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줄바늘꽃
학명 : Epilobium glandulosum var. asiaticum H. Hara
과명 : 바늘꽃과(Onagraceae)
속명 : 바늘꽃속 (Epilobium)
이명 : 멍울바늘꽃 몽올바늘꽃
잎 :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예두이며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짧은 엽병이 있거나 없으며 길이 4-9cm 폭 1.5-2.5cm로서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털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3.5-5(간혹 7)mm이고 극히 짧은 소화경에 굽은 털과 선모가 있으며 윗부분의 엽액에 1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길이 3-4mm이고 자방에 굽은 털이 밀생하며 선모가 약간 섞여 있고 암술머리는 곤봉형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긴 원기둥모양이고 길이 4-6.5cm로서 길이 3-6mm의 대가 있다. 종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0.8-1.2mm로서 밑부분이 뾰족하고 유두상 소돌기가 줄로 밀생한다.
줄기 : 높이 35-8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능선이 있고 가지가 많으며 밑부분에 털이 없거나 능선 위에만 털이 있고 윗부분에 털이 많으며 굽은 털과 선모가 섞여 있다.
뿌리 : 근경은 짧으며 지상부에 대가 없는 새싹이 달린다.
분포 : 북부지방의 주을(朱乙) 근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버들바늘꽃: 높이 10-50cm. 비늘잎이 붙고 땅위줄기에 붙는 잎은 선상 피침형 꽃은 연한 붉은 색으로 줄기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바늘꽃: 높이 30-80cm.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달린다. ▶한라바늘꽃: 줄기와 잎에 구부러진 털만 있거나 윗부분에 선모가 있고 자방과 꽃자루에 구부러진 털과 선모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8 : 241 (1942)
참고문헌 : 1) 관악수목원 보고 (이창복, 197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줄바꽃
학명 : Aconitum alboviolaceum Kom.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초오속(Aconitum)
이명 : 오독도기 줄바꼬 줄진범 흰오독도기 흰줄바꽃
잎 : 뿌리에 달린 잎은 엽병이 길고 손바닥 모양으로서 3∼5갈래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짧다.
꽃 : 꽃은 7∼9월에 연한 자줏빛 또는 흰빛을 띤 자줏빛으로 피는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과 꽃대에 짙은 노란색 털이 빽빽이 난다. 꽃받침조각은 꽃잎처럼 생기고 5개이며 투구 모양이다. 이 가운데 2개는 꿀샘 같고 끝이 휘어 위쪽 꽃받침 속으로 들어간다. 수술은 여러 개이고 씨방은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과이며 유독식물이다.
줄기 : 줄기는 다른 물체에 감긴다.
분포 : 한국(평북 함남 함북) 만주 우수리강 헤이룽강 등지
형태 : 덩굴성 다년초이다.
특징 : 덩굴식물로서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독이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 Hort. Petr. 18 : 439 (190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줄맨드라미
학명 : Amaranthus caudatus L.
과명 : 비름과(Amaranthaceae)
속명 : 비름속(Amaranthus)
이명 : 실맨드램이 줄비름 푸른비름
잎 : 잎은 호생하며 사각상 난형 또는 사각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0cm 나비 3-6cm로서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수상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서 나와 길게 처지며 포는 길이 2-3mm로서 막질이고 끝이 둥글며 다소 톱니가 있고 끝이 까락같으며 화피보다 다소 길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2mm로서 홍색 또는 백색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열매는 개과로서 타원형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끝에 3개의 짧은 돌기가 있으며 중앙부가 갈라져서 윗부분이 모자처럼 떨어진다. 종자는 백색이고 편원형이며 둘레가 적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90cm에 달하고 다소 능선이 있으며 굵고 곧게 선다. 붉은빛이 돌며 거칠고 홍색을 띠며 상부에 작은 털이 퍼져 난다.
분포 :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
유사종 : ▶눈비름(A. deflexus L.): 줄기는 밑동에서 갈라지고 잎은 난형 좁은 난상 삼각형 길이 1-4㎝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비름(A. mangostanus L.): 잎은 넓은 난형 길이 4-12㎝ 잎자루가 길다. ▶털비름(A. retroflexus L): 전체에 짧은 털이 퍼져 나고 줄기는 거칠고 굵으며 가을철에 붉어지기도 한다. 잎은 길이 5-10㎝ 뒷면 맥에 연한 털이 있다. ▶청비름(A. virid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줄말
학명 : Ruppia maritima L.
과명 : 가래과(Potamogetonaceae)
속명 : 줄말속(Ruppia)
이명 : 나도바다말 바다말 바다줄말
잎 : 잎은 호생하고 실같이 가늘며 길이 5-10cm로서 윗부분에 잔톱니가 약간 있고 밑부분이 길이 8-13mm의 엽초로 된다.
꽃 : 꽃은 양성으로서 2-6개가 엽초 안에 들어 있지만 자라서 수면으로 나오며 화피가 없고 갈록색이며 수술대가 없는 2개의 수술과 4개로 갈라지는 심피가 있다. 수분이 끝나면 심피는 자라서 길이 5mm정도의 과병으로 된다.
열매 : 과경이 길게 자라며 나사처럼 꼬인다. 열매는 일그러진 난형이며 길이 2.5mm정도로서 짧은 부리가 있다.
줄기 : 갈록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길이 30-60cm이다.
분포 : 중부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수초
유사종 : ▶줄말(R. rostellata Koch): 수분이 끝나면 심피는 자라서 길이 5mm정도의 과병으로 되고 과경은 길이 3cm로서 다소 굽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줄딸기
학명 : Rubus oldhamii Miq.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산딸기속(Rubus)
이명 : 곰의딸 덤불딸기 덩굴딸기 동꿀딸기 애기오엽딸기
잎 : 잎은 호생하며 5-9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로서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새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화경(花梗)은 길이 3-4cm로서 가시가 있으며 꽃받침잎은 피침형 첨두로서 가시털이 있고 꽃잎은 타원형이며 길이 1cm로서 꽃받침보다 길고 연한 홍색이나 때로는 꽃이 백색인 것도 나타난다. 수술은 다수이다.
열매 : 열매는 공처럼 둥글며 7-8월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줄기가 2m이상 옆으로 뻗고 털이 없으며 구자(鉤刺)가 있고 소지는 털이 없거나 있으며 붉은 빛이 돌고 백분으로 덮여 있다.
분포 :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산야(표고 600m 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만경목
특징 : 맹아력이 좋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3: 34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줄꽃주머니
학명 : Adlumia asiatica Ohwi
과명 : 현호색과(Fumariaceae)
속명 : 줄꽃주머니속(Adlumia)
이명 : 덩굴며느리주머니 양꽃주머니
잎 : 잎은 1-3회 우상복엽이며 끝이 덩굴손으로 되고 최종소엽은 도란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얇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연자주색이며 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고 3-4개의 꽃이 달리며 소화경 끝에서 밑을 향해 핀다. 꽃받침잎은 2개로서 비늘같이 작고 꽃잎은 4개로서 합쳐지며 길이 1.5cm정도이고 6개의 수술은 윗부분이 서로 붙어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길이 5mm정도이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cm 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종자는 둥글며 흑색이고 윤채가 있다.
줄기 : 길이가 1m에 달한다.
분포 : 평북 함경도 등 북부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5 : 387 (193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줄기양배추
학명 :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L.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배추속(Brassica)
이명 : 구경가두배추 줄기가두배추
잎 : 줄기 밑부분은 공모양으로 둥글어지고 육질이 되며 매우 짧아진다. 기부와 아래쪽의 경생엽은 녹색으로 수가 많고 결구쪽으로 서로 겹쳐지지 않는다. 엽액의 잎은 발달하고 결구를 형성하지 않는다.
꽃 : 화서는 육질화되지도 결구쪽으로 응축되지도 않는다. 꽃은 황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국가식물목록심의자료I (국가식물목록위원회, 2001)
-
No Image
줄고사리
학명 : Nephrolepis cordifolia (L.) Presl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줄고사리속(Nephrolepis)
잎 : 인편은 막질이고 연한 갈색으로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실같이 가늘고 길이 7-10mm이다. 엽병은 길이 5-10㎝로서 흑자색이며 중축과 더불어 갈색 털로 뒤덮이지만 밑부분에는 긴 털이 밀생한다. 엽신은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25-29㎝ 나비 3-6㎝로서 1회우상복엽이다. 우편은 대가 없으며 긴 타원상 선형이고 중앙부의 것이 가장 길며 앞쪽 밑부분이 삼각형으로 튀어나와 서로 겹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밑으로 갈수록 난형으로 되고 사이가 벌어진다.
열매 : 포자낭군은 측맥 끝에 달리며 포막은 신장형이고 나비 1-1.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으로 달린다.
뿌리 : 짧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하고 쇠줄같은 포복지가 사방으로 퍼지며 털로 덮인 괴경이 달린다.
분포 : ▶온실에서 흔히 심고 있다.
형태 : 상록다년초
유사종 : ▶넉줄고사리: 바위 겉이나 수간에 붙어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지름 3-5mm이고 갈색 또는 회갈색 인편으로 덮이며 길게 뻗는다.
특징 : 쇠줄같은 포복지가 뻗기 때문에 줄고사리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줄
학명 : Zizania latifolia (Griseb.) Turcz. ex Stapf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줄속(Zizania)
이명 : 줄풀
잎 : 잎은 길이 50-100cm 폭 2-3cm로서 납작하고 두꺼우며 곧게 서고 깔깔하며 기부는 점차 가늘어지면서 엽초로 된다. 엽초는 갯솜질로서 두꺼우며 털이 없다. 엽설은 3각형으로서 백색이고 막질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2m로서 8-9월에 길이 30-50cm의 큰 원추화서가 발달하며 가지는 반윤생하고 갈라지는 곳에 털이 있다. 雌小穗는 윗부분에 선상 피침형으로 달리며 길이 2-3cm로 1개의 암꽃으로 되고 연한 황록색이며 끝에 긴 까락이 있고 호영과 내영의 2개로 된다. 호영은 두껍고 5맥이 있으며 끝에 14-20mm의 까락이 있고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같으며 3맥이 있다. 雄小穗는 밑부분에 달리고 연한 자줏빛이 돌며 길이 6mm 정도로서 좁은
줄기 : 곧게서며 기부의 마디에서 부정근이 나온다. 짙은 녹색이며 매끄럽다.
뿌리 : 진흙 속에서 굵고 짧은 근경과 뻗는 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Misc. Inform. 1909(9): 385. (190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죽절초
학명 :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과명 :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
속명 : 죽절초속(Sarcandra)
이명 : 죽절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장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10~15cm 나비 4~6cm이며 끝이 뾰족하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엽병은 5~20m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가지끝에서 나는 수상화서에 달리며 포는 끝까지 남아 있다. 화피는 없고 자방은 연한 녹색이며 수술은 자방 어깨에서 수평으로 퍼진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구형이며 10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녹색이며 마디가 두드러진다.
분포 : 제주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성 아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lv. kor. 18: 17 (1930)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4)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죽순대
학명 : 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ex Lehai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왕대속(Phyllostachys)
이명 : 귀갑죽맹종죽죽신대
잎 : 잎의 길이는 7~10cm 나비는 1~1.2cm이다. 엽초는 잔털이 있다. 엽신은 피침형이다.
꽃 : 꽃은 7~10월에 드물게 피며 수상화서를 이룬다. 엽초는 장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적갈색이며 크고 작은 적색 반점이 있다. 털이 있고 끝에 잎조각이 달리며 잎조각은 피침형이다. 잎조각속에 양성화 1송이와 단성화 2송이가 달린 작은 이삭이 있다. 호영은 피침형으로 털이 있다. 내영은 타원형으로 3개이고 털이 있다. 자방은 난형이며 주두는 3갈래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영과로 11월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한다. 가지는 2∼3개씩 나오고 단환상이며 마디가 솟는다. 5월에 죽순이 나오며 포는 밀모가 있고 끝부분에는 축모가 있다.
분포 : 남부지방
형태 : 다년생 목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1) Flora of Korea (Y.N.Lee, 1996)
-
No Image
죽백란
학명 : Cymbidium lancifolium Hook.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보춘화속(Cymbidium)
이명 : 돈란 주걱란
잎 :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혁질이며 끝이 뾰족하고 긴 엽병이 있다. 잎의 길이(엽병 포함)는 20-30cm 폭 2-3cm로서 잎 끝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꽃 : 화경(花莖)은 10-15cm정도로서 수장의 초생엽이 호생한다. 꽃은 2-4송이식 달이고 연녹색이며 포는 막질이고 가는 피침형이며 길이 8-15mm이다. 꽃받침은 가는 피침형이고 길이 20-25mm 폭 2.5-3mm이다. 곁꽃잎은 긴 타원형이고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폭이 넓으며 끝이 뾰족하다. 입술꽃잎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얕게 3갈래이다. 가운데 꽃잎은 삼각형이고 흰색이며 내면에 수 개의 큰 자갈색 반점이 있다. 암술대는 길이 13mm가량이고
줄기 : 위구경(僞球莖)은 염주 모양으로 늘어서고 수직의 비늘잎과 1-3장의 잎이 난다.
분포 : 제주도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녹화죽백란: 죽백란과 비슷하나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꽃은 담녹색이다.
특징 : 세계에 약 70종 우리 나라에는 4종이 분포한다. 나무 또는 땅 위에 나는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xot. bot. 1: 51 (1823)
참고문헌 : 1) 제주도 자생Cymbidium에 관하여 (이종석, 1981)
-
No Image
죽백나무
학명 : Podocarpus nagi (Thunb.) Zoll. & Morr. ex Zoll.
과명 : 나한송과(Podocarpaceae)
속명 : 나한송속(Podocarpus)
이명 : 참마티아나무
잎 : 잎은 교호대생하고 옆신은 장 타원상 피침형으로 꼬여서 2열로 배열하며 길이 4~7cm 나비 1.3~2.5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쐐기 모양으로 짧은 자루로 흐르고 중륵은 없으며 엽맥이 세로로 20~30개 뻗는다. 표면은 광택이 있는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녹황색을 띠고 두텁다.
꽃 : 수꽃은 전년지 잎짬에 1개씩 나며 5~6월에 핀다.
열매 : 구과는 전년지 잎짬에서 나온 단지에 나며 구형으로 분람녹색이고 외피는 약간 육질이며 종피는 골질로 백색이고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피는 평활하고 회흑색이며 엷은 비늘조각모양으로 벗겨지면 암갈색의 동심원상의 무늬가 생기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동아는 피침형이다.
분포 : 각지에 식재한다.
형태 : 상록교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rz. Ind. Arch. 2 : 82 (1854)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
No Image
죽대아재비
학명 : Streptopus amplexifolius var. papillatus Ohwi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죽대아재비속(Streptopus)
이명 : 큰섬죽대 큰잎죽대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6-12㎝ 폭 3-6㎝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때로는 도드라지는 세포때문에 거칠어지기도 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5-7맥이 있고 오목하게 들어간다.
꽃 : 화경은 가늘고 바로 위에 달린 잎 밑부분까지 원줄기에 붙으며 떨어진 부분은 길이 2-4cm로서 중앙부에 관절이 있어 꽃이 처지고 각각 1개씩 달린다. 꽃은 녹백색으로 엽액에 1송이씩 달리며 넓은 종같고 화피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8-10mm로서 윗부분이 젖혀진다. 꽃밥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4mm로서 수술대보다 길고 암술대는 길이 4-5mm이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1㎝로 붉은 색으로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50-100c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옆으로 뻗는다.
분포 : 강원도 이북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45 : 185 (1931)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죽대
학명 :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둥굴레속(Polygonatum)
이명 : 큰대잎둥굴레 큰댓잎둥굴레
잎 : 잎은 호생하고 2열로 나며 난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6~11cm이고 양끝이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엽병은 짧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누른빛과 푸른빛이 도는 백색이고 잎짬에 난 화경 기부가 짧게 줄기와 합생하여 잎 뒤로 비스듬히 나가나 꽃의 무게로 활?이 밑으로 굽는다. 화통은 길이 15~20mm이고 끝이 6개로 얕게 갈라지며 수술대는 중부까지 화통에 합생하고 다세포의 길고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열매 : 장과는 구형이고 흑자색으로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나 상부는 비스듬히 올라가며 능각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고 절간이 짧으며 지름 3~8mm이다.
분포 : 충북(속리산) 경북 이남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ogiques 11: 850 (188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
No Image
죽단화
학명 : Kerria japonica f. pleniflora (Witte) Rehder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황매화속(Kerria)
이명 : 겹죽도화 겹황매화죽도화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2-8cm 폭 1.5-3cm이고 가장자리에는 결각상의 복거치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엽맥이 오목하게 들어가며 뒷면은 맥이 돌출하고 맥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5-15mm이며 탁엽은 선형으로 좁고 길며 일찍 떨어진다.
꽃 : 꽃은 완전화로서 가지 끝에 1개씩 피며 지름 3-4cm이고 황색이며 측지끝에서 잎과 같이 피고 소화경은 길이 2cm에 달한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형 첨두로서 털이 없으며 잔톱니가 있고 꽃잎은 많첩이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고 수술은 많으며 암술대와 길이가 비슷하고 심피는 5개(간혹 8개)이며 4-5월에 개화한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남아있는 꽃받침 속에서 8-9월에 흑갈색으로 익는다.
줄기 : 소지는 녹색으로 능선이 지고 털이 없다. 모든 줄기가 뿌리에서 모여 난다.(총생(叢生))
분포 : 중부 지방 및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황매화(K. japonica DC.): 꽃잎이 5개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ibli. cult. trees 284 (1949)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주홍서나물
학명 :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주홍서나물속(Crassocephalum)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며 잎자루가 있다. 아래쪽의 잎은 불규칙하게 우상(羽狀)으로 분열하며 난형(卵形) 또는 장타원형(長楕圓形)으로 양끝이 예두(銳頭)이고 가장자리는 크기가 다른 거치가 있으며 양면이 성기게 털이 있다. 위쪽의 잎은 좁은 장타원형이며 양 끝이 길게 뾰족하며 성기게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두화는 모두 아래를 향하여 매달리며 총상화서(總狀花序)를 이룬다. 총포(總苞)는 원통형(圓筒形)이며 길이 9-10㎜ 기부 근처가 뚜렷하게 부풀었고 외총포편은 선형(線形)이고 길이 1.5-2㎜이다. 내총포편은 선형이며 길이 8-9㎜ 크기가 같고 1열로 배열되며 등쪽에 성긴 거친 털이 있다. 설상화(舌狀花)는 없고 통상화(筒狀花)는 긴 관상(冠狀)으로 통부(筒部)는 백색이며 판연(瓣緣)은 적색으로 5열되며 관모(冠毛)는 백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 30-70㎝ 연약하고 성기게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1950 년대에 일본에도 귀화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91 년 全義植 씨에 의하여 남해도 제주도 부산에서 채집되어 보고한 바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Bot. 1: 211 (1912)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
No Image
주엽나무
학명 : Gleditsia japonica Miq.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주엽나무속(Gleditsia)
이명 : 주염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1~2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5~8쌍이고 찌그러진 장 타원형으로 길이 3~5.5cm 나비 3cm이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중륵의 좌우의 나비가 다르다.
꽃 : 꽃은 일가화로 6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수상화서로 달린다. 소화경은 거의 없고 포는 선형이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 5개이고 수술은 9~10개이며 암술대에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협과로 길이 23cm 나비 3cm로 비틀리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수피는 흑갈색 또는 암회색으로 매끈매끈하며 사마귀모양의 피목이 많고 가지가 퇴화한 가시가 있으며 어린가지와 엽축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함북을 제외한 전도에 나며 만주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 교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3: 53 (186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주목
학명 :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과명 : 주목과(Taxaceae)
속명 : 주목속(Taxus)
이명 : 경복 노가리나무 적목 화솔나무
잎 : 잎은 나선상으로 달리지만 옆으로 뻗은 가지에서는 우상으로 보이며 선형이고 길이 1.5-2.5cm 폭 0.3cm정도로서 끝이 뾰족한 미철두(微凸頭)이며 넓은 예저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 2줄의 연한 황색줄이 있으며 중륵이 양쪽으로 도드라지고 잎이 2-3년만에 떨어진다.
꽃 : 꽃은 1가화로서 4월에 피며 수꽃은 6개의 인편으로 싸여 있고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이 있으며 암꽃은 10개의 인편으로 싸여 있다.
열매 : 열매는 8-9월에 익으며 컵같은 적색 종의안에 난형의 종자가 들어 있다. 암수나무가 따로 있는데 암나무는 가을에 동그랗고 빨간 열매가 열리므로 더 아름답다.
줄기 : 높이 17m 지름 1m에 달하고 가지가 퍼지고 큰 가지와 줄기가 적갈색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나 2년후 갈색으로 변한다.
뿌리 : 잔뿌리가 많다.
분포 : ▶일본과 중국 소련에도 분포한다. ▶제주도 울릉도 소백산 전남(지리산) 전북(덕유산) 경기 강원(설악산) 황해도 등의 전국의 표고 700-2 500m의 고산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침엽교목 수형:원추형
유사종 : ▶회솔나무(var. latifolia Nakai) : 엽폭이 3-4.5mm이며 중부 이북과 울릉도에서 자란다. ▶설악눈주목 (T. caespitosa Nak.) : 원줄기가 옆으로 기며 가지에서 뿌리가 발달하여 눈잣처럼 된다. ▶구주주목(T. baccate) : 유럽 북미 북아프리카 등이 원산이며 서구의 정원에 여러가지 모양으로 깎아 다듬어가며 기른다.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소백산의 주목 군락은 천연기념물 제244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면적:45 000ha ⓒ지정사유:학술림 ⓓ수령:200~500년 ▶변재는 폭이 좁으며 황백색이고 심재는 자홍색 또는 맑은 홍색으로 심 변재의 구분이 분명하고 연륜이 뚜렷하다. 목리는 통직하고 재질이 우량하며 특수용재로 쓰이고 가공성이 양호하고 접착성은 보통이며 심재의 내후 보존성은 보통이며 건조와 도장 연삭이 양호하고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fam. natur. II, 108 (184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주름조개풀
학명 :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var. undulatifolius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주름조개풀속(Oplismenus)
이명 : 명들내 털주름풀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3~7cm 폭 1~1.5cm로서 질이 부드럽고 가장자리는 파상으로 주름지며 양면에 긴 털이 있다. 엽설은 매우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6-12cm로서 6-15mm길이의 가지가 8~10개로 갈라지며 소수(小穗)가 밀착하고 소수는 길이 3mm정도로서 대가 거의 없으며 짧은 털이 있다. 포영은 까락이 있고 둘째 것은 보다 길며 3맥이 있다. 첫째 소화의 호영은 길이 3mm정도로서 짧은 까락이 있고 둘째 소화의 호영은 까락이 없으며 열매를 맺는다. 까락에 점액이 생겨서 영과가 들어있는 소수는 옷에 붙는다.
열매 : 익으면 점액을 분비하여 물체에 붙어 산포한다.
줄기 : 높이 10-30cm이며 가늘고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뿌리가 내려 퍼진다. 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곧게 선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민주름조개풀 (var.haponicus Koidz.): 털이 적고 화서의 중축에 긴 털이 없다. ▶참주름조개풀 (for.elongatus Y.Lee) : 가지의 길이가 2-3cm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ss. Agrostogr. 54, 168, 171. (18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