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큰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kamtschatica (Pall.) Maxim.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터리풀속(Filipendula)

    잎 : 수 개의 경엽이 어긋나며 큰 광란형으로 밑은 심장형이고 흔히 장상으로 5열하며 열편은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으로 결각상 겹거치가 있고 엽맥 위에 섞인 털이 있고 엽병에는 극소한 작은잎 몇 조각을 착생하며 턱잎은 반심장형으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여름철에 줄기끝에 가지를 치고 취산상 산방꽃차례를 이루어 다수의 희고 작은 꽃을 밀착하여 피며 꽃받침조각은 원상 난형으로 배반하며 양면에 털이 있고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며 수술은 꽃잎보다 길고 수술대는 실모양이며 5개의 암술은 복배에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피침상 장타원형으로 복배에 센털이 밀생한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 Hort. Petrop. 6 :248 (1879)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Read More
  2. No Image

    큰천일사초

    학명 : Carex rugulosa Kuk. var. rugulosa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주름사초
    잎 : 잎은 편평하고 폭 5-8mm이며 회색 또는 청록색이고 단단하다. 엽초는 잎이 없고 짙은 적갈색이며 그물같이 약간 갈라진다.
    꽃 : 윗부분의 3-5개의 소수는 수꽃이고 선형이며 길이 2-4cm로서 짙은 갈색이고 자소수는 2-4개가 밑부분에 달리며 원주형이고 길이 3-5cm 지름 8mm로서 밑부분일수록 대가 길며 떨어져 있다. 포는 잎같고 첫째 포에 때로 짧은 엽초가 있으며 자화영은 난형이고 흑갈색이며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끝이 둥글며 까락끝이고 길이 4-5mm로서 뒷면 녹색부에 3맥이 있다. 암술대는 곧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긴 타원상 원추형이고 길이 6-7mm로서 갈색이 돌며 털이 없고 맥이 있으며 부리는 짧고 굵으며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헐겁게 들어 있고 길이 3mm정도로서 난형이다.
    줄기 : 높이 40-70cm로서 밀생하고 날카롭게 세모지며 거칠거칠하다.
    뿌리 : 근경이 길게 뻗는다.
    분포 : 전국의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천일사초와 비슷하지만 보다 크고 수과의 부리끝이 넓어지지 않는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Herb. Boissier. 2 ser. 4: 58 (190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큰처녀고사리

    학명 : Thelypteris quelpaertensis (H.Christ) Ching
    과명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속명 : 처녀고사리속(Thelypteris)
    이명 : 큰새발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10-30㎝로서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많으며 인편은 얇은 막질이고 갈색 또는 연한 갈색이며 피침형 선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서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3-8mm. 엽신은 도피침형이고 밑부분의 우편이 특히 짧으며 길이 30-80㎝ 폭 12-25㎝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짐. 우편은 퍼지고 선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대가 없고 우상으로 깊게 갈라짐. 열편은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은 거의 2개로 갈라짐.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뿌리 : 근경은 짧고 잎이 속생.
    분포 : ▶온대지방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온대지방에 자라는 대표적 양치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Fan Mem. Inst. Biol. 6:328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큰참새피

    학명 : Paspalum dilatatum Poir.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피속(Paspalum)

    잎 : 잎새는 길이 10-30㎝ 폭 8㎜내외이며 털이 없다. 기부의 잎집은 약간의 성긴털이 있으나 그 외의 잎집은 털이 없고 다만 엽초 구부(口部)에 긴털이 모여 난다. 엽설은 길이 2-4㎜로 엷은 갈색이다.
    꽃 : 8-9월에 꽃이 피며 화서는 3-6개의 총으로 되며 총의 기부 분기점에 긴 털이 모여 난다. 총의 길이는 5-9㎝로 옆으로 또는 아래를 향하며 2-3열로 소수가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소수는 난형으로 길이 3-3.5㎜ 가장자리에 긴털이 있고 1㎜길이의 자루가 있다. 포영은 3맥 호영은 5맥 모두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긴털이 술처럼 밀생하고 윗쪽은 드믈게 있다. 암술머리나 꽃밥은 적자색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30-80㎝로 직립하며 털이 없다.

    분포 : 북아메리카 남부 유럽 코카시스 일본등지에 귀화되었다. ▶제주도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참새피(Paspalum thunbergii): 잎새나 잎집에 털이 있고 소수의 길이가 2.5-3㎜이고 털이 없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3(4)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cycl. 5 : 35 (Lamarck, 1804)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IV) (박수현, 1993)
    Read More
  5. No Image

    큰참새귀리

    학명 : Bromus secalinu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귀리속(Bromus)

    잎 : 엽초는 둥글며 털이 없으나 드물게 아래쪽 것은 미모(微毛)가 있기도 하며 엽설(葉舌)은 높이 1-2㎜이다. 잎새는 선형(線形)이며 길이 10-20㎝ 폭 3-6㎜ 털이 없거나 연모(軟毛)가 성기게 나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핀다. 원추화서(圓錐花序)는 길이 12-20㎝ 한 마디에 2-5개의 가지가 있고 가지마다 1-4개의 소수(小穗)가 붙는다. 소수는 납작하고 장타원형상 피침형이며 5-15 소화(小花)가 달리며 털이 없고 길이 1.5-2.5㎝ 소화지(小花枝)가 열매 사이로 보인다. 제1포영은 길이 4-6㎜ 3-5맥 제2포영은 길이 6-7㎜ 7맥이며 제1포영보다 넓다. 호영(護穎)은 광타원형 길이 6-7㎜ 7맥 등이 둥글고 끝이 요두(凹頭)

    줄기 : 줄기는 높이 40-80㎝이다.

    분포 : 중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1-2년생 초본
    유사종 : ▶좀참새귀리(B. inermis Leyss.): 제1포영은 길이 4-6㎜ 1맥 제2포영은 길이 6-8㎜ 3맥이다.
    특징 : 시베리아 일본 북아메리카에 귀화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중부지방에 분포한다. `좀참새귀리`에 비하여 제1포영이 3맥 제2포영이 7맥인 점과 소수의 크기가 크며 긴 까락이 있고 소화가 성기게 부착해서 소화지가 눈에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Read More
  6. No Image

    큰참나물

    학명 : Cymopterus melanotilingia (H.Boissieu) C.Y.Yoon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큰참나물속(Cymopterus)
    이명 : 자주참나물제주참나물큰기름나물 큰반디나물
    잎 : 잎은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며 밑부분의 것은 엽신 길이의 2배정도이고 위로 가면서 점점 짧아지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소엽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밖을 향한 치아상의 큰 톱니가 있으며 양면 맥위와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뒷면은 흰빛을 띤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흰색이며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각 5개이고 암술대는 2개이며 산경이 길고 소산경은 7개 내외로서 능선과 더불어 돌기가 있으며 끝에 12-13개의 꽃이 달린다. 총포와 소총포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납작한 타원형이며 배면에 낮은 능선이 3개 있고 가장자리에 넓고 얇은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줄기 밑부분에 붉은 빛이 돌며 곧게자라고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남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신감채(O. grosseserrata Kitagawa):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3출겹잎이다. 엽초가 있다. ▶강활(O. koreanum Kitagawa):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위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멧미나리(O. sieboldii Nakai):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위쪽의 잎은 작아지고 잎자루는 퇴화되어 포 모양으로 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ean J. Pl. Taxon 31(3) : 258 (20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큰지네고사리

    학명 : Dryopteris fuscipes C.Chr.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관중속(Dryopteris)
    이명 : 둥근지네고사리
    잎 : 엽병은 길이 20-40㎝로서 인편이 밀생. 인편은 적갈색이고 선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큰 것은 길이가 1cm에 달하며 주머니 같은 것이 있지만 위로 갈수록 좁아지며 잘 떨어짐. 엽신은 긴 타원상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고 길이 25-50㎝ 폭 15-30㎝로서 2회우상복엽이다. 우편은 피침형이며 길게 뾰족해지고 소우편은 얕게 갈라진 것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 또는 둥근 절두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약간 있고 깊게 갈라진 것은 둔두 또는 예두로서

    열매 : 포자낭군은 중륵 가까이 또는 중앙부에 1-3줄로 달리며 포막은 둥근 신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뿌리 : 굵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상록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ndex filic. Suppl. 2:14 (191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8. No Image

    큰쥐꼬리새

    학명 : Muhlenbergia huegelii Trin.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쥐꼬리새속(Muhlenbergia)
    이명 : 큰쥐꼬리풀
    잎 : 잎은 길이 10~20cm 나비 4~14mm이며 중앙맥이 백색으로 넓어 눈에 띄고 엽초는 털이 있거나 없으며 엽설은 길이 1mm이하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10~30cm로 끝이 드리우고 가지는 비스듬히 선다. 소수는 길이 3mm이고 1개의 꽃으로 되며 회백 녹색으로 연한 자색을 띠고 밀생한다. 제1포영은 길이 0.5~0.7mm로 맥이 없고 제2포영은 길이 0.7~1mm로 희미한 1맥이 있다. 호영은 3맥이고 기부 가까이에 긴 털이 있고 끝이 2열하며 그 사이에서 길이 7~12mm의 까락이 난다.

    줄기 : 줄기는 곧추 또는 비스듬히 서며 종종 많은 가지를 내어 옆으로 눕는다.
    뿌리 : 근경은 길게 옆으로 뻗고 지름 3~5mm이며 많은 혁질로 윤채가 나는 인편으로 덮인다.
    분포 : 강원 경기 이남에 나며 일본 대만 만주 아무르 히말라야 필리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Sci. Petersb. ser. 6, Sci. Math. 6(2) :293. (18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큰족제비고사리

    학명 : Dryopteris hikonensis (H.Ito) Nakaike
    과명 : 면마과(Dryopteridaceae)
    속명 : 관중속(Dryopteris)

    잎 : 엽병은 길이 20-50㎝로서 인편이 밀생하고 인편은 흑갈색 또는 흑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실처럼 길며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고 짧아진다. 엽신은 길이 30-60㎝ 폭 20-40㎝로서 넓은 난형이고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지며 표면에 윤채가 있다. 우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중앙에서부터 점점 좁아지며 소우편은 윗부분의 것만이 우축에 직접 달리고 밑부분의 것은 대가 짧다. 엽신 밑부분은 3회우상복엽으로 되며 열편에 톱니가 약간 있다.

    열매 : 포자낭군은 중앙부에 달리고 포막 가장자리에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짧으며 끝에 잎이 총생.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Read More
  10. No Image

    큰조아재비

    학명 : Phleum pratense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갈풀속(Phleum)
    이명 : 산조아재비 지모시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20-60cm 폭 5-10mm로서 녹색이고 엽설은 반원형이며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길이 5~15cm 폭 7mm정도인 원주모양의 수상화서에 소수가 밀생한다. 소수는 1개의 꽃으로 되며 길이 3-3.5mm이고 편평한 도란형이다. 포영은 좁은 도란형으로서 안으로 접히며 색이 연하고 막질로서 뒷면은 녹색이며 잔점이 있고 능각은 윗부분을 제외하고는 퍼진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해져 표영 길이의 1/3-1/4정도되는 까락으로 된다. 호영은 길이 1.5mm정도로서 털이 없고 절두이며 5맥이 있고 내영은 이보다 약간 짧으며 피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총생한다.

    분포 : 재배하였으나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큰조뱅이

    학명 : Breea setosa (Willd.)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조뱅이속(Breea)
    이명 : 개지칭개 엉겅퀴아재비 풀가시엉겅퀴
    잎 :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장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10~20cm이고 끝은 둔하며 밑은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작은 가시가 줄지어 나고 뒷면에 백색 솜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자웅이주로 8~10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지름 1.5~2cm(수꽃) 또는 2cm(암꽃)의 두화가 가지와 줄기 끝에 달린다. 총포는 길이 13mm(수꽃) 또는 16~20mm(암꽃)이고 포편은 8열로 배열하며 외편은 짧고 중편은 피침형이다. 화관은 길이 1.5~2cm(수꽃) 또는 2~2.5cm(암꽃)이다.
    열매 : 수과는 4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화관보다 짧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능선과 솜털이 있다.
    뿌리 : 뿌리는 옆으로 뻗어 새싹을 낸다.
    분포 : 함남(혜산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코카사스 다후리아 시베리아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totax. Geobot. 18: 79 (1959)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큰조롱

    학명 :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과명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속명 : 백미꽃속(Cynanchum)
    이명 : 새박 새박풀 은조롱 하수오
    잎 : 잎은 대생하며 삼각상 난심형 또는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둥글게 되어 양쪽 열편의 변두리가 접근하며 길이 5-10cm 폭 4-8cm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원줄기 밑부분의 것은 길며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맥위에 털이 약간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화서는 엽액에서 자라며 길이 1-4cm로서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5-8mm로서 안쪽에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 넓은 피침형이고 첨두이며 화관도 5개의 피침형 열편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3mm로서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오그라들고 안쪽에 잔털이 있다.
    열매 : 골돌과는 길이 8cm 지름 1cm로서 피침형이며 종모가 있고 9월에 익는다. 종자는 암갈색이며 납작스름한 타원형으로 길이 6mm가량이며 꼭대기에 길이 2cm가량의 종모가 뭉쳐난다.
    줄기 : 원줄기는 원주형으로 가늘고 왼쪽으로 감아오르며 길이 1-3m이고 상처에서 백색 유액이 흐른다.
    뿌리 : 뿌리는 깊이 들어간다. 육질의 덩이뿌리는 지름 2-7cm 길이 10-20cm의 방추형이고 겉이 암갈색이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연해주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세포큰조롱(C. volubile): 줄기에 주로 곱슬곱슬한 털이 있으며 잎은 긴 삼각상 피침형 뒷면 맥위에 털이 약간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Linn. Soc., Bot. 26 : 109 (188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큰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Regel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제비고깔속(Delphinium)
    이명 : 산제비고깔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단풍잎같이 3-7개로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크지만 중앙부의 것은 엽병의 길이가 5cm정도이고 엽신은 길이 9cm 폭 12cm이다.
    꽃 : 꽃은 7-9월에 피며 짙은 자주색이고 원줄기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포는 잎같고 소포는 소화경의 중앙부에 달리며 막질이고 소화경은 화서축의 윗부분과 더불어 갈색 융모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5개가 꽃잎처럼 되며 위쪽의 것은 거가 있고 꽃잎이 그 속에 들어 있다.
    열매 : 골돌은 3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cm정도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줄기 : 높이가 1m정도이고 줄기가 곧게 서며 밑부분과 화서에 털이 있으나 대부분 털이 없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굵은 근경은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제비고깔(D. frandiflorum var. chinense FISCH.)은 북한지방에 자생하는 식물로 한택식물원에서 재배시험중이다. ▶털제비고깔 (var.lasiocarpum REGEL) : 열매에 털이 있고 전체에 털이 많다. ▶부전제비고깔 (var.lasiophyllum NAK.) : 열매에는 털이 없으나 밑부분과 잎에 털이 많다.
    특징 : 고산성의 희귀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ent. Fl. Uss. 9 (18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큰점나도나물

    학명 : Cerastium fischerianum Ser.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점나도나물속(Cerastium)
    이명 : 북점나도나물 큰꽃점나도나물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밋밋하며 길이 1-5cm 폭 3-20mm 정도로서 끝이 둔하고 양면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3c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서 선모가 밀생한다. 꽃받침잎은 10장이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6-7mm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꽃잎은 수평으로 퍼지며 도란상 쐐기형이고 5장이며 길이 10-12mm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원주형이며 길이 12-15mm이고 밑부분에 꽃받침이 있으며 끝이 10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 1mm정도로서 유두상 돌기가 분포한다.
    줄기 : 원줄기는 총생하고 퍼진 털과 선모가 있다.

    분포 : 한라산 지리산 황해도 이북의 밭이나 들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북선점나도나물(C. furcatum Chamisso & Schlecht. var. koreanum Ohwi): 원줄기에 밑을 향한 2줄의 털이 밀생한다. 잎은 피침형 긴 도란형 길이 1-2㎝이다. ▶점나도나물(C. holosteoides F. var. hallaisanense Mizushima): 전체에 선모가 있고 줄기는 밀생 비스듬히 서며 흑자색이다.
    특징 : ▶전체에 잔털이 많고 선모가 있다. ▶점나도나물에 비해서 잎과 꽃이 큰 것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r. (DC.) 1 : 419 (DC., 182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큰절굿대

    학명 : Echinops latifolius Tausch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절굿대속(Echinops)
    이명 : 절구대큰분취아재비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거의 없어지며 타원상 도란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25-30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지만 엽맥에는 털이 없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 끝에 길이 2-3mm의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5-6쌍의 열편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이 가시로 된다. 밑잎에는 긴 엽병이 있고 윗잎은 엽병없이 줄기를 감싼다.
    꽃 : 두화는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둥글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총포편은 길이 17-18mm 나비 5mm로서 외포편이 내포편보다 점차 짧아지며 주걱형이고 끝이 가시처럼 되며 뒷면에 검은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딱딱하며 내포편은 긴 능형(菱形)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고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갈색이다.
    열매 : 수과는 원통형으로서 갈색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1mm정도의 인편으로서 밑이 합생하였으며 9-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60-8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고 밑부분에는 거미줄털이 약간 있고 윗부분에서는 백색의 솜털이 있다.
    뿌리 : 길이 10-25cm의 육질인 원주형 뿌리가 있으며 겉은 황갈색이다.
    분포 :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11: 486 (1828)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큰장대

    학명 : Clausia trichosepala (Turcz.) Dvorak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큰장대속(Clausia)
    이명 : 큰꽃장대 큰장때 향화초
    잎 : 잎은 호생하고 장 타원형으로 양끝이 좁아지며 밑으로 좁아져서 짧은 엽병이 되고 양면에 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는 없어진다.
    꽃 : 꽃은 8월에 엷은 홍자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산방상 총상화서로 많은 꽃이 달린다. 화서축에는 꽃받침과 더불어 바늘 같은 백색 털이 드문드문 있다. 꽃받침조각은 4개로 막질이고 꽃잎은 4개로 도란형이며 수술은 6개 중 4개가 길다.
    열매 : 과실은 장각으로 선형이다.
    줄기 : 상부에서 분지하다.

    분포 : 평북(낭림산) 함북(무산)에 나며 만주 중국 몽고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hyton 11: 200, (19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7. No Image

    큰잎쓴풀

    학명 : Swertia wilfordii J.Kern.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쓴풀속(Swertia)
    이명 : 산쓴풀 큰자주쓴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좁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며 밑은 줄기를 약간 둘러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꽃은 8~9월에 자색으로 피고 4수성이며 가지와 줄기 끝에 모여 달려 전체가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소화경은 길다. 꽃받침은 깊이 4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10mm 내외이며 5~7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에 선체가 있다. 수술은 4개이고 화관 기부에 달린다.
    열매 : 과실은 삭과이고 포간이 갈라져 많은 종자가 나오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함북(무산 백두산)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2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5 : 274 (Kom., 190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Read More
  18. No Image

    큰잎부들

    학명 : Typha latifolia L.
    과명 : 부들과(Typhaceae)
    속명 : 부들속(Typha)
    이명 : 개부들 넓은잎부들 부들 참부들 큰부들
    잎 : 잎은 분백색으로 납작하고 밋밋하며 길이는 0.5-1.3m 폭 1-2㎝으로 두껍다. 엽초는 가장자리가 겹쳐졌으나 닫히지는 않는다.
    꽃 : 육수화서는 길이 10-20m이고 포는 잎 모양으로 일찍 탈락한다. 수꽃 부분이 암꽃 부분보다 짧고 서로 접혀 있다. 수술은 선형이고 끝에 둥근 부수체가 달리고 암술은 길다. 1. 雌花穗 위에 雄花穗가 붙어 있어 자웅화수 사이에 꽃이 없는 裸出된 花軸이 없다. 2. 草長 1.5~2M 葉幅은 10~20mm 정도 자화수 길이 10~20cm 꽃가루는 4개씩 붙어 있다 ‧‧‧‧‧‧ 공기방울님 내용추가
    열매 : 열매는 타원형으로 밑에는 긴 자루가 있다.
    줄기 : 줄기는 단단하다.
    뿌리 :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다.


    유사종 : ▶큰부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9. No Image

    큰잎냉이

    학명 : Erucastrum gallicum O.E.Schulz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큰잎냉이속(Erucastrum)

    잎 : 근생엽은 길이 20㎝ 폭 6㎜내외이고 잎자루가 있고 5-7대(對)의 우상 심열이고 기부는 폭이 좁고 끝쪽이 넓다. 줄기 윗쪽으로 가면서 잎의 크기는 작아지며 열매가 달린 마디부터는 포엽으로 된다.
    꽃 : 꽃은 담황색으로 지름 8㎜내외 꽃자루 기부에 1개의 포엽이 부착한다. 포엽은 하단의 것은 우상심열로 크며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받침은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휘며 배면에 털이 있으며 길이 5㎜이다. 꽃잎은 길이 1㎝내외로 수상맥(樹狀脈)이 있다. 수술은 6개 암술 1개이다. 잔존하는 암술은 2-3㎜이다.
    열매 : 열매는 길이 4㎝ 폭 1-3㎜의 활모양으로 휘며 1-1.5㎝정도의 열매자루가 있다. 담갈색의 작은 종자가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 20-60㎝이다. 전체에 하향의 조모(粗毛)가 있다.
    뿌리 : 뿌리는 직근이다.
    분포 : 서울의 한강철교 북단의 고수부지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 vol.22(1)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ahrn. 54. Beibl. 119, 56 (1916)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Read More
  20. No Image

    큰잎갈퀴

    학명 : Galium dahuricum Turcz. var. dahuricum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가시꽃갈퀴 다후리아갈퀴 큰네잎갈퀴 큰잎갈퀴덩굴 큰잎갈키덩굴
    잎 : 잎은 4~6장씩 윤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길이 1.5~3.5cm 나비 5-8mm로서 끝은 둥글다가 아주 뾰족해지고 밑은 좁아지져서 극히 짧은 대로 되며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는 다소 뒤로 말린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가지 끝이나 엽액에 취산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에 털이 다소 있고 화관은 4갈래이며 수술은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분과로 2개씩 붙어 있고 분과에 소돌기 또는 자모(刺毛)가 밀생한다.
    줄기 : 높이 30-60cm이며 줄기는 네모지고 밑을 향한 가시와 능선이 있으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큰네잎갈퀴 (var.leiocarpum Nak.): 잎이 보통 5-6개씩 윤생하고 갈고리같은 털이 밀생하며 잎이 4-5개씩 달리는 수가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