5-6mm로서 끝이 뾰족하고 회록색이 도는 갈색이다. 인편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4-6mm로서 끝이 매우 둔하고 연한 구릿빛이 돌며 가장자리는 넓은 막질이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수과의 길이와 거의 같으며 폭이 약간 좁고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 화피열편은 침형이고 6개이며 가장자리가 흰 깃털같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1.2-2.2mm로서 누른 빛이 돌며 렌즈형이고 압축되며 연하고 폭신폭신하다.
줄기 : 총생하지만 때로는 뻗는 줄기가 발달하고 높이 20-55cm 지름 0.6-2mm로서 3-5개의 능선이 있으나 대부분은 능선이 4개이며 회백색이 도는 녹색이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네모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aea 36: 448 (1870)
참고문헌 : 1) Korean Cyperaceae vol.2 (오용자, 1984)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냉이
학명 : Cardamine parviflora L.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냉이속(Cardamine)
이명 : 말황새냉이
잎 : 경생엽은 기수우상복엽이며 열편은 9~11(7~15)개이다. 맨끝부분의 열편은 밑부분의 열편과 크기가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 줄기밑부분의 열편은 긴원형이며 밑부분은 쐐기모양이며 끝은 둥글다. 때로 난형 혹은 도란형이며 가장자리는 매끈하다. 줄기윗부분의 열편은 선형의 고깔모양이다.
꽃 : 꽃은 5~6월경 줄기끝에 총상화서를 이루고 10여개의 백색꽃이 모여피는데 양성화이다. 꽃받침잎은 난형(길이 15mm)이며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꽃잎은 긴타원상 쐐기모양(길이 2~2.5mm)이다. 4개의 긴 수술과 2개의 짧은 수술이 있다. 암술은 한개이다. 화경은 열매 때 거의 수평으로 놓인다.
열매 : 열매는 장각과(길이 10~20mm 너비 0.75mm)이며 매우 가늘고 곧으며 6~7월경에 익는다. 종자는 짧은난형(길이 0.75mm 너비 0.5mm 두께 0.25mm)이며 노란색을 띤 갈색이고 날개가 있다.
줄기 : 줄기는 외대로 곧추 자라며 가지를 조금 친다. 식물체에 털이 없다.
분포 : 한반도 중국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유럽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nat. ed. 10: 131 (1758)
-
No Image
좀나도히초미
학명 : Polystichum braunii (Spenn.) Fee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이명 : 가는개관중 개비늘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5-25㎝로서 짙은 갈색이며 인편이 밀생. 엽신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25-60㎝ 폭 7-22㎝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밑에서 1/3부분의 우편은 밑으로 갈수록 짧아짐. 중축의 인편은 퍼지거나 뒤로 젖혀지고 흔히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우편은 수평으로 퍼지고 피침형으로 대가 없으며 첫째 우편은 짧고 약간 처진다. 소우편은 길이 6-15mm 폭 3-7mm이며 전록은 직선적이고 뒤쪽이 위에서 약간 굽으며 가시같이 뾰족하고 표면에 털같은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 가까이 양쪽에 배열되며 포막은 길이 0.3-0.5m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잎이 더북이 나옴.
분포 : 북쪽으로 금강산 낭림산 남쪽으로 각호산 지리산 죽령 및 울릉도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 Foug., 5. Gen. Filic. 5 : 278 (Fee, 185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나도고사리삼
학명 : Ophioglossum thermale Kom.
과명 : 고사리삼과(Ophioglossaceae)
속명 :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
이명 : 갯줄고사리 좀줄고사리
잎 : 영양엽은 단엽이며 길이 2.5-5㎝ 너비 0.8-2㎝로서 중앙보다 밑부분이 넓고 긴 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뾰족.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이 없고 밑부분이 좁아져 화경의 하반부에 달린다.
열매 : 포자낭수는 선형이며 길이 2-4㎝로서 줄칼같이 발달하고 대는 길이 5-15㎝이며 엽맥의 그물눈이 잘고 제 2차 맥도 비교적 잘 발달한다. 포자는 표면에 다세포로 구성된 작은 그물눈이 많기 때문에 밋밋하게 보인다.
줄기 : 높이 7-20cm이다.
분포 : 서울
특징 : 기본종과의 구별이 극히 어렵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 85 (1914)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좀꿩의밥
학명 : Luzula wahlenbergii Rupr.
과명 : 골풀과(Juncaceae)
속명 : 꿩의밥속(Luzula)
이명 : 구름꿩밥 좀꿩의밥풀
잎 : 잎은 선형이며 근생엽은 길이 5-10㎝ 나비2-3mm로서 다소 안쪽으로 접혀 홈이 지고 가장자리에 긴 백색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꽃 : 7-8월 개화. 짙은 적갈색으로 가지 끝에 모여 달리며 포는 짧고 소포는 막질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화피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 길이의 2/3정도이고 꽃밥은 타원형이며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고 갈색 또는 밤색이며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1.3mm정도로서 밑부분에 사상체(絲狀滯)가 있다.
줄기 : 한군데서 여러대가 나오며 높이 15-20cm이고 꽃이 핀 다음 한쪽으로 굽는다.
분포 :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eitr. Pflanzenk. Russ. Reiches. 2: 58 (184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꿩의다리
학명 : Thalictrum kemense var. hypoleucum (Siebold & Zucc.) Kitag.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꿩의다리속(Thalictrum)
이명 : 다닥좀꿩의다리 무늬좀꿩의다리 좀가락풀 )큰꿩의다리 큰키꿩의다리 틈벨구꿩의다리 흰좀꿩의다리
잎 : 잎은 호생하고 2-3회 3출엽으로서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은 짧거나 없고 탁엽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에 소탁엽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삼각상 도란형이고 길이 1-3cm 폭 8-20mm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며 원저(圓底) 또는 심장저이고 끝은 뾰족하며 앞·뒷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분백색이 돌며 엽병 기부는 줄기를 감싼다.
꽃 : 7-8월에 지름 5-7mm의 황록색의 꽃이 큰 원추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3-4개로서 꽃잎같고 빨리 떨어지며 3맥이 있고 긴 타원형이며 꽃잎이 없고 수술은 10-17개로 많으며 수술대 끝에 길이 2mm의 꽃밥이 달리고 암술은 2-6개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3mm로서 날개모양인 8개의 능선이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높이 40-12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없고 능선이 있으며 상부에서 분지한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사할린 천도 열도 일본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긴꼭지좀꿩의다리 (var.stipellatum TAMURA) : 소과경의 길이가 10-35mm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ci. Rep. Yokoh. Nat. Univ. sect. 2 : 19 : 59(in adnota) (197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꾸러미풀
학명 : Poa radula Franch. & Sa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좀꾸렘이풀
잎 : 잎은 길이 20-30㎝ 나비 5-10mm로서 엽초는 중앙 이상까지 유합되고 다소 거칠며 능선이 있고 엽설은 길이 1-3mm이다.
꽃 : 원추화서는 길이 20-30㎝로서 난형이며 가지는 반윤생하고 잔돌기가 있으며 옆으로 퍼지고 소수(小穗)는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4-10mm로서 4-8개의 소화가 들어있다. 포영은 끝이 뾰족하며 첫째것은 길이 2.5mm로서 1맥이 있고 둘째것은 길이 3-3.5mm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이며 안으로 접히고 길이 3.5-4.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중륵이 뚜렷하고 측면에 털이 없으며 능각부와 측맥 밑부분에 복모가 있고 면모가 약간 있다. 내영은
줄기 : 높이 80-150cm로서 마디사이 윗부분과 근경 윗부분이 거칠다.
뿌리 : 근경은 짧다.
분포 : 강원도에서 자란다.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602 (Franch. & Sav., 18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꽝꽝나무
학명 : Ilex crenata var. microphylla Maxim. ex Matsum.
과명 : 감탕나무과(Aquifoliaceae)
속명 : 감탕나무속(Ilex)
이명 : 꽝꽝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촘촘히 달리며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8-14mm로서 표면은 광택이 있는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작은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5mm이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5-6월에 백록색의 작은 꽃이 핀다. 수꽃은 짧은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에 3-7개씩 달리고 퇴화된 암술이 있으며 암꽃은 엽액에 1개씩 달리고 화경이 길며 퇴화된 4개의 수술과 1개의 4실 자방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지름 6-7㎜인 구형의 핵과로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길이 4-6mm의 과경이 있다.
줄기 :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무성한 수형을 만들고 수피는 회갈색이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다.
분포 : 변산반도와 거제도 보길도 제주도에 분포하며 한라산에서는 1 800m까지 자란다.
형태 : 상록활엽관목
유사종 : ▶꽝꽝나무(I. crenata Thunb.): 잎은 길이 1.5-3.0㎝ 나비 0.6-2.0㎝의 타원형으로 표면은 광택이 있는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hokub. Mei-i 149 (1895)
참고문헌 : 1) 관악수목원 보고 (이창복, 197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좀꽃버들
학명 : Salix viminalis var. abbreviata Doell.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버드나무속(Salix)
이명 : 좀육지꽃버들 짧은잎륙지꽃버들
잎 : 엽신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3-9cm 폭 4-9mm이고 점첨두에 예저이고 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거나 없다.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 비단실모양의 섬모(纖毛)가 밀생한다. 엽병은 길이 4-12mm이며 탁엽이 작고 비단털이 있다.
꽃 : 자웅이주로 4-5월에 꽃핀다. 화서(花序)의 길이가 6-12cm이다. 웅화수(雄花穗)는 길이 2-4cm로 타원형이며 포는 도피침형이며 상반부는 흑색으로 털이 있고 꽃에 1개의 꿀샘과 2개의 수술이 있다. 자화수는 길이 2.5-4cm이고 포는 도란형이며 짧은 털이 있으며 상반부는 혹색이고 밀선은 1개이다. 자방은 난형이며 밀모로 덮여 있고 대는 선(腺)보다 짧거나 없으며 암술머리는 2-4개이다.
열매 : 삭과는 길이 4-8㎜로 6월에 익는다.
줄기 : 소지에 융모가 밀생하며 동아에 털이 있다. 소지는 잿빛으로 털이 있거나 없다.
분포 :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ad. 2 : 495 (185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꼬리까치밥나무
학명 : Ribes komarovi var. breviracemum (Nakai) T.B.Lee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까치밥나무속(Ribes)
이명 : 솜꼬리까치밥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상 원형이고 첨두 예저로 길이 3-4cm이며 대개 3-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다.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위에 선모가 있다.
꽃 : 꽃은 이가화로 총상화서에 선모가 있으며 포는 떨어지고 암꽃화서는 길이 5cm정도이고 수꽃의 꽃받침통은 술잔모양이며 꽃받침잎은 둥글고 꽃잎은 도란상 타원형이며 수술이 꽃잎보다 길다. 암꽃에 있어서 자방은 도란형이고 털이 없으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이고 4월에 황색으로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구형으로 7월에 붉은 색으로 성숙한다. 과서의 길이가 1㎝정도로서 짧다.
줄기 : 높이가 2.5m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다.
분포 : 전라북도 경상북도 및 평안남도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꼬리까치밥나무(R. komarovii A. Pojar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rbores Koreanae 103 (T.B.Lee, 194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께묵
학명 : Hololeion maximowiczii var. fauriei (H.Lev. & Vaniot)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께묵속(Hololeion)
이명 : 께묵 만주께묵 최채나물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40cm 나비 5-3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없고 길이 7-14cm 나비 4-10mm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마침내 선형으로 된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13-30mm이다. 총포는 넓은 종형이고 길이 10mm이고 외편은 길이 1.5mm 내편은 길이 2mm이며 설상화관의 나비가 4mm이다. 화관은 황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5-6mm 지름 1mm정도로서 흑색점이 있거나 흑색이고 관모는 길이 7mm로서 갈색이 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초
유사종 : ▶께묵 : 기본종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0: 304, (1941)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