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좀종덩굴
학명 : Clematis crassisepala Ohw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으아리속(Clematis)
잎 : 잎은 싹트는 시기에 호생하며 점차 크면서 대생하며 1~2번 갈라진 삼출복엽이다. 엽병(길이 4~5cm)에는 털이 드물게 있다. 가운데 소엽은 둥근난형이거나 둥그스름한 타원형(길이 2~3cm 너비 1.8~3cm)이며 다시 3갈래로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진다. 가운데 소엽병(길이 0.6~2cm)에도 털이 드물게 있다. 측소엽은 이그러진 둥근난형이며 다시 3개로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졌으며 엽병(길이 0.5~1.2cm)에도 털이 드물게 있다. 엽신의 겉면은 진
꽃 : 꽃은 7월경 줄기끝이나 엽액에 보통 1개씩 피는데 양성화며 종모양이고 회색을 띠는 갈색 또는 연한 자색을 띤다. 화경(길이 10~20cm)에는 부드러운 털이 드물게 있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난형 (길이 2~2.5cm)이고 겉면에는 연한 털이 드물게 있고 가장자리와 안쪽면에는 흰털이 빽빽이 있다. 가웅예는 보통 주걱형이고 여러개이며 짧고 연한 털이 ??이 있다. 수술은 여러개이가. 수술대는 선형(길이 0.9mm)이며 가운데가 넓으며 털이 있다. 꽃밥은
열매 : 열매는 수과이며 9월경에 익는다. 열매끝에 남아붙어 있는 암술대는 깃털모양(길이 2~3.5cm)이며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덩굴지는데 둥그스름하고 세로로 모난 줄과 홈이 있다.
분포 : 한반도(북부 묘향산 풍서군)
형태 : 낙엽활엽목본이다.
특징 :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 Phytotax. Geobot. 7 : 46 (193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No Image
좀조팝나무
학명 : Spiraea microgyna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조팝나무속(Spiraea)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장 타원형 또는 난상장 타원형으로 길이 3~5(10)cm이며 양끝이 좁아지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엽병은 길이 5~10m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나 중앙부에 연한 홍색이 돌며 새 가지 끝에 복산방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둥글며 수술은 꽃잎의 2배 정도 길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4~5개이며 복면이 터지고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가지는 능각이 있으며 자갈색이다.
분포 : 중부 이북에 나며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좀조개풀
학명 : Coelachne japonica Hack.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좀조개풀속(Coelachne)
잎 : 잎은 피침형 길이 1-3㎝ 폭 3-5㎜ 끝은 뾰족하며 털이 없고 엽초는 잎몸보다 짧으며 엽설은 없다.
꽃 : 꽃은 원추화서를 이루며 화서의 길이 2-3㎝ 엉성하게 가지를 치며 드문드문 작은이삭이 붙는다. 작은이삭은 연한 녹색이며 길이 2-2.5㎜ 1-2개의 꽃으로 되고 맨 아래의 꽃은 양성 위의 것은 암꽃이다. 호영은 긴 타원형 제 1호영은 길이 1㎜가량 1맥 제 2호영은 길이 1.3㎜ 희미한 3맥이다. 외영은 막질 타원형 흰색 길이 2-2.5㎜ 약간 광택이 난다. 내영은 외영과 같은 길이 양측 가장자리는 안으로 말린다. 수술은
줄기 : 줄기는 땅을 기고 마디에서 꼿꼿이 서며 가지를 친다. 높이는 5-15㎝이고 마디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울산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1년초
특징 : 일본의 서부에 나는 일본 특산종이라고 되어 있으나 우리 나라에도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좀장구밤나무
학명 : Grewia parviflora f. angusta (Nakai) W.T.Lee
과명 : 피나무과(Tiliaceae)
속명 : 장구밤나무속(Grewia)
이명 : 좀장구밥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아심장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하며 길이 4-12cm로서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복거치가 있거나 얕게 3개로 갈라지고 엽병은 길이 3-15mm로서 성모가 있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7월에 피며 지름 1cm이고 연한 황색이며 취산화서 또는 산형화서에 5-8개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3-10mm이다. 꽃받침잎은 도피침형이며 길이 7-8mm로서 겉에 성모가 있고 꽃잎은 길이 3mm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거나 장구통 같으며 황색 또는 화적색으로서 털이 없고 10월에 익으며 종자가 1개 들어 있는 것은 지름 6mm이고 2-4개 들어 있는 것은 지름 8-12mm이다.
줄기 : 소지에 융모가 밀생한다.
분포 : 제주도에 분포.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장구밥나무(var. parviflora Hand.-Maz.): 잎은 길이 4-12㎝의 난형 또는 광타원형인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p. 700 (199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작살나무
학명 : Callicarpa dichotoma (Lour.) K.Koch
과명 : 마편초과(Verbenaceae)
속명 : 작살나무속(Callicarpa)
잎 : 잎은 대생하고 길이 3~8cm 폭 1.5~3.0cm로서 도란상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중륵 위에 성모가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선점이 있으며 맥 위에 성상모가 있고 가장자리의 밑부분 1/3부터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4㎜이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양성화이며 길이 2㎜정도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취산화서는 액생하며 10~20개의 꽃이 달린다. 화경은 길이 1.0-1.5㎝로서 성모가 있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수술은 4개로서 길이 5mm정도이며 암술대는 수술과 길이가 같다.
열매 : 열매는 지름 3-4㎜의 핵과인데 둥글고 10월에 짙은 자주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수피는 회갈색이며 소지는 네모지고 암자색 성상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제주도와 중부 이남의 표고 200~1300m의 계곡 및 암석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원개형.
유사종 : ▶작살나무(C. japonica Thunb) ▶흰좀작살나무(C. dichotoma Raeu. var. albi-fructus Okuya)
특징 : 도시내에 식재하여도 개화 및 결실이 잘 이루어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Dendr. 2 : 336 (187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자작나무
학명 : Betula fruticosa Pall.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자작나무속(Betula)
이명 : 대택자작나무대택자작이덤불자작나무덤불재작이민좀자작나무부전자작나무부전재작이
잎 : 잎은 원형 또는 난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4cm 폭 3cm로서 가장자리에 예치(銳齒) 또는 복거치(復鋸齒)가 있으며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지점(脂點)이 있으며 엽맥은 5-7쌍으로서 맥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2-5mm로서 털이 있거나 없다.
꽃 :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유이화서로서 수꽃이삭은 밑으로 처지며 길이 5-6cm이고 암꽃이삭은 작은 가지끝에 곧게 서서 달린다.
열매 : 과수는 길이 1-2cm로서 곧추선다. 실편의 열편은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잔털이 있고 측편은 위를 향하며 열매는 소견과로 난상 원형이고 날개는 열매의 폭과 같거나 좁다.
줄기 : 높이가 3m이하로서 수피는 회백색이고 얇게 벗겨지며 소지에 털과 더불어 지점이 있다.
분포 : 북부지방의 깊은 산 고원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덤불자작나무(B. paishanensis Nak.): 가지와 잎 뒷면에 지점이 없고 함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백두자작나무(B. microphylla var. coreana Nak.): 가지에는 지점이 없으나 잎 뒷면에 지점이 있고 함북 농사동(農事洞)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ise russ. Reich. 3:758 (177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좀우드풀
학명 : Woodsia intermedia Tagawa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우드풀속(Woodsia)
이명 : 좀가물고가리
잎 : 엽병은 길이 3-10㎝로서 볏짚색 또는 적갈색이고 털과 더불어 좁은 인편이 드문드문 있으며 위끝에 관절이 있다. 엽신은 엽병보다 길고 길이 5-15㎝ 폭 2-5㎝로서 삼각상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거의 좁아지지 않으며 윗부분은 1회 우상으로 밑부분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중축에 털이 있다. 우편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3㎝ 폭 5-15mm로서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얕게 갈라지거나 파상의 톱니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근처에 달리며 흑갈색이고 포막은 불규칙하게 얕게 갈라지며 열편에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짧고 인편이 밀생하며 잎이 총생.
분포 : 중부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참우드풀과 우드풀의 중간형.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5:250 (1936)
-
No Image
좀어리연꽃
학명 : Nymphoides coreana (Lev.) Hara
과명 : 조름나물과(Menyanthaceae)
속명 : 어리연속(Nymphoides)
이명 : 애기어리연꽃 좀어리연친어리연꽃 흰어리연꽃
잎 : 1~2장의 잎만 물 위에 뜬다. 잎은 난상 심장형 또는 원심형이며 지름 2~6cm로서 밑부분이 깊게 갈라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10cm이고 원줄기의 연속으로서 밑부분이 귀처럼 넓어져 화서를 감싼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지름 8mm로서 백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1-3cm이며 엽병 기부에서 속생하고 꽃받침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화관은 4-5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길이 4~5mm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끝에 남아 있는 암술대는 길이 1mm이고 종자는 평활하거나 다소 두드러기같은 돌기가 있으며 윤채가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
형태 : 다년생 수초
유사종 : 어리연꽃
특징 : 어리연꽃에 비해 전체가 소형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3 : 26 (1937)
참고문헌 :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좀송이고랭이
학명 : Scirpus mucronatus L.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고랭이속(Scirpus)
이명 : 참송이골
잎 : 윗부분의 엽초는 길이 25㎝로서 가장자리가 수평하다.
꽃 : 화경은 삼각형이며 높이 50-130㎝ 지름 6-10mm로서 짙은 녹색이다. 꽃은 8-10월에 피고 옆에 달리며 5-20개의 소수가 뭉쳐 있다. 포는 화경의 연장형이고 길이 3-6cm이며 소수는 긴 타원상 원주형이고 길이 1-2cm 폭 4-6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녹갈색으로 된다. 인편은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3.8-5mm로서 중앙의 녹색부가 넓고 양쪽은 갈색이다. 암술대는 길이 6-8mm이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화피열편은 침형이고 6개
열매 : 수과는 넓은 도란형 또는 다소 편평한 삼릉형이며 길이 2-2.5mm로서 흑갈색으로 익고 뚜렷하게 옆으로 주름이 진다.
줄기 : 총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송이고랭이 (S. triangulatus ROXB.)
특징 : ▶송이고랭이보다 소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솔방울고랭이
학명 : Scirpus fuirenoides Maxim.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고랭이속(Scirpus)
이명 : 드문솔방울 방울골 애기방울고랭이
잎 : 잎은 선형으로 호생하고 끝은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깔깔하며 하부의 엽초는 줄기르 ㄹ싸고 혁질이며 상부의 잎은 줄기보다 길게 나온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산방화서로 달린다. 화서는 5~6개로 정생하는 것은 수개 측생하는 것은 1~2개의 구상화서가 있고 엽상포는 화서보다 길다. 소수는 타원형으로 길이 5~7mm이고 익으면 녹회갈색을 띠며 10~20개가 모여 구상화서를 만든다. 인편은 난상 3각형으로 나비 1~20개가 모여 구상화서를 만든다. 인편은 난상 3각형으로 나비 1~1.2mm이다.
열매 : 수과는 편평한 3릉형으로 자침은 6개로 굴곡한다.
줄기 : 줄기는 모여나고 세모지며 녹색으로 윤채가 나고 4~5개의 마디가 있다.
분포 : 제주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32: 109 (1887)
1) Flore of Korea (Y.N.Lee, 1996)
-
No Image
좀속새
학명 : Equisetum scirpoides Michx.
과명 : 속새과(Equisetaceae)
속명 : 속새속(Equisetum)
줄기 : 줄기는 가늘고 불규칙하게 구불구불 굽었으며 속이 차 있고 뚜렷하게 튀어나온 줄 6개가 있다. 엽초는 나중에 검은색이 되고 열편은 잘고 길게 뾰족하며 3개 간혹 4개가 있다. 포자낭 이삭은 줄기 끝에 1개가 붙으며 길이 2~3mm 자루가 없다. 작고 단단하다.
뿌리 : 땅속줄기는 짧고 검은색이다.
분포 : 한국(북부) 일본 사할린 유럽 북아메리카 북반구의 온대 북부
형태 : 상록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Bor.-Amer. (Michaux) 2 : 281 (Michaux., 1803)
참고문헌 : 1)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No Image
좀소리쟁이
학명 : Rumex nipponicus Franch. & Sav.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소리쟁이속(Rumex)
이명 : 좀소루쟁이
잎 : 밑부분의 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7~15cm 나비 1~3.5cm이며 양끝이 좁고 엽병이 있다.
꽃 : 꽃은 많이 모여 빽빽이 구상으로 윤생하고 화서에 잎이 있으며 7~8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과시의 화피는 황갈색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장 타원형이고 황갈색이며 예리하게 세모지고 광택이 있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북부 해안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소련 사할린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471 (Franch. & Sav., 1878)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새풀
학명 : Deschampsia cespitosa (L.) P.Beauv.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좀새풀속(Deschampsia)
이명 : 두메잔새 산우산대잔듸 잔새
잎 : 잎은 선형. 끝이 뾰족하고 좁으며 안으로 오므라들거나 납작하고 길이 5-20㎝ 폭 1-3㎜로서 표면에는 털이 없다. 엽설은 길이 3-7㎜이고 얇은 막질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성기게 퍼져 곧추서거나 끝이 밑으로 처지고 길이 5-20㎝ 폭 9㎝로서 각 마디에 2-5개의 가지가 있으며 가지가 퍼지거나 비스듬히 선다. 화축과 소축은 가냘프고 각이 지며 꺼칠꺼칠하다. 소수(小穗)는 2-3개의 꽃으로 되고 길이 5-7㎜로서 완전화이다. 첫째 포영은 길이 2.5-3mm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3-4.5mm로서 3맥이 있고 모두 피침형 예두이다. 호영은 길이 3.5-4.5mm로서 희미한
줄기 : 높이 15-70cm이고 총생하며 가냘프다.
분포 : 한라산 및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ss. Agrostogr. 91, 149, 160. (18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새포아풀
학명 : Poa deschampsioides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잎 : 잎몸은 길이 5㎝ 폭 2.3㎜로 표면은 꺼칠꺼칠하고 엽설은 길이 1㎜내외이다.
꽃 : 원추화서는 난형으로 대체로 성기게 달리고 매끈하며 길이 5-6㎝로 자주색이다. 작은 이삭은 길이 4.5-5㎜고 낱꽃은 3-5송이이다. 호영은 서로 다르고 막질이며 끝이 날카롭고 윗부분이 꺼칠꺼칠하며 3맥으로 가장자리는 투명하다. 제 1호영은 길이 3㎜ 제 2호영은 길이 3.5㎜이고 외영은 길이 3.5㎜ 5맥이고 배 부분과 가장자리 맥에 긴 누운 털이 밀생한다. 밑에 구불구불한 솜털이 있다. 내영은 길이 3.4㎜ 용골은 2개로 연모가 있다. 수술은
줄기 : 줄기는 성기게 모여 달리고 밑은 길고 가냘프다. 마디는 1-2개로 털이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초원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5 : 195 ()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좀새비나무
학명 : Callicarpa mollis f. ramosissima (Nakai) W.T.Lee
과명 : 마편초과(Verbenaceae)
속명 : 작살나무속(Callicarpa)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는 새비나무보다 작아 1-3cm로서 양면에 잔 선점이 있으며 표면에 짧은 털이 있고 뒷면에 성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0mm로서 성모가 밀생한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취산화서는 액생하고 성모가 밀생하며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성모 또는 우상의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길이 4-5mm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통부는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고 수술은 화관과 길이가 같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자주색이고 지름 5mm정도로서 10월에 익는다.
줄기 : 어린가지에 성모가 밀생하며 가지의 분지가 많다.
분포 : 남쪽 섬지방에 분포.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새비나무(C. mollis Sieb. et Zucc.): 잎은 길이 3-12㎝ 폭 2.5-5.0㎝이다. ▶개새비나무(C. shirasawana Makino): 작살나무와의 잡종을 말한다.
특징 : 새비나무와 비슷하나 잎의 길이가 1-3cm 가는 가지를 많이 내고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새그령
학명 : Eragrostis minor Host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그령속(Eragrostis)
이명 : 섬비노리
잎 : 잎은 선형이고 길이 3-10cm 나비 2-5mm로서 흔히 털이 있다. 엽설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성기게 퍼지고 길이 5-20cm이며 난형이고 가지는 각 마디에서 1개씩 나와 퍼진다. 소화경은 윗부분에 다소 긴 환상의 선점이 있으며 소수는 길이 3-8mm 나비 1.2-1.7mm로서 연한 녹색이고 5-12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예두(銳頭)이며 1맥이 있고 능선에 환상선이 있으며 호영은 길이 2.2mm로서 3맥이 있고 능선에 선점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으며 능선에 잔돌기가 있다.
열매 : 영과는 타원형이고 좌우에서 편평하다.
줄기 : 높이 10-40cm이고 가냘프며 마디 밑에 (環狀腺)환상선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con. descr. gram. austriac. 4: 15. (180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산초나무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ium f. microphyllum (Nakai) W.T.Lee
과명 : 운향과(Rutaceae)
속명 : 초피나무속(Zanthoxylum)
이명 : 좀분지나무 좀산초
잎 :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13-21개이고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가늘고 길이 1cm미만이다. 가장자리에 파상의 잔톱니가 있고 엽축에 잔가시가 있으며 산초특유의 향기가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지름 3mm로서 연한 녹색이고 향기가 없으며 정생하는 길이 5-10cm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에 마디가 있다. 꽃받침잎은 난상 원형이며 꽃잎은 길이 2mm로서 피침형이고 안으로 꼬부라지며 각각 5개이다.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같고 곧추서기 때문에 밖으로 나오며 암술은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길이 약 4mm이며 녹갈색에서 홍색으로 익고 흑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에 가시가 엇갈려서 난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 000m 이하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민산초(var. inermis T.Lee): 가시가 없는 것. ▶전주산초(var. subinermis T.Lee): 가시의 길이가 2㎜ 이내이며 잎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인 것. ▶초피나무(Z. piperitum A. P. DC.): 꽃잎이 없고 소지에는 잎의 양쪽에 커다란 가시가 있으며 소엽이 9-19개인 것.
특징 : 맹아력은 보통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 Fl. Koreae : 645 (199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좀산서어나무
학명 : Carpinus turczaninovii var. arguta Uyeki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서어나무속(Carpinus)
잎 : 탁엽은 선형이며 겨울철에도 달려 있다. 잎은 난상 타원형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3-5cm로서 복거치가 있으며 측맥은 10-12쌍이고 표면은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 맥 위에는 잔털이 있으며 맥액에 밀모가 있고 엽병은 길이 5-8mm로서 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핀다.
열매 : 과수(果穗)는 길이 15-30mm이며 과경은 길이 10mm 정도로서 털이 있고 포는 난형이며 길이 1cm 정도로서 첨두이고 전연(前綠)에 1-2개 후연( 後綠)에 3-5개의 톱니가 있다. 소견과는 길이 4mm정도로서 선점(腺點)이 있는 것도 있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며 소지에 밀모가 있다.
분포 : 금강산 및 함남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Woody Plants 16 (194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No Image
좀사철나무
학명 : Euonymus fortunei (Turcz.) Hand.-Mazz.
과명 : 노박덩굴과(Celastraceae)
속명 : 화살나무속(Euonymus)
이명 : 줄사철나무
잎 : 잎은 광타원형으로 옆연은 둥글고 둔한 톱니가 있다. 잎은 혁질로 상록성이다. 맹아는 난형이다.
꽃 : 화축 끝에 달린 꽃 밑에서 1쌍의 화경이 나와 각각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그 꽃 밑에서 각각 1쌍씩의 소화경이 나와 그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화수는 4수성이다. 화판은 원형 아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매끈하다. 꽃받침은 중열하고 양끝이 90도 이상의 둔각으로 합쳐진다. 화사는 뚜렷하고 약실이 뚜렷한 2개의 방으로 나뉘어 나타난다.
열매 : 삭과의 열편은 거의 발달하지 않고 둥글다.
줄기 : 소지는 원주형이고 표면에 아무런 부속물이 없이 평활하다.
형태 : 소지표면에 매우 미세한 소돌기가 밀생하며 줄기는 대개 직립하고 잎은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으로 길이 2-6cm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mb. sin. 7(3):660 (1933)
참고문헌 : 1) 한국산 화살나무속(Euonymus L.: Celastraceae)의 영양형질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한국산 화살나무속(Euonymus L.: Celastraceae)의 생식형질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김주환 & 김윤식, 1994)
-
No Image
좀사위질빵
학명 : Clematis brevicaudata DC.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으아리속(Clematis)
이명 : 작은질빵풀
잎 : 잎은 대생하고 2회3출의 우상복엽이며 엽병이 길고 소엽은 대개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2-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둔하며 상반부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지름 1.5cm정도로서 백색이며 원추상 취산화서는 엽액에서 자라고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열편은 4개이며 십자형으로 퍼지고 길이 7-10mm로서 도피침형이며 꽃잎이 없다. 수술과 암술은 다수이고 꽃받침보다 짧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없고 암술대가 붙어서 우상으로 퍼지며 암술대는 길이 24mm정도이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만경목
특징 : 사위질빵과 비슷하지만 잎이 2회3출인 것이 다르고 잎이 작기 때문에 좀사위질빵이라고 하며 사위질빵의 변종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gni vegetabilis systema naturale 1:138 (1818)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