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Image
흰독말풀
학명 : Datura stramonium L. var. stramonium
과명 : 가지과(Solanaceae)
속명 : 독말풀속(Datura)
이명 : 독말풀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8~15cm 폭 4~10cm로서 난형이고 예두 또는 원두이며 예저이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2~6cm이다.
꽃 : 꽃은 8-9월에 잎 사이에서 피며 길이 8cm정도로서 나팔꽃 모양이고 연한 자주색이며 대형이고 정생 또는 측생한다. 꽃받침은 통형(筒形)이고 5조각으로 갈라진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5개로 약간 갈라지며 열편 끝에 꼬리처럼 길고 뾰족한 돌기가 있고 오후에 핀다.
열매 : 열매는 난형이며 4개로 갈라져서 흑색 종자가 나온다. 표면에 밀생하는 가시같은 돌기는 조금 길고 크다.
줄기 : 높이 1-2m이고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자줏빛이 돈다.
분포 : 약용식물로 재배하던 것이 집 근처에 남아 있다.
형태 : 일년초
유사종 : 흰독말풀
특징 : 잎을 만다라엽이라 하며 유독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No Image
흰도라지모시대
학명 : Adenophora grandiflora f. alba T.B.Lee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잎 : 밑부분의 잎은 엽병의 길이가 1-2cm이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짧아져서 없어지고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털이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고 흰색으로서 총상화서에 밑을 향해 달리며 포는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다소 톱니가 있으며 소화경은 중앙부의 꽃받침열편과 길이가 비슷하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화관은 넓은 종형이고 길이 4cm 지름 3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으로서 끝이 짧게 뾰족해지고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 밑부분이 넓어져서 중앙까지 붙어 있고 윗부분이 젖혀진다. 꽃밥은 떨어져 있으며 길이 3-4mm이고 암술대는 통부보다 약간
줄기 : 화서와 더불어 높이가 70cm에 달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흰색 꽃이 피는 도라지모시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eoul Natl. Univ. Coll. Agric. Resc. 11: 1-6 (198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도깨비엉겅퀴
학명 : Cirsium schantarense f. albiflorum Y.N.Lee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잎 : 경생엽은 호생 타원형 피침상 타원형이고 길이 20~40cm이며 끝이 뾰족하고 깃 모양으로 약간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다. 뒷면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 밀생한다.
꽃 : 두상화는 붉은 자주색이고 지름 4~5cm 줄기나 가지 끝에 1개씩 밑으로 처져 달린다. 총포는 둥근 모양이고 길이 1.5~2cm 너비 3~4cm 총포편은 6줄로 배열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점질이 있기도 한다. 화관은 길이 1.8~3cm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칙칙한 갈색이며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고 관모는 갈색이다.
줄기 : 줄기 윗부분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분포 : 한국(백두산)
형태 : 다년초이다.
특징 : 도깨비엉겅퀴와 닮았으나 흰색 꽃이 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도깨비바늘
학명 : Bidens pilosa var. minor (Blume) Sherff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도깨비바늘속(Bidens)
잎 : 잎은 마주나며 3출엽으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2~6cm 너비 0.8~3.5cm이다. 예첨두 예저 또는 원저이고 거치가 있으며 정소엽이 측소엽보다 크다.
꽃 : 꽃은 취산화서를 이룬다. 두화 지름은 10~12mm. 총포편은 7~8개 주걱형이며 길이 3~4mm이다. 설상화는 4~6개 불임성 흰색이고 3열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이다. 좁은 선형으로 편평하고 길이는 7~13mm 나비는 1mm이다. 가시는 3~4개있고 길이 1.5~2.5mm으로 갈고리 모양에 강모가 난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열대 난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Gaz. 80: 387 (1925)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No Image
흰대극
학명 : Euphorbia esula L.
과명 : 대극과(Euphorbiaceae)
속명 : 대극속(Euphorbia)
이명 : 노랑대극노랑등대풀노랑버들옻흰버들옻
잎 : 잎은 호생하지만 약간 밀생하며 도피침형 또는 주걱형이고 원두 둔두 또는 요두이며 길이 2-3cm 폭 3-5mm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짧은 가지에서는 화서가 달리지 않는 포기의 윗부분에서 처럼 밀생하고 화서 밑의 잎은 5개가 윤생하며 도란상 피침형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이며 화서는 산형이고 5개가 나와 2개씩 2번 갈라져서 끝에 꽃이 달린다. 총포엽은 황색이며 길이 5-10mm 폭 7-15mm로서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술잔 같은 화서에 들어 있는 4개의 선체는 신장형이며 양끝이 바깥쪽을 향하고 황색이다.
열매 : 삭과는 거의 구형이며 지름 3-3.5mm로서 겉이 밋밋하고 암술대는 짧으며 열매는 3개로 갈라져서 종자가 튀어나오고 종자는 길이 1.7mm정도로서 난형이다.
줄기 : 높이 20-40cm로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한 포기에서 여러 대가 나오고 윗부분에서 2-3개의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약간 붉은 색을 띤 흰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마디에서 새싹이 돋는다.
분포 : 남부 도서지방의 해안가.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도란형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록색이다.
특징 : 매우 유독성 식물이다. 노란색에 가까운 연두색 꽃은 개화가 1개월이상 지속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닭의난초
학명 : Epipactis albiflora T.H.Chung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닭의난초속(Epipactis)
이명 : 흰닭의란초
꽃 : 꽃은 백색으로 핀다.
특징 : 청닭의 난초에 비해 꽃이 백색이고 편측생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Kor. 2 : 1005 (1956)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노린재나무
학명 : Symplocos chinensis var. leucocarpa (Nakai) Ohwi
과명 : 노린재나무과(Symplocaceae)
속명 : 노린재나무속(Symplocos)
이명 : 백설노린재나무 흰노린재 흰열매노린재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늘 황색을 띠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10cm 나비 2~5cm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3~8mm이다.
꽃 : 꽃은 5월에 백색으로 피고 향기가 있으며 새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고 포는 선형이며 막질로 일찍 떨어진다. 꽃받침과 화관은 5열하고 수술은 다수로 화관보다 길다.
열매 : 과실은 핵과로 타원형이고 9월에 백색으로 익는다.
줄기 : 수피는 세로로 갈라지고 가지는 회갈색으로 퍼지며 작은 가지에 털이 있다.
형태 : 낙엽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특징 : 과실이 백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an 931 (1953)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노랑민들레
학명 : Taraxacum coreanum var. flavescens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민들레속(Taraxacum)
잎 : 잎은 밑동에서 총생하고 피침형 끝은 뭉뚝하고 밑은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고 양 면에 털이 있으며 갈래는 5~6쌍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민들레보다 개체수가 훨씬 적다. 연노란색이 피며 민들레와 흰 민들레가 합쳐진 것처럼 보인다. 두상화서는 꽃줄기 위에 1개씩 붙고 총포는 엷은 녹색 꽃이 필 때보다 꽃이 핀 후에는 더욱 자라고 털이 있다.
열매 : 과실은 5월에 익는다.
분포 : 우리나라 남부지방 중부지방 북부지방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노랑무늬붓꽃
학명 : Iris odaesanensis f. albiflora Y.N.Lee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이명 : 태백붓꽃
잎 : 잎은 칼 모양이고 길이 12-35cm 폭 12mm가량이며 10-12맥이 있다.
꽃 : 꽃은 흰색이고 화경에 2송이씩 달리며 지름이 3.5cm로서 비스듬히 선다. 수술은 3개 암술은 끝이 3갈래이며 혀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삼각형이다.
줄기 : 높이는 20cm 가량이다.
뿌리 : 지하경은 가늘다.
분포 : 오대산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냉초
학명 : Veronicastrum sibiricum f. albiflora T.Yamaz.
과명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명 : 냉초속(Veronicastrum)
이명 : 흰털냉초
잎 : 잎은 3-8개씩 여러 층으로 윤생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6-17cm 나비 2-4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며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밑에서부터 꽃이 피어 올라간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끝이 뾰족한 피침형이고 화관은 통형이며 길이 7-8mm로서 끝이 얕게 4개로 갈라지고 화통안쪽에 털이 밀생한다. 수술은 2개로서 길게 밖으로 나오고 수술대는 자주색이며 밑부분에 털이 있고 자방은 2실로서 중축태좌에 많은 배주가 달리며 암술대는 수술대와 길이가 거의 같고 밖으로 길게 나오며 백색이고 털이 없다.
열매 : 삭과는 끝이 뾰족한 넓은 난형이며 밑부분에 꽃받침이 달려 있다.
줄기 : 총생하며 전체에 털이 많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냉초 : 기본종 ▶털냉초 var. zuccarini HARA.: 전체에 털이 많고 잎의 나비가 보다 넓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
No Image
흰나리잔대
학명 : Adenophora liliifolia f. alba (Nakai) W.T.Lee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이명 : 흰가는잎잔대
분포 : 한반도(백두산)
특징 : 기본종인 나리잔대에 비해 꽃이 백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1061 (1996)
-
No Image
흰나도제비란
학명 : Orchis cyclochila f. leucantha Hort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난초속(Orchis)
잎 : 잎은 1개이며 뿌리에서 나고 자루가 있다. 잎몸은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4~7cm 폭 2.5~5c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보통 2개씩 달리며 흰색이고 보통 줄기 끝에 2개씩 달리며 포는 좁고 긴 난형으로 길이 1~2.5cm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8~10m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3맥이 있고 끝이 약간 둔하며 윗부분의 것은 곧추서며 옆의 것은 퍼지고 꽃잎은 피침형으로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순판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 약 1cm로서 중앙 윗부분의 양쪽이 들어가고 희미하게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으나 톱니가 있다. 거(距)는 선형으로 길이 7~
열매 :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7-17cm이며 털이 없고 밑부분에 1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 : 뿌리가 다소 굵다.
분포 : 함경 북도 제주도 한라산과 지리산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나도제비란(O. cyclochila Max.): 꽃은 일반적으로 연분홍색이다.
특징 : 나도제비란과 모든 형태가 비슷하나 꽃이 흰 것이 특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꿀풀
학명 : Prunella vulgaris f. albiflora Nakai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꿀풀속(Prunella)
잎 :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2-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지만 윗부분에서는 없어진다.
꽃 : 꽃은 백색으로 5-7월에 피고 양순형으로 적자색이며 화서는 길이 3-8cm로서 꽃이 밀착한다. 포는 편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으며 각각 3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7-10mm로서 뾰족하게 5개로 갈라지며 겉에 잔털이 있고 하순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중앙열편에 톱니가 있다.
열매 : 분과는 길이 1.6mm정도로서 황갈색이다.
줄기 : 높이 20-30cm이고 전체에 백색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네모가 지고 꽃이 진 다음 밑에서 측지가 뻗는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5 : 192 (192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No Image
흰꽃향유
학명 : Elsholtzia splendens f. albiflora Y.N.Lee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향유속(Elsholtzia)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예두 예저이고 엽병으로 흐르며 길이 1-7cm 나비 0.8-4cm이다. 양면에 털이 드물게 있고 특히 맥위에 많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흰색이며 많은 꽃이 빽빽하게 한쪽으로 치우쳐서 수상화서를 이루고 화서는 길이 2-5cm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며 바로 밑에 잎이 있다. 포는 신장형이고 끝이 갑자기 바늘처럼 뾰족해지며 자줏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으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길이 1.5mm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6mm정도로서 통상 순형이고 상순의 끝이 오목 들어가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2강수술은 길게 나오며 길이 1cm정도
열매 : 열매는 소견과이다.
줄기 :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엽병과 더불어 굽은 털이 줄로 돋아 있다.
뿌리 : 몇 개의 뿌리가 사방으로 뻗고 다시 잔뿌리가 나 있다.
분포 : 지리산에서 발견되었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애기향유(E. saxatilis) ▶향유(E. ciliata (Thunb.) Hylander)
특징 : 꽃향유와 비슷하나 꽃이 흰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꽃창포
학명 : Iris ensata var. spontanea f. alba Y.N.Lee
과명 : 붓꽃과(Iridaceae)
속명 : 붓꽃속(Iris)
잎 : 잎은 2줄로 어긋나고 칼집 모양이며 밑은 줄기를 싸고 끝은 점점 뾰족하다.
꽃 : 꽃은 흰색이고 꽃의 안쪽은 노랑색이며 뾰족한 무늬가 있다. 속꽃덮개 조각은 짧으며 끝이 둥글고 6~7월에 핀다.
열매 : 삭과는 긴 타원형으로 뒤쪽에서 터지며 씨는 적갈색이다. 7~8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한국 일본 동시베리아 만주
형태 : 외떡잎식물 여러해살이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꽃좀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f. leucantha Nakai
과명 :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속명 : 닭의장풀속(Commelina)
이명 : 가는잎흰달개비
잎 : 잎이 좁고 뒷면에 털이 있다. 잎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며 갑자기 좁아져서 막질의 엽초와 연결되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나 뒷면은 백녹색으로서 털이 있으며 길이 3-10㎝ 폭 1㎝정도이다.
꽃 : 백색 꽃이 핀다. 꽃은 6-8월에 피고 포는 잎같거나 접혀서 합쳐진 조개 껍질같으며 겉에 9-10맥이 있고 맥 위에 털이 있다. 포 안에서 꽃이 발달하여 밖으로 나오며 꽃잎.수술 및 헛수술이 각각 3개이다.
열매 : 삭과는 타원형으로서 육질(肉質)이지만 마르면 3개로 갈라져서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비스듬히 또는 곧추 자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가지가 땅에 닿으면 뿌리가 돋기도 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좀닭의장풀(Commelina coreana LEV.): 꽃은 포에 싸이고 밑의 꽃잎 1장은 연한 청색 위의 꽃잎은 2장 청색이다.
특징 : 꽃이 흰색인 좀닭의장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흰꽃잎엉겅퀴
학명 : Cirsium vlassovianum f. leucanthum Kitam.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분포 : 북한(함경남도 개마고원)
특징 : 기본종인 흰잎엉겅퀴에 비해 꽃잎이 백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em. Coll. Sci. Kyoto Imp. Univ., Ser B, Biol. 13: 88 (1937)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흰꽃이질풀
학명 : Geranium thunbergii f. albiflorum T.H.Chung
과명 : 쥐손이풀과(Geraniaceae)
속명 : 쥐손이풀속(Geranium)
잎 : 잎은 대생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손바닥 모양으로 얕게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긴 타원형 난형 끝이 뾰족하고 윗부분에 톱니가 있으며 잎면에 검은 자색의 반점이 있다.
꽃 : 꽃은 윗부분의 잎 사이에 긴 꽃줄기를 내어 그 끝에 1~3송이씩 달린다.
열매 : 과실은 10월에 익는다.
줄기 : 줄기는 눕거나 비스듬히 서고 가지를 친다. 전체에 융모가 분포한다.
분포 : 우리나라 각처에 자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
No Image
흰꽃나도사프란
학명 : Zephyranthes candida (Lindl.) Herb.
과명 : 수선화과(Amaryllidaceae)
속명 : 나도사프란속(Zephyranthes)
이명 : 개상사화 구슬수선화 달래꽃무릇 사프란아재비 산자고
잎 : 잎은 가늘고 두꺼우며 짙은 녹색으로 화경(花莖)보다 길고 3-4월경에 새잎으로 바뀐다. 거의 상록이나 3-4월에 새 잎으로 바뀐다.
꽃 : 7월부터 잎사이에서 화경(花莖)이 나와 높이 30㎝정도 자란 다음 끝에서 1개의 꽃이 위를 향해 핀다. 포엽은 막질이며 2개로 갈라지고 홍색이 돈다. 꽃은 백색이지만 때로는 연한 홍색이 돌기도 하며 응달에서는 반쯤 벌어지고 양지에서는 활짝 피며 밤에는 오그라들고 낮에는 핀다. 화피는 6개로 갈라지고 길이가 2㎝정도로서 긴 타원형이며 통부는 매우 짧고 수술은 6개이며 암술대는 백색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3개로 울퉁불퉁 튀어나오며 녹색이고 벌어져서 종자가 나온다.
뿌리 : 파같은 인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분포 :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형태 : (거의 상록성)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 2607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No Image
흰꽃광대나물
학명 : Lagopsis supina (Stephan) Ikonn.-Gal. ex Knorring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흰꽃광대나물속(Lagopsis)
이명 : 나도광대나물 충꽃나물 흰광대나물
잎 : 잎은 대생하고 원형 또는 난상 선형이며 장상으로 3 또는 5열하고 밑은 쐐기모양이며 열편은 장 타원형으로 2~3개의 톱니가 있으며 선점과 굽은 털이 다소 밀생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록색이다.
꽃 :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윗부분의 잎짬에 모여 층상으로 달리며 포는 선형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침상 3각형이고 겉에 털이 밀생한다. 화관은 양순형이며 흰색 털이 밀생한다.
열매 : 과실은 분과로 3개의 능선이 있으며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네모지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과 더불어 밑으로 굽은 털이 다소 밀생한다.
뿌리 : 뿌리는 곧다.
분포 : 안동 서울 및 북부에 나며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URSS 20 :250 (1954)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