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털민들레

    학명 :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민들레속(Taraxacum)

    잎 : 잎은 도피침상 선형이며 길이 6~15cm 나비 1.2~5cm로서 무우잎처럼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6~8상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은 둥글게 배열되며 대개 땅에 누워서 자란다.
    꽃 : 꽃은 4~6월에 백색으로 피고 지름 3~3.5cm의 두화 1개가 화경 끝에 달리며 두화 바로 밑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나 없어지고 화경은 꽃이 핀 뒤에 잎보다 훨씬 길어 진다. 총포는 종형으로 연한 녹색이고 외편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끝에 짧은 부리가 있고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으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진다.
    열매 : 수과는 홈과 돌기가 있고 부리는 4mm이며 관모는 갈색이 도는 백색이다.
    줄기 : 줄기는 없고 화경은 높이 7~30cm이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본종은 흰민들레에 비하여 화관이 백색이고 총포가 길며 털이 적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onogr. Taraxacum : 67 (pro parte) (1907)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2. No Image

    털미꾸리낚시

    학명 : Persicaria sieboldii var. sericea Nakai ex T.B.Lee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여뀌속(Persicaria)

    잎 : 잎은 엽병이 있으며 호생하고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의 맥에 가시가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초같은 탁엽은 털이 없고 길이 5-10mm이다.
    꽃 : 꽃은 5-8월에 피며 밑부분이 백색이고 윗부분은 홍색이지만 때로는 연한 홍색으로서 꽃과 열매가 같이 달리며 두상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화경에 털이 있다. 화피는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길이 3mm정도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화피로 싸여 있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길이 3mm정도로서 흑색이다.
    줄기 : 길이 20-10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누우며 가지가 갈라지고 털은 없으나 밑을 향한 잔가시가 있어 잘 붙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생 초본.
    유사종 : ▶민미꾸리낚시 (var.aestiva OHKI) : 5-6월에 꽃이 피고 밑을 향한 가시가 적으며 심장저의 양쪽 귀가 벌어진다.
    특징 : 미꾸리낚시에 비해 잎과 화경에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585 (Kitag., 197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털물참새피

    학명 :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피속(Paspalum)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고 엽초와 마디에 긴 털이 밀생하며 총(總)이 2-3개이다. 엽설(葉舌)은 높이 2㎜이고 잎새는 길이 5-10㎝ 폭 6-8㎜이다.
    꽃 : 꽃은 6-9월에 핀다. 화서(花序)는 2개의 총(總)으로 이루어지며 총은 길이 4-9㎝ 2열(列)로 담녹색의 소수(小穗)가 달린다. 소수는 장타원형 길이 3㎜ 미모(微毛)가 산생한다. 제1포영이 없거나 또는 인편상이며 제2포영은 3-5맥 소수와 같은 길이이다. 제1소화는 불임성(不稔性) 제2소화는 양성이며 임성(稔性)이다. 암술머리는 흑자색이며 꽃밥은 길이 1.5㎜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높이 20-40㎝ 기부는 광범위하게 포복하며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분포 :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국내에는 남부지방에 귀화되었다. 이변종은 엽초와 마디에 긴 털이 밀생하며 총(總)이 2-3개인 것이 물참새피와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hodora 56:31 (1954)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Read More
  4. No Image

    털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roseum var. hirsutum Beauverd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꽃며느리밥풀속(Melampyrum)
    이명 : 돌꽃며느리밥풀줄털며느리밥풀
    잎 : 잎은 대생하고 중앙부의 잎은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5-7cm 폭 1.5-2.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양면에 짧은 털이 산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7-10m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이며 수상화서에 달린다. 포는 녹색이며 자모상(刺毛狀)의 톱니가 많이 있고 중앙부의 잎과 같은 형태로서 작고 대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다. 화관은 길이 15-20mm로서 겉에 잔돌기가 있으며 안쪽에 다세포로 된 털이 있고 하순의 중앙열편에 밥풀같은 2개의 무늬가 있다. 꽃받침의 맥 위에 긴 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8mm로서 윗부분에 짧은 털이 밀생하며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3mm로서 흑색이며 밑부분에 짧은 가종피가 있다.
    줄기 : 높이 30-50cm이고 둔한 네모가 지며 능선 위에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반기생성 일년초.
    유사종 : ▶꽃며느리밥풀 : 기본종
    특징 : 꽃며느리밥풀에 비해 꽃받침의 맥 위에 기다란 털이 있으며 포에 가시 모양의 톱니가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Soc. Phys. Geneve 38: 548 (191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5. No Image

    털머위

    학명 : Farfugium japonicum (L.)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털머위속(Farfugium)
    이명 : 갯머위 넓은잎말곰취말곰취
    잎 : 긴 엽병이 있는 잎이 뿌리에서 총생한다. 잎은 신장형이며 길이 4-15cm 나비 6-30cm로서 두껍고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화경은 길이 30-75cm로서 곧추 자라며 포가 있고 두화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려서 전체가 산방상으로 되며 지름 4-6cm이고 황색이다. 포편은 길이 12-15mm로서 1줄로 배열되며 연한 녹색이고 설상화는 길이 3-4cm 나비 6mm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5-6.5mm이며 관모는 길이 8-11mm로서 흑갈색이다.
    줄기 : 길이는 30-50cm로 전체에 연한 갈색 솜털이 있다.
    뿌리 : 짧고 굵은 근경 끝에서 잔 뿌리가 사방으로 퍼져 나간다.
    분포 : 울릉도 및 제주도 남해안 도서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상록 다년초이다.
    유사종 : ▶머위(Petasites japonicus)
    특징 : 잎에 노랑 또는 흰무늬가 있는 반엽종도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8: 268 (193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털말발도리

    학명 : Deutzia parviflora var. amurensis Regel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말발도리속(Deutzia)
    이명 : 말발도리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로서 길이 3-8cm 폭 2-4cm이지만 맹아의 것은 1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에 성상모(星狀毛)와 단모(單毛)가 모두 있다.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엽병도 길이 3-12mm로서 성모가 있다.
    꽃 : 꽃은 산방화서를 이루고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 갈라지고 꽃은 지름 1.2cm정도이고 백색으로 성모가 있고 5월에 개화한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는 거의 톱니가 없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화반에 성모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구형이며 지름 3-5mm이고 성상모가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소지는 녹갈색으로 성모가 있고 늙은 가지는 흑회색이다.

    분포 : 전국 산야의 계곡 바위틈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태백말발도리(var.barvinervis): 엽리맥상에 밀모(密毛)가 있다. ▶말발도리(D. parviflora Bunge): 잎은 길이 3-6㎝의 난형으로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속리말발도리(var.obscula T.Lee): 엽리(葉裏)에 성상모가 밀생하여 흰빛이 돈다.
    특징 : 밑부분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덤불을 형성하며 맹아력도 좋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Acad. Imp. Sci. Saint Petersbourg 7. 4, 4:63 (1861)
    1) Deutzias-ornamental shrubs. A monograph of the genus Deutzia Thunb. (Zaik., 1966)


    Read More
  7. No Image

    털만주오리나무

    학명 : Alnus mandshurica f. pubescens (Nakai) Kitag.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오리나무속(Alnus)
    이명 : 붉은오리나무 붉은털만주오리 털덤불오리나무 )
    잎 : 잎은 긴 난형이고 난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6-10cm 폭 2.5-6cm이며 선치(線齒)가 있고 표면은 털이 없으며 뒷면에 연한 갈색 털이 있고 지점(脂點)이 많으며 맥(脈)위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2.5cm이고 측맥은 10-12쌍이다.
    꽃 : 암수한그루로서 5-6월에 개화한다. 웅화수(雄花穗)는 1-2개씩 달리고 길이 4-8cm로 밑으로 처지며 자화수(雌花穗)는 타원형이고 길이 1-1.5cm이다.
    열매 : 과수는 길이 1.5㎝이하로 타원형이고 대는 길이 1.5-2.0㎝이다. 9월에 익으며 종자는 양쪽에 날개가 있다.
    줄기 : 줄기가 곧고 수관이 좁으며 수피는 암록색인데 흰 가로선이 있다.

    분포 : 강원도 이북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덤불오리(A. fruticosa var. mandshurica Call): 잎 뒷면의 맥위에 털이 나 있고 과수의 길이가 1.5㎝이하인 것을 말한다. ▶사방오리나무(A. firma S. et Z.): 잎은 난상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5-10㎝ 열매는 소견과 긴 타원형이다. ▶오리나무(A. japonica Steudel): 잎은 긴 타원형 길이 6-12㎝ 폭 3-5㎝ 뒷면의 맥겨드랑이에 적갈색 털이 있다. ▶물갬나무(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212 (Kitag., 1979)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털만주송이풀

    학명 : Pedicularis mandshurica var. coreana (Bonati) Hurus.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송이풀속(Pedicularis)

    잎 : 근생엽은 모여나고 엽병이 길며 경생엽은 어긋나고 엽병이 없으며 모두 우상복엽이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상하로 갈수록 작아지며 중앙부의 가장 큰 열편은 길이 23mm 너비7mm로서 깃꼴로 깊게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연한 황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고 모여나며 능선을 따라 줄지어 돋은 잔털이 있다

    분포 : 한반도(강원도 운악산ㆍ금강산 함경북도 설령)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22: 74 (1948)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털만주고로쇠

    학명 : Acer truncatum var. barbinerve (Nakai) T.B.Lee
    과명 : 단풍나무과(Aceraceae)
    속명 : 단풍나무속(Acer)

    잎 : 잎은 대생하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매우 뾰족한 점첨두로서 흔히 중앙열편에 결각이 있으며 엽저는 거의 절저이고 길이 5-11cm 폭 6-12cm로서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3-7cm이다.
    꽃 : 화서는 취산화서로서 지름 6-8cm이고 15개 이상의 꽃이 달리며 화경은 길이 1-2cm이고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연한 황색이다.
    열매 : 열매는 직각 또는 둔각으로 벌어지고 길이 3cm로서 털이 없으며 10월에 익는다.
    줄기 : 소지에 털이 없다.

    분포 : 경남지역에 야생한다.
    형태 : 낙엽소교목
    유사종 : ▶만주고로쇠(A. truncatum Bunge):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우산고로쇠(A. okamotoanum Nak.): 잎 전체 모양이 고로쇠나무와 비슷하지만 6-9개로 갈라지고 맥액에 흰털이 있으며 시과는 길이 4-4.5㎝이고 날개는 평행하며 거의 합쳐지거나 직각으로 벌어진다. 울릉도에서 자란다.
    특징 : 만주고로쇠와 닮았으나 잎 뒷면에 잔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 Woody Pl. Kor. 308 (196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털마삭줄

    학명 : Trachelospermum jasminoides var. pubescens Makino
    과명 : 협죽도과(Apocynaceae)
    속명 : 마삭줄속(Trachelospermum)
    이명 : 털마삭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장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4~8cm 나비 2~5c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엽병이 짧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어 황색으로 변하며 지름이 2~2.5cm이고 가지 끝 또는 잎짬에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5~6mm이고 열편은 끝이 둔하며 윗부분이 퍼지고 백색털이 드문드문 있다. 화관통은 길이 7~8mm이고 꽃밥은 화통 후부에 이르지 못하며 암술대는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거나 짧다.
    열매 : 과실은 골돌로 길이 10~15cm이다.


    분포 : 제주 전남북 경남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넌출성 상록활엽수

    특징 : 화서 어린가지 및 잎 뒷면에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6 : 122 (191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1. No Image

    털뚝새풀

    학명 : Alopecurus japonicus Steu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뚝새풀속(Alopecurus)

    잎 : 잎새는 선형(線形)이고 백녹색이며 길이 4-15㎝ 폭 5-8㎜이며 엽초는 보통 잎새보다 길고 엽설릉 백색의 막질이며 높이 2-4㎜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화서는 원주형이고 줄기 끝에 달리는데 길이 3-6㎝ 지름 5-8㎜으로 재래종의 뚝새풀보다 굵다. 소수는 납작하고 길이 5-6㎜ 1소화이다. 호영은 2개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이며 소수와 길이가 같고 분리되었으며 3맥이 있고 중앙맥을 경계로 강하게 접혀져 용골 위에 긴 털이 난다. 호영은 5맥이 있고 중앙맥 기부 근처에서부터 긴 까락이 생기며 까락은 길이 10-12㎜이다. 수술은 3개 꽃밥은 백색 길이 1㎜정도이다.

    줄기 : 줄기는 곧추 서며 뭉쳐서 나고 높이 20-60㎝이며 3개의 마디가 있다.

    분포 : 일본의 남부와 중국의 남부에 분포한다. ▶경남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와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보리밭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뚝새풀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4(2) ▶까락이 긴 것을 표현하여 털뚝새풀이라 칭하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pl. glumac. 1: 149 (1854)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V) (박수현, 1994)
    Read More
  12. No Image

    털딱총나무

    학명 : Sambucus sieboldiana var. miquelii f. lasiocarpa T.B.Lee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딱총나무속(Sambucus)

    잎 : 잎은 대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넓은 피침형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4-6cm로서 표면 맥위와 뒷면 전체에 털이 있으며 안쪽으로 굽은 가장자리의 톱니가 뾰족하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지름 6-7cm로서 화축 화경 및 소화경에 털이 있으며 꽃은 5월에 피고 꽃받침통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화관은 연한 황색 또는 연한 녹색으로서 지름 5-7mm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자방은 털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자줏빛이 돈다.
    열매 : 열매는 둥글며 털이 있고 지름 5-6mm로서 7월에 홍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 5-6m이고 코르크가 발달하며 골속은 황갈색이고 일년지(一年枝)는 털이 없으며 이년지(二年枝)는 자갈색으로서 세로로 긴 피목이 있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관목
    유사종 : ▶지렁쿠나무 (var. miquelii (NAK.) HARA) ▶털지렁쿠나무 (for. velutina T.LEE) : 털딱총나무와 비슷하지만 잎 뒷면에 융모가 있다.
    특징 : 지렁쿠나무와 닮았으나 자방이나 열매에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털딱지꽃

    학명 : Potentilla chinensis var. concolor Franch. & Sav.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양지꽃속(Potentilla)
    이명 : 털딱지
    잎 : 잎은 우상복엽이며 근생엽이 옆으로 퍼지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소엽은 15-29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점차 작아지고 윗부분의 것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cm 폭 8-15mm로서 표면에 털이 많다. 뒷면도 백색 면모가 밀생하고 특히 맥 위에 긴 견모가 있으며 거의 중륵까지 갈라지고 탁엽은 넓은 타원형이며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2cm로서 황색이며 가지 끝에서 산방상 취산화서를 형성한다.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이고 예두이며 부악편은 피침형이고 꽃잎은 도란상 요두(凹頭)로서 각각 5개이며 탁엽에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넓은 난형이고 세로로 주름이 지며 길이 1.3mm정도로서 뒷면에 능선이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총생하며 비스듬히 서고 털이 밀생한다.
    뿌리 : 뿌리는 비대하다.
    분포 : 중부 이북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딱지꽃(P. chinensis Ser.): 소엽은 길이 2-5㎝ 폭 8-15㎜로서 표면은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백색 면모가 밀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Jap. 2 : 338 (Franch. & Sav., 187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털들갓

    학명 : Sinapis arvensis var. orientalis Koch & Ziz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들갓속(Sinapis)

    잎 : 잎은 어긋나며 도란형이다. 아래쪽 잎은 엽병 있고 길이 20cm이며 가장자리 불규칙한 거친 톱니가 있다. 위쪽 잎은 엽병이 없고 가장자리에 거친 거치가 있다.
    꽃 : 총상화서 꽃 지름 1cm 정도. 꽃받침 4개 피침형 털 없고 꽃 피면 벌어짐. 꽃잎 4개 길이 8~12mm.
    열매 : 열매는 장각과로 길이 2~4cm 지름 2~3mm. 거친 털이 있다. 열매 꼬뚜리에 3~5개 융기된 맥. 잔존 화주 납작 모서리 2개 맥 3개. 종자 구형 지름 1~1.6mm 적갈색 또는 흑색이다.
    줄기 : 줄기는 위에서 가지 치고 아래 향한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유럽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achikake, Hand. Nat. Pl. Jap. 48 (1998)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VIII) (박수현, 1996)
    Read More
  15. No Image

    털둥근이질풀

    학명 : Geranium koreanum var. hirsutum Nakai
    과명 : 쥐손이풀과(Geraniaceae)
    속명 : 쥐손이풀속(Geranium)
    이명 : 털둥근쥐손이털이질풀
    잎 : 잎은 대생하고 4열성으로서 3-5개로 다소 깊게 갈라져 장상으로 되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큰 톱니가 있다. 전체적으로 약간의 털이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지름 18-20mm로서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에 3-5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한군데에 3개 또는 1개씩 달리는 것도 있다. 꽃잎은 털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수술보다 길고 암술대가 밑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며 암술머리는 점상이고 수술은 10개로서 밑부분에 털이 있다. 소화경에 퍼진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며 털이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전체에 다소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여러 대가 한포기에서 나오며 가지가 없는 것도 있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경북 경기도 및 강원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둥근이질풀(G. koreanum Kom.): 원줄기와 소화경에 털이 없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kor. I. 113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16. No Image

    털둥근갈퀴

    학명 : Galium kamtschaticum Steller ex Roem. & Schult.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둥근갈퀴 둥근갈키 둥근잎갈키 민심산갈퀴 심산갈퀴 큰네잎갈퀴 큰넷잎갈퀴덩굴 큰산꽃갈퀴 털네잎갈퀴
    잎 : 잎은 4장씩 윤생하지만 원줄기에서는 3-6개씩 달리며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 때로는 도란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지만 갑자기 뾰족해지며 3맥이 뚜렷하고 길이 1-2.5cm 폭 7-12mm로서 표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산재한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녹황색이고 취산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10개 정도의 꽃이 2출 내지 3출상으로 달린다. 화관은 4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과 2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 : 열매는 2개가 서로 붙어 있고 분과에 긴 갈고리털이 밀생한다.
    줄기 : 높이 5-15cm이며 털이 없고 밋밋하다.
    뿌리 : 근경은 얕은 땅속을 옆으로 뻗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둥근갈퀴 (for.intermedia Takeda) : 잎의 털이 짧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et. 3 : Mant. 186 (18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7. No Image

    털두메자운

    학명 : Oxytropis racemosa Turcz.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두메자운속(Oxytropis)
    이명 : 비단돔부털산돔부
    잎 :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길이 10cm이며 소엽이 4~5개씩 윤생한다. 소엽은 선형으로 길이 5~10cm 나비 1mm이며 긴 갈색 털로 덮여 있다.
    꽃 : 꽃은 8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뿌리에서 나온 긴 화경 윗부분에 총상으로 달리며 소포는 선형으로 소화경과 길이가 같다. 꽃받침은 길이 5mm 정도로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다. 기판은 하부가 쐐기모양이고 끝이 둥글며 용골판은 끝에 부리가 있고 수술은 양체이다.
    열매 : 과실은 협과로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백모가 밀생한다. 종자는 짙은 갈색이다.
    줄기 : 전체에 긴 갈색 털이 밀생한다.

    분포 : 만주와의 국경지대에 나며 만주 몽고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Soc. Natural. Moscou. 5: 187 (18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No Image

    털독말풀

    학명 : Datura meteloides Dunal
    과명 : 가지과(Solanaceae)
    속명 : 독말풀속(Datura)
    이명 : 가시독말풀흰꽃독말풀흰독말풀 힌독말풀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이고 광란형(廣卵形)이며 길이 8-18㎝ 폭 5-10㎝ 끝이 예두(銳頭)이고 기부는 의저이며 뒷면에 털이 많고 톱니가 없다. 잎자루는 길이 2-8㎝이다.
    꽃 : 8-10월에 꽃이 피며 꽃은 잎겨드랑(葉腋)에 1개씩 핀다. 꽃받침은 긴 통형(筒形)이며 길이 8-10㎝ 끝이 5열(裂)되며 10맥이 있다. 화관(花冠)은 백색 지름 10㎝ 길이 20㎝ 깔때기꼴이며 가장자리에 5개의 미상돌기(尾狀突起)가 있고 밤에 핀다. 수술은 5개로 길이 15㎝이다.
    열매 : 열매는 공모양으로 지름 3-4㎝ 아래쪽으로 늘어지며 같은 크기의 가시가 밀생한다. 씨는 편평하며 지름 5㎜ 갈색(褐色)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m 로 많은 가지를 치며 엷은 녹색(綠色)으로 약간 자색(紫色)을 띠기도 하고 미세한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서울의 난지도에서 채집되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일본에 귀화되었고 국내에서는 1994년 10월 29일 서울의 난지도 조사에서 채집되었다.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흰독말풀과 독말풀에 비하여 다년생 초본이며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줄기와 함께 잎 뒷면에 미세한 털이 많고 꽃받침은 길이 10㎝ 화관이 길이 20㎝로 꽃이 피며 열매가 구형으로 밑을 향해 매달리며 같은 크기의 가시가 밀포되는 특징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rod. 13: 544 (DC., 1852)
    참고문헌 : 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Read More
  19. No Image

    털도깨비바늘

    학명 : Bidens biternata (Lour.) Merr. & Sherff ex Sherff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도깨비바늘속(Bidens)
    이명 : 넓은잎가막사리누른독개비바눌 도깨비바늘 독개비바눌 참귀사리
    잎 : 잎은 대생하고 중앙부의 잎은 길이 5㎝정도의 엽병과 더불어 길이 9-15cm로서 양면에 털이 많으며 1-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정열편은 난형이며 짧은 예첨두이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측열편은 난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때로 우상으로 중앙까지 갈라진다.
    꽃 : 노란색꽃이 핀다. 총포편은 8-10개이며 길이 3-6.5mm로서 선형 예두이고 바깥쪽 화상(花床)의 인편은 길이 5-6mm이며 설상화는 0-5개이고 열매를 맺지 못하며 길이 55mm 나비 2.5-3mm로서 황색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9-19mm 나비 1mm정도로서 선형이고 납작한 사각형이며 가시같은 털이 다소 있고 까락은 3-4개로서 길이 3-4mm이다.
    줄기 : 높이 30-150cm이고 원줄기는 다소 네모가 지며 굽은 잔털이 약간 있다.

    분포 : 우리 나라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생 초본

    특징 : 암술과 수술의 성숙 시기가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Gaz. 88: 293 (192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털대사초

    학명 : Carex ciliatomarginata Nakai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잎 : 잎은 좁은 피침형이며 폭 1-2cm로서 점첨두이고 짙은 녹색이며 3맥이 뚜렷하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특히 밑부분의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밑부분이 짧은 엽초로 된다. 첫째 엽초는 잎이 없으며 연한 자갈색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5-12㎝로서 둔한 삼각형이고 연한 털이 있다. 소수(小穗)는 3-5개가 떨어져서 곧추서고 웅소수는 끝에 달리며 길이 5-10mm이고 자소수는 옆에 달리고 끝에 수꽃 밑에 암꽃이 달리고 길이 4-8mm 지름 4mm로서 난형이며 첫째 소수는 대가 길다. 포는 길이 5mm정도이고 자화영은 길이 2.5-3mm로서 백색 막질이며 3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다. 암술대는 짧고 밑부분이 굵지 않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곧추 또는 비스듬히 서며 타원상 도란형이고 길이 3mm정도로서 녹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 맥이 많고 털이 있으며 부리는 짧고 끝이 갈라지지 않는다. 수과는 밀접하며 길이 2.5mm. 난상 타원형으로서 각 면이 파진다.
    줄기 : 전체에 다갈색 반점이 있으며 총생하고 곧게 서며 기부는 적갈색 엽초모양의 포에 싸여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분포 : 황해도 이남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 244 (191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