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큰뚝새풀
학명 : Alopecurus pratensi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뚝새풀속(Alopecurus)
잎 : 잎은 길이 20-40㎝ 폭 3-5㎜로 털이 없으며 백록색이다. 엽초는 엷은 녹색으로 때로는 아래쪽이 자갈색을 띠기도 하며 엽설(葉舌)은 높이 1-2㎜정도이다.
꽃 : 화서(花序)는 원주형(圓柱形) 길이 5-8㎝ 폭 6-10㎜ 엷은 초록색이거나 보라색을 띠기도 한다. 5-7월에 꽃이 핀다. 소수(小穗)는 길이 4-5㎜로 납작한 1소화로 되며 포영(苞潁)은 같은 크기이고 3맥 중앙맥을 경계로 접혀져 있고 중앙맥에 길고 연한 털이 밀생한다. 호영은 4맥이 있고 등쪽기부 근처에서 1㎝ 내외의 까락(芒)이 1개 있다. 꽃밥은 외부로 돌출되며 길이 2-3㎜로 진한 황색이거나 자색이다.
줄기 : 짧은 뿌리줄기가 있고 줄기는 높이 50-100㎝로 곧게 서며 여러 개가 뭉쳐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우리 나라에는 목초로 재배되던 것이 일출(逸出)되어 야생 상태로 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
No Image
큰뚝사초
학명 : Carex humbertiana Ohwi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굵실사초
잎 : 엽초는 적갈색이며 엽신이 있고 실같은 섬유가 남지 않는다. 잎은 납작하며 나비는 3-4㎜로서 회록색이다.
꽃 : 소수(小穗)는 3개이고 웅소수(雄小穗)는 길이 3-4cm로서 끝에 달리며 측소수는 암꽃이고 짧은 원주형이며 길이 4cm 지름 5-6mm로서 서로 접근해 있고 곧추서며 짧은 대가 있다. 포는 밑부분의 1-2개는 잎같고 자화영(雌花穎)은 좁으며 긴 타원형이고 적혈색으로서 끝이 둔하다. 암술대는 짧고 밑부분이 굵지 않으며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열매 : 과포는 편평한 넓은 도란형이며 길이 3㎜정도로서 잔점과 맥이 있고 부리는 짧으며 끝이 약간 파진 듯하지만 밋밋하다. 수과는 떨어져 있고 길이 2mm정도로서 도란형이다.
줄기 : 높이 30-50cm이며 예리하게 세모지고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분포 : 함북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2: 102 (19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땅빈대
학명 : Euphorbia maculata L.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대극속(Euphorbia)
이명 : 애기땅빈대
잎 : 잎은 대생하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cm 폭 6~12mm로서 끝이 둔하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 8-9월에 소형으로 피며 가지 끝에 몇 개의 배상화서가 달리고 1개의 수술로 구성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된 암꽃이 술잔 같은 총포속에 들어 있으며 선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털이 없고 지름 1.7mm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으며 평활하고 종자는 사각상 난형이며 길이 1-1.2mm로서 흑갈색이고 옆으로 달린 2-3개의 주름살이 있다.
줄기 : 높이 20-60cm이고 원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유럽과 아시아에 귀하. ▶국내에서는 중부와 남부 지방 하천변 고수부지에 분포.
형태 : 1년초.
유사종 : ▶땅빈대(E. humifusa Will.): 전체에 털이 약간 있고 자르면 흰 즙액이 나온다. ▶애기땅빈대(E. supina): 잎과 줄기에 흰 털이 퍼져 나고 열매는 삭과 털이 있다.
특징 : 땅빈대와 애기땅빈대에 비해 잎이 크고 삭과에 털이 없음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큰등갈퀴
학명 : Vicia pseudoorobus Fisch. & C.A.Mey.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큰갈퀴 큰등갈키 큰등말굴레풀
잎 : 잎은 2-5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끝에 있는 덩굴손은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소엽은 난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길이 3-5cm 나비 15-30mm로서 마르면 황갈색이 돌고 뒷면의 엽맥이 튀어나오며 탁엽은 녹색이고 뾰족하게 갈라진다.
꽃 : 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길이 4-8cm로서 화경이 길고 중앙 이상에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꽃은 9월에 피며 길이 13-15mm로서 자주색이고 꽃받침잎은 낮은 삼각형이다.
열매 : 협과는 길이 25-30mm로서 털이 없고 적갈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둥글고 흰색이다.
줄기 : 길이 80-150cm이고 털이 다소 있거나 없다.
형태 : 다년생 덩굴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dex Sem. Hort. Bot. Petrop. 1: 41 (1835)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듬성이삭새
학명 : 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Nees ex Steud.) Honda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나도바랭이새속(Microstegium)
이명 : 나도바랭이 나도바랭이새
잎 : 잎은 길이 4~10cm 나비 5~12mm이고 엽설은 높이 0.5mm이며 엽초는 구부에만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5~7cm의 가지 1~3개가 나온다. 소수는 길이 3.5~5.5mm이고 녹색이며 자루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각 마디에 대생하여 달리고 마디 사이와 더불어 비스듬히 나는 털이 드문드문 있다. 제1포영은 중앙맥이 없고 양측에 2맥씩 있으며 옆으로 소맥이 이어지고 제2포영은 3맥으로 중앙맥을 따라 겹쳐진다. 제1소화는 무성이고 제2소화는 양성으로 호영의 끝이 얕게 2열하며 수술은 3개이다.
줄기 : 줄기의 기부가 땅 위를 기며 마디에서 뿌리를 내며 가지친다.
형태 : 1년초
특징 : 까락이 길이 1.5cm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Coll. Sci. Imp. Univ. Tokyo sec. 3. 3:408. (1930)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두루미꽃
학명 : Maianthemum dilatatum (Wood) A.Nelson & J.F.Macbr.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두루미꽃속(Maianthemum)
잎 : 잎은 밑부분의 것은 비늘같으며 정상엽은 2개로서 호생하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10cm 폭 2.5-8(10)cm이고 가장자리의 세포는 반원형이고 희미한 톱니같이 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10여개 달리고 총상화서는 원줄기와 연속되며 길이 2-3㎝로서 백색꽃이 핀다. 소화경은 길이 3-7mm이고 화피열편은 타원형이며 길이 2mm로서 수평으로 퍼져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화피보다 짧고 암술대는 길이 0.8mm정도로서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둥근 장과는 지름 5-7mm정도로서 적색으로 익고 종자가 3개씩 들어있으며 지름 3mm정도로 둥글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 8-25cm정도 되고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울릉도 및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두루미꽃(M. bifoloum (L.) F. W. Schmidt) : 전국의 높은 산에 생육하며 큰두루미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체가 작으나 새싹이 나올 때는 더 굵다.
특징 : ▶우리나라의 특산식물로서 두루미꽃과 비슷하지만 전체가 크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잎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르다. 속명 Majanthemum은 majos(5월)과 anthemon(꽃)의 합성어로 화기(花期)의 특색에서 유래되었다.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은 같은 종류의 식물이라 할지라도 자생지에 따라 형태에 있어 독특한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종류의 지역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Gaz. 61: 30 (191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돌단풍
학명 : Mukdenia rossii f. multiloba (Nakai) W.T.Lee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돌단풍속(Mukdenia)
잎 : 잎은 길이가 20cm정도 자라며 근경의 끝이나 그 근방에서 1-2개씩 포린(苞鱗)에 싸여 나오지만 여러개가 한 곳에서 나온 것처럼 보이고 인편의 막질숙존포(膜質宿存苞)가 밀착해 있다. 잎은 긴 엽병끝에 장상엽이 달리며 12개 내외로 갈라진 잎끝은 거치가 있다. 열편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털이 없으며 표면은 윤채가 있다. 잎은 황록색 또는 연록색으로 신선한 감을 주며 가을에 단풍이 예쁘게 든다.
꽃 : 화경은 잎이 없고 5월에 비스듬히 자라서 높이가 30cm에 달하며 백색 바탕에 약간 붉은 빛이 도는 꽃이 원추화서를 형성한다.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각각 6개이고 꽃받침잎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예두로서 흰빛이 돌고 꽃잎은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로서 꽃받침보다 짧고 꽃받침과 더불어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꽃잎보다 약간 짧으며 1개의 암술이 있다. 자방은 반하위이고 2실이다.
열매 : 꽃핀 뒤 계란꼴의 열매가 생겨나 익으면 2개로 갈라지고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뿌리 : 비대한 근경에 잔뿌리가 드물게 나 있으며 갈색비늘잎으로 덮인다.
분포 : 충청도 이북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돌단풍(A. rossii Engl.): 잎은 긴 엽병끝에 5-7개로 갈라진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p. 450 (W.T.Lee, 1996)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큰도둑놈의갈고리
학명 : Desmodium oldhami Oliv.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도둑놈의갈고리속(Desmodium)
이명 : 큰갈구리풀큰도둑놈의갈구리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길며 기수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5-7개이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8-16cm 나비 3-6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엽병이 짧으며 정소엽이 약간 크다.
꽃 : 원줄기 끝에서 자라는 1-5개의 총상화서는 길이가 30cm에 달하고 꽃은 8월에 피며 길이가 8mm정도로서 연한 홍색이고 2개씩 달린다. 포는 일찍 떨어지며 협과병(莢果柄)은 길이 7-12mm로서 밑부분에 1개의 소포가 있고 수술대의 통은 길이 7mm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꼬투리는 길이 20-40mm로서 1-2개의 마디와 더불어 갈고리 같은 털이 있고 길이 8-10mm의 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협과 2개의 마디 길이 2~8mm 밑으로 처지고 갈고리 모양의 털이 퍼져 나며 마디 조각은 반달형이다.
줄기 : 높이 1-1.5m이고 굵은 털과 잔털이 있으며 대개 여러 대가 나와서 포기를 형성한다.
뿌리 : 뿌리는 목질
분포 : 각처의 산이나 들에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for.alba T.LEE : 백색 꽃이 피며 내장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9: 165 (1865)
참고문헌 : 1) 국가식물목록심의자료I (국가식물목록위원회, 2001)
-
No Image
큰도꼬마리
학명 : Xanthium canadense Mil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도꼬마리속(Xanthium)
이명 : 창이자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며 길이 6-12㎝의 긴 잎자루가 있고 잎새는 난형(卵形) 또는 광란형(廣卵形)이며 두껍고 3천열(淺裂) 또는 중열(中裂)이 되며 열편은 3각형을 이루며 끝이 뾰족하다. 3맥이 뚜렷하며 잎 가장자리는 크기가 다른 끝이 뾰족한 톱니가 뚜렷하고 표면이 거칠다.
꽃 : 꽃ㅇ느 8-9월에 피며 가지나 줄기 끝에 원추화서(圓錐花序)를 이룬다. 자웅동주(雌雄同株)로 수꽃의 두화(頭花)는 둥글며 화서(花序) 끝에 달리고 암꽃은 수꽃 밑에 부착한다. 암꽃의 총포는 타원형이고 밀집 부착되며 길이 2-2.5㎝ 폭 1-1.8㎝ 위쪽에 끝이 굽은 부리 모양의 돌기가 2개가 있고 길이 3-6㎜의 사마귀 모양의 선점(線點)이 산재한다.
줄기 : 줄기는 높이 50-200㎝ 표면이 거칠고 반점(班點)이 있다.
분포 : 춘천에서 발견되었으며 최근에는 서울의 난지도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서는 이우철 정현배 양씨에 의하여 1972년 춘천에서 채집되고 `큰도꼬마리`로 국명을 발표하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d. fl. dict. ed. 8: n. 2 (1768)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communis var. hortensis Makino
과명 :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속명 : 닭의장풀속(Commelina)
특징 : 닭의장풀의 원예종으로 꽃이 크고 아름다워 재배하고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큰닭의덩굴
학명 : Fallopia dentatoalata (F.Schmidt) Holub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닭의덩굴속(Fallopia)
이명 : 왕모밀덩굴 참덩굴메밀
잎 : 잎은 호생하고 화살 모양의 난형이며 길이 3-6cm 폭 2.5-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심장저이며 양쪽 돌기의 끝이 둔하다. 엽병은 길이 1-6cm이고 엽초는 길이 3-6mm이다.
꽃 : 황록색의 꽃은 9-10월에 피고 수상화서는 가지 끝과 엽액에서 나오거나 엽액에 모여 달리며 잎 모양의 포가 있고 아래로 처진다. 화피는 길이 2mm정도로서 꽃이 핀 후 자라며 3개의 바깥 열편은 뒷면에 날개가 있고 소화경으로 흘러 도란형으로 되며 끝이 오목하고 나비 5-6mm이며 소화경의 윗부분과 더불어 길이 8-9mm이다. 소화경의 날개가 없는 부분은 길이 6mm정도이다. 수술은 8장 암술대는 3개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삼각상 심장형이며 길이 4-4.5mm정도로서 다소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줄기 : 덩굴성으로서 잔털같은 돌기가 있고 길이 1m정도 뻗는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난다.
형태 : 덩굴성 1년생 초본.
유사종 : ▶나도닭의덩굴(B. convolvulus): 잎은 화살 모양의 심장형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녹백색 엽초 모양의 턱잎은 원통형이다. ▶닭의덩굴(B. dumetora): 잎은 길이 5-7cm 열매는 수과 세모진 타원형 흑색 광택이 난다.
특징 :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olia Geobot. Phytotax. 6: 176 (197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달뿌리풀
학명 : Phragmites karka (Retz.) Trin. ex Steu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갈대속(Phragmites)
이명 : 왕갈 큰달
잎 : 잎은 호생하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길이 20-50㎝ 나비 2-3㎝로서 엽초 윗부분에 자줏빛이 돌며 엽설은 소형이고 길며 입구에 털이 있고 털이 줄로 돋은 것같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25-35cm로서 자주색이며 가지가 거의 윤생하고 (小軸)소축 및 그 밖의 부분에 긴 털이 있으며 소수는 길이 7-12mm로서 3-4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거의 같고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3맥이 있고 호영보다 길다. 첫째 호영은 웅성(雄性)이며 길이 6-10mm로서 좁은 피침형이고 다른 것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양성이며 모두 3맥이 있고 기반(基盤) 양쪽에 긴털이 있다. 안쪽 호영은 길이 2-3mm이며
줄기 : 속이 비고 마디에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은 지상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울릉도의 통구미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특징 : 현재 이 식물은 멸종한것 같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mencl. bot. (ed. 2) 1: 144. (184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큰달맞이꽃
학명 :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s
과명 : 바늘꽃과(Onagraceae)
속명 : 달맞이꽃속(Oenothera)
이명 : 왕달맞이꽃
잎 : 잎은 호생하고 타원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근생엽은 도피침형이며 방사상으로 퍼진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달리고 밤에 피었다가 아침에 지며 꽃밑에 녹색포가 2개 달려 있다. 4개의 꽃받침잎은 2개씩 붙어 있는데 꽃이 필 때 뒤로 젖혀지며 꽃잎은 4개로서 끝이 파지고 수술은 8개 암술대는 4개로 갈라지며 자방은 하위이다.
열매 : 삭과는 털이 있으며 익은 후 4개로 갈라져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곧은 줄기에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굵고 곧은 뿌리가 있다.
분포 : 귀화식물로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 월년생 초본
유사종 : ▶달맞이꽃: 칠레 원산으로 높이 50-90cm. 꽃은 노란색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붙고 저녁때 피었다가 아침에는 조금 붉은 빛을 띠며 시든다.
특징 : 월년초이고 잎이 도란상 피침형이며 삭과에 털이 없는 것이 달맞이꽃과의 차이점임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agyar Bot. Lapok. 245 (190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큰다닥냉이
학명 : Lepidium sativum L.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다닥냉이속(Lepidium)
이명 : 큰냉이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거나 없고 피침형이며 밑부분의 것은 우상으로 갈라지고 윗부분의 것은 선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으며 매우 작으며 총상화서는 곧고 길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꽃잎은 길이 2mm정도이며 6개의 수술 중 4개가 길다.
열매 : 각과는 긴 타원상 난형이고 길이 5~6mm로서 끝이 약간 오목하며 위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줄기 : 전체에 털이 없으며 높이 20-80cm이고 회청색이 돈다.
분포 : 평안도와 함경도의 화전 지대에서 재배한다.
형태 : 2년초
특징 : L.macrocarpum 은 잘못 명명된 것으로서 본종(本種)과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1906년 FAURIE 신부가 원산에서 채집한 이래 북부지방의 각처에서 채집되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는쟁이냉이
학명 : Cardamine komarovii f. macrophylla (T.H.Chung) W.T.Lee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냉이속(Cardamine)
이명 : 큰숟가락황새냉이
잎 : 근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길고 거의 원형으로 큰 톱니가 있으며 우상으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경엽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엽병은 짧고 날개가 있으며 기부에 우상의 것이 발달하여 줄기를 감싸고 깊은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4개로 난상 피침형이며 꽃잎은 4개로 도란형이고 수술은 6개 중 4개가 길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 : 과실은 각과로 3cm 내외이며 양끝이 뾰족하다.
줄기 : 상부에서 가지친다.
분포 : 강원(대암산) 함남(삼방) 평남(묘향산)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406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네잎갈퀴
학명 : Vicia venosa var. albiflora (Turcz.) Maxim.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긴네잎갈키 좀네잎갈퀴 좀네잎말굴레 큰나래갈퀴
특징 : 연리갈퀴에 비해 소엽이 보통 3쌍이고 난상 피침형 또는 난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l. Biol. 9 : 66 ()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큰나비나물
학명 : Vicia unijuga var. ouensanensis H.Lev.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잎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짧으며 1쌍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소엽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10cm 나비 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둔저이고 탁엽은 2개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 : 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길이 2-4cm로서 많은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고 화경은 길이 0-6cm로서 일정하깆 않으며 밑에서부터 흔히 갈라지고 꽃은 8월에 피며 길이 12-15mm로서 홍자색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의 선형 조각으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서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3cm이며 털이 없다. 종자는 4~5개이다.
줄기 : 여러대가 한군데에서 나와 곧추 또는 약간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원줄기는 능선으로 인하여 네모가 진다
뿌리 : 땅 속에 단단한 목질의 근경이 있고 뿌리가 건장하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애기나비나물 var.kausanensis LEV.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전체가 작으며 높은 산에서 자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큰나무수국
학명 : Hydrangea paniculata f. grandiflora Ohwi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수국속(Hydrangea)
이명 : 일본수국
잎 : 잎은 대생하나 때로 3윤생하며 타원형 난형이고 급첨두 원저로 길이 5-12cm 폭 3-8cm로서 표면에 처음에는 털이 약간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로서 맥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중성화만 달리며 가지끝에 큰 원추화서를 이루고 꽃받침잎은 꽃잎 모양으로 원형에 가깝고 백색이지만 약간 붉은 빛이 돌기도 한다. 꽃이 쓰러진 다음에도 모양이 변화되지 않고 그대로 겨울까지 달려있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나무수국(H. paniculata Sieb.): 꽃은 양성화와 중성화가 한 화서에 달린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큰끈끈이여뀌
학명 : Persicaria viscofera var. robusta (Makino) Hiyama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ersicaria)
잎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예첨두(銳尖頭) 둔저(鈍底)이며 길이 4-10cm 폭 1-2cm로서 엽병이 거의 없다. 식물체가 크고 전체에 털이 적거나 잎 뒷면 맥 위와 표면 전체 또는 가장자리에만 털이 있다. 초상의 탁엽은 길이 5-10mm로서 가장자리에 수염같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2mm정도로서 짧은 화경(花莖)이 있으며 녹색 또는 연한 홍색이다. 수상화서는 10 여개가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3-5cm로서 곧추서고 화경의 일부에서 점액을 분비한다. 화피는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수술은 8개로서 화피보다 짧고 자방은 도란형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흑색이고 세모진 도란형이며 길이 1.8-2mm이고 화피로 싸여 있다.
줄기 : 높이 40-80cm이고 비스듬히 퍼진 털이 있으나 끈끈이여뀌에 비해 전체에 털이 적으며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전국 각지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특징 : 식물체가 끈끈이여뀌보다 크고 전체에 털이 적거나 잎 뒷면 맥 위와 표면 전체 또는 가장자리에만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36: 67 (19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큰꿩의비름
학명 :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Ohba
과명 : 돌나물과(Crassulaceae)
속명 : 꿩의비름속(Hylotelephium)
잎 : 잎은 대생 또는 윤생하며 육질이고 난형 도란형 또는 주걱형으로 길이 4~10cm 나비 2~5cm이며 엽병이 없고 가장 자리는 밋밋하거나 다소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산방상 화서에 많은 꽃이 빽빽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선상 피침형 꽃잎은 5개로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5~6mm로 꽃받침보다 3배 정도 길다. 수술은 10개로 길이 6~7mm 꽃밥은 자주색이 돌고 심피는 5개이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곧추서며 끝이 뾰족하다.
줄기 : 녹백색이고 굵은 뿌리에서 몇 개의 줄기가 나온다.
분포 : 경기 이북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90 : 52, Fig. lc (197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