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큰꿩의다리
학명 : Thalictrum kemense Fr.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꿩의다리속(Thalictrum)
이명 : 긴꼭지좀꿩의다리 김꼭지꿩의다리 성긴좀꿩의다리
잎 : 잎은 호생하고 2-3회 3출엽으로서 우상으로 갈라지며 엽병은 짧거나 없고 탁엽에 파상의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에 소탁엽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삼각상 도란형이고 길이 1-3cm 폭 8-20mm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며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뒷면은 분백색이 돈다.
꽃 : 꽃은 7-8월에 지름 5-7mm의 황록색의 꽃이 큰 원추화서로 핀다. 꽃받침잎은 3-4개로서 꽃잎같고 빨리 떨어지며 3맥이 있고 긴 타원형이며 꽃잎이 없다. 수술은 10-17개로 많으며 수술대 끝에 길이 2mm의 꽃밥이 달리고 암술은 2-6개이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3mm로서 8개의 능선이 있고 9월에 익는다. 소과경의 길이가 10-35mm이다.
줄기 : 높이 40-12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털이 없고 능선이 있다.
분포 : 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좀꿩의다리 (Thalictrum minus var. hypoleu-cum(S. et. Z.) MIQ.)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꾸러미풀
학명 : Poa nipponica Koidz.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질긴포아풀 큰꾸렘이풀 큰꿰미풀
잎 : 잎은 편평하며 새포아풀과 비슷하게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10-20cm 폭 3-7mm이고 엽설은 백색 막질로서 길이 약 2mm이며 절두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에 길이 8-15cm정도의 화서가 달린다. 화서는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가지가 2-3개씩 달리고 거칠며 가지마다 잔이삭이 조밀하게 달린다. 잔이삭은 밝은 녹색이지만 흔히 자줏빛이 돌며 길이 4-5mm로서 넓은 난형이고 4~6개의 잔꽃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포영은 피침형이며 1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7mm정도로서 3맥이 있다. 호영은 피침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새포아풀의 것과 비슷하고 5맥이 있으며 내영은 길이
줄기 : 높이 40-50cm이고 곧게 서며 밑부분은 갈라져 어느정도 땅을 긴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저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새포아풀(P. annua L.)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특징 : ▶새포아풀과 실포아풀의 중간형이다. 두 종간의 자연 잡종으로 여겨지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1 : 256 (19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꽃장대
학명 : Dontostemon hispidus Maxim.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가는장대속(Dontostemon)
이명 : 북꽃장대 큰장대 큰장때
잎 : 잎은 어긋나고 버들잎 모양이며 가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연한 붉은 자주색 꽃이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산방상(?房狀) 총상(總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가늘고 긴 각과(角果)를 맺는다.
분포 : 평북 함북 등지에 분포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anges biol. Acad. Sci. St. Petersbourg 9: 11 (1873)
참고문헌 :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꽃으아리
학명 :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으아리속(Clematis)
이명 : 개비머리어사리
잎 : 잎은 3출 또는 우상복엽이며 대생하고 3-5개의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첨두 또는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4~10cm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난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5-10cm로서 백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열편은 6-8개이고 넓은 난형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같이 보이나 꽃잎은 없다. 암술과 수술은 여러 개인데 수술대는 편평하고 암술대는 끝 부근에 복모가 있다. 꽃대에는 포가 없다.
열매 : 수과는 난형으로 9-10월에 익고 갈색털이 있는 긴 암술대가 그대로 달려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늘고 길며 잔털이 있고 길이 2~4m 정도 자라며 갈색이고 덩굴성이다.
뿌리 : 국수발 굵기의 연갈색 뿌리가 사방으로 내린다.
분포 : ▶중국과 만주 등지에도 자란다. ▶전국 각처 표고 100~850m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성 활엽 만경목 수형:만경형
특징 :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Clematis 속 가운데 꽃의 관상가치가 가장 크다.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 심어 반그늘을 만들어 주면 오랫동안 아름다운 꽃을 감상할 수 있다. ▶열매가 마치 종자같이 보인다. 깃털모양으로 변한 암술대는 전체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상을 이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Roy. Sci. Buxelles 3: 171 (183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큰꽃땅비싸리
학명 : Indigofera grandiflora B.H.Choi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땅비싸리속 (Indigofera)
잎 : 잎은 홀수 깃꼴겹잎으로 소엽은 좁은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분홍색으로 피며 5개의 꽃잎은 접형화관이다. 암술은 1개 수술은 10개인데 이 중 9개는 융합되어 있다.
열매 : 열매는 꼬투리 모양으로 신장형의 종자가 들어 있다.
분포 : 한반도(가야산)
형태 : 관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큰꼭두서니
학명 : Rubia chinensis Regel & Maack var. chinensis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꼭두서니속(Rubia)
이명 : 큰꼭두선이
잎 : 잎은 4개가 윤생하며 난형 예두 원저이고 길이 6~10cm 폭 2.5~5cm로서 털이 없으며 끝을 향한 5-7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추화서는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고 소화경이 있으며 꽃받침에 털이 없고 열편은 뚜렷하지 않으며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지름 3~4mm이다. 수술은 5개이고 자방에 털이 없으며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 지름 약 5mm인 장과이며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곧게 서거나 옆으로 비스듬히 넘어지며 가시나 털이 없다.
뿌리 : 가는 근경이 있다.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기본종은 전체에 털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큰꼬리풀
학명 : Veronica linariifolia var. dilatata (Nakai & Kitag.) Nakai & Kitag.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개불알풀속(Veronica)
이명 : 큰가는잎꼬리풀큰자주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같이 되며 길이 4-8cm 폭 5-8mm로서 특히 뒷면 맥위에 굽은 털이 있고 윗부분에 톱니가 약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청자색이고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10-30cm로서 짧고 굽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2mm로서 4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화관은 지름 6mm로서 4개로 갈라져서 거의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꽃받침보다 다소 길고 편원형으로서 끝이 파지며 길이 6-7mm의 암술대가 달려 있다.
줄기 : 높이 40-70cm이고 흔히 가지가 다소 갈라지며 위를 향한 굽은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산야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꼬리풀 Veronica linariaefolia PALL. : 기본종 ▶흰꼬리풀 for. alba T.LEE : 백색 꽃이 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 First Sci. Exped. Manchoukuo sect. 4: 4: 45, 93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껍질새
학명 : Melica turczaninowiana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쌀새속(Melica)
이명 : 큰껍질쌀새 큰쌀새
잎 : 엽신은 편평하고 길이 15-20cm 넓이 8-12mm로서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껄껄하다. 엽초는 털이 없고 밀폐되었다. 엽설(葉舌)은 막질로서 투명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3mm로 끝이 찢어진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옆으로 퍼지며 길이 10-20cm이고 가지는 길이 8cm까지 자란다. 소수는 자주빛을 띠고 2-3개의 소화가 들어 있으며 길이 12-15cm이다. 포영은 크기가 같으며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자줏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넓으며 막질이고 길이 8mm에 5-7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며 끝이 얕게 갈라진다. 내영은 녹색이고 신짝 같으며 호영 길이의 2/3정도로서 2개의 능선이 있고 능선 위에 잔털이 있다.
줄기 : 높이 25-100cm이고 곧게 자란다.
분포 : ▶한국 중국동부 몽골 러시아극동부와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2): 142-143. (19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까치수염
학명 : Lysimachia clethroides Duby
과명 : 앵초과(Primulaceae)
속명 : 까치수염속(Lysimachia)
이명 : 민까치수염 큰까치수영 큰꽃꼬리풀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6-14cm 넓이 2-5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원줄기에 달리거나 길이 1-2cm의 엽병으로 되고 양면에 황색의 권모(卷毛)가 드물게 있고 흑색의 선점도 산재한다.
꽃 : 6-7월에 원줄기 끝에서 한쪽으로 굽은 총상화서가 나와서 백색 꽃이 밀착하며 화서는 길이 10-20cm이지만 결실기에는 길이가 40cm에 이른다. 소화경은 길이 6-10mm로서 잔털이 있으며 밑부분에 선상의 포가 달린다. 꽃부분은 5수이고 꽃받침잎과 꽃잎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지름 8-12mm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삭과는 둥글고 지름 2.5mm정도이며 숙존한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줄기는 원주형이며 곧게 서고 붉은빛을 띠고 윗부분에 털이 있다. 보통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러시아극동부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8 : 61 (DC., 1844)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큰김의털
학명 : Festuca arundinacea Schreb.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잎 : 잎은 길이 10-60㎝ 폭 3-10㎜로 털이 없다. 엽초는 기부(基部)까지 갈라지며 둥글며 피침형(披針形)의 엽이(葉耳)가 줄기를 감으며 성긴 털이 줄지어 난다. 엽설(葉舌)은 높이 1-2㎜이다.
꽃 : 6-8월에 꽃이 피며 원추화서(圓錐花序)는 길이 20-50㎝ 곧게 서거나 조금 기울어졌다. 한 마디에 2개의 가지가 있으며 하나는 길고 하나는 짧다. 소수(小穗)는 길이 1-1.5㎝ 5-9개의 소화(小花)로 이루어지며 녹색 또는 보라색이다. 제1포영은 길이 3.5-6㎜로 1맥 제2포영은 5-7㎜로 3맥이 있다. 호영(護潁)은 5맥이며 중앙맥 끝에 길이 1-3㎜의 까락(芒)이 있거나 드물게는 없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이며 끝쪽 능선(稜線)
줄기 : 줄기는 뭉쳐나며 높이 40-180㎝로 곧게 자란다.
분포 : 서울 한강 고수부지를 비롯하여 경기도의 대부도에 이르기까지 중부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근년에 사방용으로 들어와 야생화된 것으로 북아메리카 일본에도 귀화되어 있다. 식물 전체가 몹시 거칠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pic. fl. lips. 57 (1771)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
No Image
큰기린초
학명 : Sedum aizoon var. latifolium Maxim.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돌나물속(Sedum)
이명 : 고려꿩의비름 넓은가는기른초 )넓은잎가는기린초 만주꿩의비름 묏꿩의비름 왕꿩의비름 큰꿩의비름 큰잎기린초
잎 : 잎은 어긋나고 장타원형 또는 도란형의 바소꼴이며 육질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이 쐐기 모양이다. 잎 가장자리에 거친 거치가 있고 엽병은 거의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 모양의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바소꼴의 줄 모양이며 끝이 뭉툭하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5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이 5개이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원주형이며 높이가 50cm에 달한다.
분포 : 경기 충북 진천 충남 계룡산 강원 설악산 전남 진도 함남 부전고원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Sci. St. Petersb. Sav. Etrang. 9 : 115 (185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기름새
학명 : Spodiopogon sibiricus Trin.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기름새속(Spodipogon)
이명 : 이들메기
잎 : 잎은 편평하며 선형이고 길이 20-40cm 폭 1-1.5cm로서 털이 다소 있거나 없다. 엽초는 털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잔털이 발생하며 엽설은 길이 1-1.5mm로 막질이고 끝이 둥글며 갈색이고 털이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1-25cm 폭 2-5cm로서 곧게 서며 중축과 가지에 털이 없고 희미한 유선(油腺)이 있다. 가지는 길이 4-6cm로서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퍼지며 때로는 가지가 다소 갈라지고 흔히 윤생한다. 수상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2-3.5cm로서 곧게 서고 마디사이와 소화경의 길이가 비슷하며 길이 2-3mm로서 끝이 굵고 속모가 있다. 소수(小穗)는 대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각 마디에 달리며 좁은 난형이고 길이 4
줄기 : 높이 80-120cm이고 털이 없으며 곧게 서고 가지는 2-4개의 마디가 있으며 마디에는 털이 있다.
뿌리 : 인엽이 덮인 긴 근경이 가로로 뻗는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und. Agrost. 192 (182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금매화
학명 : Trollius macropetalus (Regel) F.Schmidt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금매화속(Trollius)
이명 : 겹금매화
잎 : 근출엽은 긴 엽병이 있고 원심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4-12cm로서 털이 없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원줄기에 엽병이 없는 잎이 2-3개 달리고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작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4cm정도로서 황색이고 원줄기 또는 가지끝에 1개씩 달리며 타원형의 꽃받침잎은 5-7개로서 꽃잎같고 옆으로 퍼진다. 지름 3-5cm의 동황색꽃이 줄기와 가지끝에서 핀다. 꽃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수술보다 길고 수술 및 암술은 많다.
열매 : 골돌은 길이 10cm로서 모여 달리고 끝에 뾰족한 암술대가 붙어 있으며 암술대는 길이 2.5-4mm이다.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줄기는 곧게서고 털이 없다.
뿌리 : 암갈색의 가늘고 긴 뿌리가 뭉쳐나며 뿌리에서 2-3개의 엽병이 긴 잎이 나온다.
분포 : ▶북한 중국 러시아 극동부지방에 분포한다. ▶부전고원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애기금매화 (T.japonicus MIQ.)
특징 : 애기금매화와 달리 꽃잎이 수술보다 길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t.-Petersbourg, Ser. 7, 12 : 88 (186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금계국
학명 : Coreopsis lanceolata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기생초속(Coreopsis)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경생엽은 대생하고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단순하지만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으며 밑에서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다소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며 두화는 긴 화경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4-6cm이며 화경은 길이 20-40cm이다. 총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각가가 8개씩이며 외포편은 엽상으로서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고 길이 4-8mm이며 내포편은 난형이고 길이 8-13mm이다. 설상화는 8개이며 도삼각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1.3-3cm로서 끝이 깊은 톱니처럼 갈라지며 통상화는 황색이다.
열매 : 수과는 둥글고 길이 2.3-3mm로서 얇은 날개가 있으며 날개는 나비 0.5-0.8mm이고 관모는 2개가 있거나 없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여러대가 나온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구와꼬리풀
학명 : Veronica pyrethrina Nakai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개불알풀속(Veronica)
이명 : 가새잎꼬리풀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우상으로 완전히 또는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둥글며 톱니가 약간 있거나 결각상이고 길이 3~5cm 폭 1~2cm로서 양면에 연한 털이 다소 밀생한다.
꽃 : 8월에 개화하고 정생하는 총상화서는 길이 8~10cm로서 꼬부라진 털이 다소 밀생하고 꽃이 밀착하며 소포는 선형이고 길이 2mm로서 소화경 및 꽃받침열편과 길이가 비슷하며 소화경이 보다 긴 것도 있다. 화관은 길이 3-4mm로서 벽자색이고 수술은 2개로서 밖으로 나오며 암술대에 복모가 다소 있다.
열매 : 삭과는 납작한 도란상 원형이고 끝이 파지며 길이 5mm의 암술대가 달려있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줄기에 퍼진 털이 있으며 전체에 연한 백색의 털이 밀생한다.
분포 : 경상북도 대구 교외에 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9: 160 (194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큰구슬붕이
학명 : Gentiana zollingeri Faw.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이명 : 큰구실봉이 큰구실붕이
잎 : 근생엽은 경생엽보다 작고 경생엽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밑부분이 합쳐져서 짧은 엽초로 되며 길이 5-12mm 나비 3-10mm로서 가장자리가 두껍고 백색이며 잔돌기가 있고 뒷면은 흔히 적자색이 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자줏빛이 돌고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몇 개씩 모여 달리며 화경이 극히 짧거나 없다. 꽃받침통은 길이 5~7mm이고 5개로 중열하며 길이 5-7mm이고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통부 길이의 1/2정도이며 화관은 길이 18-25mm로서 꽃받침보다 2-2.5배 길고 열편 사이에 부편이 있다.
열매 : 삭과로 짧고 과병이 이어서 밖으로 나오며 종자는 방추형이고 많이 들어 있으며 6~7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5-10cm정도이며 능선과 잔돌기가 있고 분지하지 않는다.
뿌리 : 가늘고 짧으며 근생엽은 개화시에 마른다.
분포 : 전국 산야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형태 : 이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Bot. 21 : 183 (1883)
1)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32: 508 (Maxim., 188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큰괴불주머니
학명 : Corydalis gigantea Trautv. & Meyer
과명 : 현호색과(Fumariaceae)
속명 : 현호색속(Corydalis)
이명 : 큰뿔꽃 )
잎 : 잎은 호생하고 2~3회 우상으로 전열하며 열편은 2~3개로 깊게 갈라지고 소열편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6∼8월에 자색으로 피며 잎짬에서 나는 총상화서에 다소 인접하여 달린다. 소화경은 5~10mm이고 한쪽으로 가늘고 긴 거가 있으며 포는 선형으로 일찍 떨어진다. 수술은 6개가 양체를 이룬다.
열매 : 과실 삭과이다.
줄기 : 속이 비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마디가 관절로 된다.
분포 : 함남(부전고원 노봉 동백산)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iddend. Reise Sib. 1-3 : 13(1856); Nakai, Fl. Kor. 2 : 48(1911)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고추풀
학명 : Gratiola japonica Miq.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큰고추풀속(Gratiola)
이명 : 등에고추풀큰등에풀큰물벼룩알풀
잎 : 잎은 대생 엽병은 없고 피침형 길이 1.5-3cm 폭 5-7mm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밑부분에서 3맥이 나타난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엽액에 1송이씩 달리고 소화경은 없고 소포는 꽃받침열편과 비슷하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거의 밑부분까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다. 화관은 길이 6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다소 양순형이고 통부가 길며 수술은 2개로서 통부에 달려 있으며 헛수술이 2개 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지름 4-5mm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종자는 피침형이고 길이 0.7mm이다.
줄기 : 높이 10-25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짐.
형태 : 일년초.
특징 : 이와 비슷한 진땅고추풀보다 크기 때문에 큰고추풀이라고 하며 고추풀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nn. Mus. Bot. Lugduno-Batavi 2: 117 (186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큰고추나물
학명 : Hypericum attenuatum var. confertissium (Nakai) T.B.Lee
과명 : 물레나물과(Guttiferae)
속명 : 물레나물속(Hypericum)
잎 : 잎은 대생하지만 다소 밀생하며 긴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고 중앙부의 잎은 길이 3cm 폭 1.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흑색 점이 다소 밀포하고 윗부분의 잎은 흑색 점이 가장자리에만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원줄기 끝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화경과 소화경이 짧기 때문에 뭉쳐있는 것같이 보인다. 꽃받침잎은 피침상 타원형이고 길이 3.5mm로서 털이 없으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의 큰 흑색점이 있고 꽃잎도 길이 5mm로서 큰 흑색 점이 있다.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고 3실이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줄기는 원주형이며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제주도 한라산 지리산에 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고추나물에 비해 전체적으로 대형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Fl. kor. 546 (1980)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큰고양이수염
학명 : Rhynchospora fauriei Franch.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골풀아재비속(Rhynchospora)
이명 : 큰골풀아재비
잎 : 잎은 화경밑에서 총생함과 동시에 2-3개는 화경에 달리며 길이 10-30㎝ 폭 1.5-2.5mm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40-60㎝이다. 7-10월 개화. 화서는 2-3개가 떨어져 있으며 많은 소수가 배게 붙어있고 길이와 지름이 각각 1.5-2㎝이다. 포는 잎같으며 길이 5-8㎝이고 소수는 길이 8-9m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짙은 적갈색이고 소수의 피침상 인편과 더불어 1-2개의 꽃이 달린다. 암술대는 수과보다 3배정도 길며 암술머리는 2개이다. 화피열편은 침형이고 6개이며 수과보다 3-4배 길고 밑을 향한 잔돌기가 있다.
열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2mm정도로서 수과의 길이와 비슷한 부리가 있다.
줄기 : 총생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Philom. Paris. 7: 10: 104 (18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