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긴꼬리쐐기풀
학명 : Urtica angustifolia var. sikokiana (Makino) Ohwi
과명 : 쐐기풀과(Urticaceae)
속명 : 쐐기풀속(Urtica)
이명 : 긴쐐기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an 435 (195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퉁둥굴레
학명 : Polygonatum inflatum Kom.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둥굴레속(Polygonatum)
이명 : 통둥굴레 퉁퉁굴레
잎 : 잎은 호생하며 2줄로 배열되고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긴 타원형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백록색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통형이며 연한 녹색이고 길이 22-25mm로서 안쪽 일부분에 수술대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끝이 좁고 엽액에 달린다. 화경은 길이 2.5-4cm로서 3-7개의 꽃과 더불어 같은 수의 포가 달리고 포는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안쪽으로 약간 접히며 길이 4-8mm로서 1맥이 있다. 소화경은 곧고 포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꽃밥은 길이 4mm정도로서 수술대 길이의 1/2정도이다. 수술은 6개이며 끝이 편평하다.
열매 : 열매는 지름 1cm정도인 타원형의 장과이며 검게 익는다.
줄기 : 원줄기는 상반부가 옆으로 처지면서 전체가 비스듬히 서고 높이 30-80cm로서 윗부분에 능각이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8: 442 & 20: 480 (19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No Image
투구꽃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subsp. jaluens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초오속(Aconitum)
이명 : 개싹눈바꽃 그늘돌쩌귀 선투구꽃 세잎돌쩌귀 싹눈바꽃 진돌쩌귀
잎 : 잎은 호생하며 긴 엽병끝에서 장상으로 3-5개로 깊이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양쪽 첫째 열편과 중앙열편이 다시 3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점차 작어지며 전체가 3개로 갈라지거나 양쪽 첫째 열편이 다시 2개로 갈라지고 열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총상화서 또는 복총상화서가 원줄기 끝과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며 소화경에 털이 많다. 꽃 전체 모양은 고깔이나 투구모양이다. 꽃받침잎은 꽃잎같이 생겼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뒤쪽의 것은 고깔같고 이마쪽이 뾰족하게 나와 있으며 중앙부의 것은 약간 둥글고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2개이며 긴 대가 있고 가장 윗부분의 꽃받침잎 속에 들어있으며 수술은 많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우상으로 넓어진다. 자방은 3-4개로 털
열매 : 열매는 골돌(骨突)로서 타원형이고 뾰족한 암술대가 남아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자란다.
뿌리 : 마늘쪽같은 뿌리에 잔뿌리가 내린다. 뿌리를 초오(草烏)라고 한다.
분포 : ▶한국 만주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주로 속리산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 Koidz.): 뿌리는 둥글고 뾰족하며 어긋 달리는 잎은 삼각형이다. 한국 특산식물로서 환경부에서 특정 야생식물(식-64호) 산림청의 멸종 위기식물(보존순위33)로 지정한 법정 보호식물이다. ▶노랑투구꽃(Aconitum sibiricum Poir.): 연한 황색으로 피는 꽃은 꼿꼿이 선다. ▶진범(Aconitum pseudolaeve var. eretum Nakai): 자주색 꽃에는 털이 많
특징 : 환경내성은 보통이나 저지대에서는 곤란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8: 439 (190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3)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통탈목
학명 : Tetrapanax papyriferus (Hook.) K.Koch
과명 : 두릅나무과(Araliaceae)
속명 : 통달목속(Tetrapanax)
이명 : 등칡통초
잎 : 잎은 가지 끝이나 원줄기 끝에서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 50cm 정도로서 속이 비어 있으며 엽신은 원형이고 지름 25-70cm로서 5-7개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2개로 갈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엽병과 더불어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 : 산형화서는 모여서 큰 언추화서로 되고 지름 45cm정도로서 갈색 면모로 덮여 있으며 꽃은 10월에 피고 꽃잎과 수술은 각 4개이다.
열매 : 열매는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지름의 60% 정도가 골속으로 차 있다.
분포 : 제주도에서는 밖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형태 : 상록수.
특징 : 생육과 번식이 빠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Wochenschr. Gartnerei Pfanzenk. 2: 371 (1859)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통영병꽃나무
학명 : Weigela toensis Nakai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병꽃나무속(Weigela)
잎 : 잎은 대생하며 넓은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점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24~62mm 폭 11~30mm로서 표면은 털이 있어 거칠며 뒷면은 주로 맥 위에 딱딱한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mm로서 거의 없는 것 같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액생하며 소화경이 거의 없고 꽃받침잎은 5개로서 길이 3.5~4.5mm이며 화관은 적색이고 길이 37~49mm로서 약간 양순형이며 상순은 3개로 갈라지고 길이 6~7mm이며 하순은 2개로 갈라지고 길이 10~12mm이다. 자방은 길이 8~10mm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는서로 붙어 있는 부분에 거센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1개로서 수술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5mm로서 2개로 갈라지고 중앙부에 남아 있는 원줄기 끝에 길이 5~6mm의 암술대가 있다.
줄기 : 높이 1-3m이고 수피는 암회색이며 2년지는 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1년지는 대생하는 잎 사이에 녹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종선이 있다.
분포 : 경남 충무시 미륵산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관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No Image
통영미나리냉이
학명 : Cardamine leucantha var. toensis (Nakai) T.B.Lee
과명 : 십자화과(Cruciferae)
속명 : 냉이속(Cardamine)
잎 : 잎은 호생하며 우상복엽(羽狀複葉)이고 미나리냉이보다 잎이 크며 엽병이 길다. 소엽은 5-7개이며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4-8㎝ 폭 1-3㎝로서 예첨두이며 소엽병은 없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타원형이며 길이 3㎜정도로서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꽃잎은 길이 8-10㎜로서 꽃받침보다 2배 또는 그 이상 길고 도란형이다. 6개의 수술 중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고 처음에는 털이 약간 있다. 자방에 털이 있다.
열매 : 암술 1개가 길이 2㎝의 열매로 되고 소과경이 있어 옆으로 약간 퍼진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곧추 자라며 윗부분에서 약간 갈라지고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뿌리 : 지하경이 뻗는다.
분포 : 전국적으로 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미나리냉이 (Cardamine leucantha O.E SCHULZ)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eoul Univ. J., Biol. Ser. 20: 130 (1969)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통보리사초
학명 : Carex kobomugi Ohwi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사초속(Carex)
이명 : 보리사초 큰보리대가리
잎 : 잎은 뿌리에서 나오며 연한 녹색이고 길이 20~30cm 폭 4~6mm이며 엽초는 약간 갈색이고 섬유처럼 갈라진다.
꽃 : 꽃은 5~7월에 피며 수상화서는 끝에 1개씩 달리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4~6cm 폭 2.5cm로서 이가화이지만 간혹 일가화도 있다. 잎같은 2-3개의 포는 화서보다 짧고 암수 각 소수(小穗)는 난형이며 길이 15mm이다. 자화영(雌花穎)은 난형이고 길이 1~1.5cm로서 유황색이며 가장자리가 넓고 맥이 많으며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 과포는 길이 1cm로서 포영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곧추서고 뒷면이 둥글게 튀어나오며 표면은 들어가고 맥이 많으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와 더불어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둥글며 윗부분은 긴 부리로 되어 안쪽으로 굽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긴 도란상 타원형이고 길이 5mm로서 세모가 지며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다.
줄기 : 군총(群叢)을 형성하며 높이 10~20cm로서 질기고 딱딱하다.
뿌리 : 근경은 갈색 섬유에 싸이며 굵고 목질이며 길게 옆으로 뻗는다.
분포 :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Coll. Sci. Kyoto Imp. Univ., Ser. B, Biol. 5: 281 (193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No Image
통발
학명 : Utricularia vulgaris var. japonica (Makino) Tamura
과명 : 통발과(Lentibulariaceae)
속명 : 통발속(Utricularia)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3~6cm로서 우상으로 실같이 갈라지며 열편은 수평으로 배열하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포충낭이 있어 작은 벌레를 잡는다.
꽃 : 꽃은 8~9월에 밝은 황색으로 피고 길이 10~30cm의 화경이 수상으로 나와 4~7개의 꽃이 달리며 포는 인편과 비슷하고 소화경은 길이 1.5~2.5cm이며 꽃이 진 다음 꼬부라진다.
열매 : 과실은 성숙하지 않는다.
줄기 : 겨울에는 줄기 끝에 잎이 총생하여 둥근 월동아를 만들어 물속으로 가라앉는다.
뿌리 : 뿌리가 없이 물에 뜬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식충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ci. Rep. S. & N. Coll. Osaka Univ. 1 : 55-58 (1952)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
No Image
톱풀
학명 : Achillea alpina L.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톱풀속(Achillea)
이명 : 가새풀 배암세 배암채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없고 끝이 둔하며 길이 6-10cm 폭은 7-15mm로서 밑부분이 원줄기를 얼싸안고 빗살처럼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뾰족한 톱니가 있고 갈라지지 않은 중앙열편은 나비 1-3mm이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홍색이나 백색이고 직경 7-9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구상 종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5mm로서 털이 약간 있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외편이 보다 짧고 긴 타원형이다. 암꽃은 5-7개이며 화관은 길이가 3.5-4.5mm 폭은 2.5-3mm이고 통 모양의 부위는 길이 1.5mm이며 양성화의 화관은 길이가 2-3mm 이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 폭 1mm로서 양끝이 납작하고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50-110cm이고 곧게 자라며 한곳에서 여러대가 자란다. 밑 부분에는 털이 없고 윗부분에는 털이 많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뻗고 잔뿌리가 많이 뻗는다.
분포 : ▶한국 일본 사할린 만주 중국 북부 시베리아 캄차카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에 흔히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붉은톱풀(Achillea sibirica subsp. rhodoptarmica Kitamura) ▶큰톱풀(A. ptarmica var. acuminata Heim.) ▶산톱풀(A. sibirica Ledeb. var. discoidea Regel) : 꽃의 지름이 4mm이고 설상화가 길이 3mm 지름 1.5mm이며 총포가 종형이다.
특징 : ▶일명 `가새풀`이라고도 하며 잎의 깊이 찢어진 결각이 날카롭게 생겨서 양날 선 톱니를 연상시키므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생김새가 특이해서 덤불 속에 서도 쉽게 찾을 수 있는 즐겨 이용하는 봄 산나물의 하나이다. ▶톱풀은 세계에 100여종이 있는데 학명의 Achillea는 그리스신화의 트로이전쟁 의 영웅 아키레스장군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 식물의 약효를 가르쳐주 어서 상처를 고쳤으므로(지혈제) 그의 이름을 따서 `아킬레아`라 부르게 되었 다는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톱잔대
학명 : Adenophora curvidens Nakai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이명 : 북모시나물 톱날잔대
잎 : 잎은 호생하고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는 10cm가량이고 굽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연보라색이며 줄기 끝에 총상으로 들러붙고 긴 종모양이다.
줄기 : 높이는 50cm가량이다.
분포 : 전국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6 : 6 (1915)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톱바위취
학명 : Saxifraga punctata L.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범의귀속(Saxifraga)
이명 : 멧바위취 바위취
잎 : 근생엽은 3-10cm 길이의 엽병이 있고 신장형 또는 신원형이며 길이 2-4cm 폭 3-6cm로서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큰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털이 거의 없으며 밑부분이 심장저이다.
꽃 : 화경(花莖)은 잎이 없고 높이 5-25cm이며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받침은 젖혀지고 길이 2mm정도로서 좁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다. 화서와 소화경에는 선모가 있다. 꽃잎은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꽃받침보다 2-3배 정도 길고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난형이며 길이 1-2mm이고 녹색 또는 자홍색을 띤다. 수술은 10개로서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다소 짧으며 수술대는 윗부분이 다소 넓어지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삭과는 난형으로 길이 5mm가량이며 8월에 익어 2조각으로 갈라지고 남아 있는 암술대가 긴 부리로 되고 종자는 방추형으로서 양끝이 다소 좁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화서와 더불어 선모가 있다.
분포 : ▶중국 동·북부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강원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톱니나자스말
학명 : Najas minor All.
과명 : 나자스말과(Najadaceae)
속명 : 나스말속(Najas)
이명 : 마디말 줄기말
잎 : 잎은 대생하지만 윗부분일수록 간격이 좁게 달려 총생한 것처럼 보이며 뒤로 젖혀지고 길이 1-2cm 폭 0.5mm정도로서 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은 반원형의 엽초로 되며 가장자리에 잔 가시가 있다.
꽃 : 꽃은 일가화로서 7-9월에 피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수꽃은 병같은 녹색 포로 싸이고 1개의 수술이 있으며 꽃밥은 1실이다. 암꽃은 나출되어 있다.
열매 : 수과는 선상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2-3mm이며 표면에 그물눈처럼 나타난 세포가 옆으로 길어진다.
줄기 : 가지가 2개씩 갈라지고 전체가 30cm정도 자란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연못에 난다.
형태 : 일년생 수초
유사종 : ▶민나자스말: 전체가 녹색 가지가 갈라지고 가시가 산재한다. 잎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와 가시가 있고 엽초는 소형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특징 : 가시같은 톱니가 있기 때문에 톱니나자스말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1. pedem. 2 : 221 (1785)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토현삼
학명 :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현삼속(Scrophularia)
잎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상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가장자리에 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흑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고 원추화서는 취산화서가 모여 이루어지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짧고 작으며 끝이 뭉뚝하거나 또는 날카롭다.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열매 : 삭과는 난형 예도로서 각편으로 벌어지고 종자는 세소하다.
줄기 : 높이가 1.5m에 달하고 모가 지며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분포 : 전남(완도)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 충남 충북(속리산) 강원(금강산) 경기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일월토현삼 var.velutina SAKADA : 원줄기 잎 엽병 및 화서에 털이 밀생하며 경북 일월산과 평북 대흥산에서 자란다.
특징 : ▶현삼에 비해 화서는 성기고 잎이 긴 난형이며 꽃자루는 길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23 : 189 (190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토마토
학명 :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과명 : 가지과(Solanaceae)
속명 : 토마토속(Lycopersicon)
이명 : 도마도 땅감 일년감
잎 :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으로서 길이 15-45cm이다. 소엽은 9-19장이고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큰 결각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독특한 냄새가 난다.
꽃 : 마디사이의 중앙에서 화경이 나와 황색 꽃이 달리고 소화경의 기부에 관절이 있어 그속에서 꽃이 떨어진다. 꽃받침은 여러 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화관은 얕은 접시 모양이며 지름 2cm정도이고 여러 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끝이 뾰족한 선상 피침형이고 젖혀진다.
열매 : 열매는 장과로 편구형이고 지름 5-10cm이며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 높이가 1m이상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땅에 닿으면 어디에서나 뿌리가 내리며 부드러운 흰 털이 밀생한다.
분포 : 재배한다.
형태 : 일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d. dict. ed. 8 no. 2 (1768)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토란
학명 : Colocasia esculenta (L.) Schott
과명 : 천남성과(Araceae)
속명 : 토란속(Colocasia)
이명 : 토련
잎 : 잎은 뿌리에서 돋아 높이 1m 정도이며 엽신은 넓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30~50cm이고 기부가 깊이 들어가며 양끝이 처져 코끼리 귀같고 회록색으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파상으로 밋밋하고 엽병은 비스듬히 잎밑에서 약간 올라붙기 때문에 방패같이 되며 엽병은 짙은 녹색 또는 자갈색이다.
꽃 : 엽초 밑에서 1~4개의 화서를 내어 8~9월에 꽃이 피나 열매는 맺지 못한다. 불염포는 곧추 서고 길이 30cm내외이며 통부는 녹색이고 육수화서는 하부에 암꽃 중부에 헛수꽃 상부에 수꽃이 나고 수술은 6개이다.
뿌리 : 지하경은 구형 또는 도란형이며 지하경으로 번식한다. 구경은 겉에 섬유로 덮이고 옆에 작은 구경이 달린다.
분포 : 열대아시아 원산으로 식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
No Image
토대황
학명 : Rumex aquaticus L.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소리쟁이속(Rumex)
이명 : 묵개대황 물송구지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경생엽은 긴 타원상 난형 또는 긴 삼각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큰 것의 길이는 35cm로서 예두 심장저이고 털이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녹색이며 층층이 달려서 전체가 원추형이 된다. 수술과 화피열편은 각 6개이고 바깥쪽 화피열편은 커지지 않으나 안쪽 화피열편은 열매가 익을 때면 길이 5-8.5mm 폭 4.5-7mm로 자라서 난상 삼각형으로 되며 절저 또는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중륵이 굵지 않다.
열매 : 소과경에 마디가 없고 열매는 수과로 세모이다.
줄기 : 높이 80-150cm이고 흔히 자줏빛이 돌며 줄기에 세로로 능선이 있다.
뿌리 : 뿌리가 굵으며 깊이 곧추 들어간다.
분포 : ▶유라시아의 온대에 널리 분포한다. ▶울릉도 및 함경남도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애기수영(R. acetosella): 털이 없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잎과 함께 신맛이 난다. ▶소리쟁이(R. japonicus): 뿌리는 비후하고 잎은 타원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굴곡 약간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짧다. ▶호대황(R. gmelini): 잎 뒷면 맥에 흰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어 거칠며 잎자루는 길다.
특징 : 줄기에 세로로 능선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토끼풀
학명 : Trifolium repens L.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토끼풀속(Trifolium)
잎 : 잎은 호생하고 장상3출복엽으로서 엽병은 길이 10cm에 이른다. 소엽은 도란형 또는 도심장형이며 길이 8-20mm 넓이 8-18mm로서 원두 또는 요두이고 예저이며 소엽병이 거의 없고 길이 15-25mm 나비 10-25mm로서 엽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거의 없다. 탁엽은 난상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 : 두상화서에 많은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20-30cm이고 꽃은 6-7월에 피며 길이 9mm정도로서 백색이고 기판이 떨어지지 않고 갈색으로 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열매 : 협과는 선형이며 길이 10mm정도로서 4-6개의 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줄기 : 줄기는 가로 뻗어 길이가 30-60cm정도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 :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분포 : ▶거의 세계적으로 널이 재배되고 있다. ▶전국 각지 잔디밭이나 하천 고수부지 정원 등 일조 조건이 좋은 곳에 널리 자라고 있다.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No Image
토끼고사리
학명 : Gymnocarpium dryopteris (L.) Newman
과명 : 잔고사리과(Dennstaedtiaceae)
속명 : 토끼고사리속(Gymnocarpium)
잎 : 엽병은 길이 10-25㎝로서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며 연한 녹색이며 밑부분은 흑갈색. 인편은 연한 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좁은 난형으로 길이 2-3mm이나 밑부분과 근경이 달린 것은 길이 3-4mm로 넓은 난형이다. 엽신은 거의 오각형이고 폭이 길이보다 약간 넓으며 3개의 우편으로 갈라지고 길이 8-15㎝이다. 정우편은 측우편보다 약간 길거나 같으며 폭 5-10㎝로서 길이 1.5-4㎝의 대가 있고 삼각형 예첨두이며 2회 우상으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짐.
열매 : 포자낭군은 가장자리 가까이에 달리며 포막은 없다.
줄기 : 털이 없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분포 : 한라산과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Phytologist. 4:371 (185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동식물도감 제16권 식물편(양치식물) (박만규, 1975)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6) 한국양치식물지 (박만규, 1961)
-
No Image
테에다소나무
학명 : Pinus taeda L.
과명 : 소나무과(Pinaceae)
속명 : 소나무속(Pinus)
잎 : 잎은 3개씩 나오고 딱딱하며 길이 15-25cm 폭 1.5mm이고 엽초는 길이 2.5cm로서 밝은 녹색이다. 엽침이 발달되어 있다. 잎 횡단면의 송진 구멍은 보통 2개이며(드물게 4개) 외위(外位)이다.
열매 : 구과는 대가 없고 원추상 난형으로서 길이 5-15cm이며 윤채가 없고 연한 적갈색이며 실편의 비후부는 능선이 지고 제(臍)에 가시가 있다. 종자는 난원형으로 길이 6mm 날개는 길이 2.5cm이다.
줄기 : 높이 30m이상 자라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윗부분의 가지가 비스듬히 서기 때문에 둥근 수관이 형성된다. 수피는 밝은 적갈색이며 조각으로 갈라지고 소지는 홍갈색이지만 때로는 흰빛이 돈다. 동아는 긴 타원형이며 수지가 묻는다.
분포 : ▶미국의 멕시코만과 대서양 연안에 분포한다. ▶남부지방에서 식재하였으나 리기다소나무와의 잡종을 만들어 경기도에까지 심고 있다.
형태 : 상록 침엽 교목.
특징 : ▶조림지역 적응시험을 위하여 도입하여 우리나라 남부 지역에 식재되어 있다. 리기다소나무보다 생장이 빠르지만 추위에 약하며 이 두 나무의 잡종은 어느 정도 추위에 강하나 설해(雪害)에는 매우 약하다. ▶내한성이 약한 것이 결점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
No Image
털황철나무
학명 : Populus maximowiczii var. barbinervis Nakai
과명 : 버드나무과(Salicaceae)
속명 : 사시나무속(Populus)
이명 : 털황철나무 털황털나무
잎 : 잎은 두껍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첨두 아심장저이고 파상의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뒷면의 털이 없거지고 주맥(主脈)에만 털이 남아 있다. 엽병은 길이 1-4cm로서 짧은 융모가 있다.
꽃 : 웅화수(雄花穗)는 길이 5-10cm로서 30-40개의 수술이 있으며 자화수(雌花穗)는 길이 10-20cm이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6㎜로서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m 지름 1m로서 껍질은 회색이지만 점처 터지면서 흑갈색으로 되며 가지는 둥글고 털이 있으며 동아에 점질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에 자생하며 수직적으로 표고 100-1 400m에 지리적으로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황철나무(P. maximowiczii Henry) ▶물황철나무(P. koreana Rehder): 황철나무에 비해 표면에 주름이 많고 향기가 짙게 나는 것. ▶중국황철(P. cathayana Rehder): 잎의 중앙보다 아래쪽이 가장 넓은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sylv. kor. 18 : 201 (1930)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