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말나리

    학명 :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백합속(Lilium)
    이명 : 왜말나리
    잎 : 잎은 윤생엽과 경생엽이 있으며 4-9개의 윤생엽은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10-20개가 달리며 길이 10cm 폭 15-30mm로서 털이 없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원줄기에 붙는다. 호생엽은 작지만 때로는 길이 8cm 폭 15-20mm의 도피침형인 것도 있다.
    꽃 : 꽃은 7월에 피고 줄기끝에 1-10개의 꽃이 옆을 향해 달리며 화피열편(花被裂片)은 피침형이고 길이 4cm 폭 8mm정도로서 황적색이며 안쪽에 짙은 자갈색 반점이 있다. 암술과 수술은 화피보다 짧고 암술대가 자방보다 길다.
    열매 : 삭과의 열매는 난상 타원형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80cm정도이고 곧추서며 털이 없다.
    뿌리 : 인경(鱗莖)은 둥글고 흰색이며 반점이 있다. 인경(鱗莖)의 인편(鱗片)에 환절이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하늘나리 (L.concolor var. partheneion BAKER)
    특징 : 하늘나리와 비슷하지만 꽃이 옆을 향해 피며 인경(鱗莖)의 인편(鱗片)에 환절이 있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hosen Yuri Dzukai t. 7 (191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 중나리

    학명 : Lilium leichtlinii var. maximowiczii (Regel) Baker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백합속(Lilium)
    이명 : 단나리
    잎 : 잎은 다닥다닥 호생하고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며 길이 8-15cm 폭 5-12mm로서 털이 없거나 백색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지만 원줄기와 더불어 잔돌기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원줄기끝과 가지끝에 밑을 향해 2-10개가 달린다. 꽃잎은 황적색이고 길이 6-8cm로서 안쪽에 자주색의 잔점이 밀생하며 피침형이고 뒤로 말린다. 밀구(蜜溝)는 양쪽에 털이 있으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꽃 밖으로 완전히 나오고 암술대가 자방보다 길다.
    열매 : 원주형의 삭과이며 길이 약 3cm이다.
    줄기 : 높이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은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인경(鱗莖) 위에서 뿌리가 돋고 인경은 둥글며 지름 3-4cm로 인편에 관절이 없다.
    분포 : 경기도 북부지역 강원도 일원 경북의 동부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참나리 다음으로 키가 커지는 대형의 자생나리이다. 종자 결실이 잘 되지 않는 대신 구경에서 땅속줄기가 30-50cm 정도로 뻗어나가 새싹이 돋아나오고 땅속 줄기의 마디에는 자구를 왕성히 형성시켜 증식되는 특성을 지닌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Gard. Chron. 1871 : 1422 (187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참나리

    학명 : Lilium lancifolium Thunb.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백합속(Lilium)
    이명 : 나리 백합 알나리
    잎 : 잎은 길이 5-18cm 폭 0.5-1.5cm로서 피침형이며 줄기에 다닥다닥 달리고 호생하며 엽액에 짙은 갈색의 주아(珠芽)가 달린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4-20개가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10㎝로서 짙은 황적색 바탕에 흑자색 반점이 산포하고 뒤로 말린다. 밀구(蜜溝)에 짧은 털이 있으며 6개의 수술과 암술이 꽃 밖으로 길게 나오고 암술대는 길며 꽃밥은 짙은 적갈색이다.
    열매 : 엽액에 주아(珠芽)가 달려 인편으로 번식한다.
    줄기 : 높이 1-2m이며 흑자색이 돌고 흑자색 점이 있으며 어릴 때는 백색털로 덮인다.
    뿌리 : 인경은 지름 5-8㎝로서 둥글고 원줄기밑에서 뿌리가 나온다. 엽액에 한 개씩 달리는 흑갈색의 완두콩만한 주아(珠芽)가 땅위에 떨어지면 여기서 뿌리를 내리고 싹이 튼다.
    분포 :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이며 무피인경이다.
    유사종 : ▶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는 산야에 자생한다. ▶지리산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 var. carneum nak.)는 꽃잎에 자주색 점무늬가 없다. ▶누른하늘말나리(L. tsingtauense Gilg var. flavum Wils.)는 짙은 황색 꽃이 핀다. ▶섬말나리(L. hansonii Leichtl)는 울릉도에 자생한다. ▶말나리(L. distichum Nakai)는 꽃이 옆을
    특징 : 참나리는 꽃빛이 붉고 꽃잎이 뒤로 말렸다하여 `권단`이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 산야에 흔히 자라고 있고 옛날부터 알뿌리(鱗梗)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했으므로 어느 가정에나 한 두 포기는 있을 정도로 친숙한 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ans. Linn. Soc., 2 : 333 (179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큰솔나리

    학명 : Lilium tenuifolium Fisch.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백합속(Lilium)
    이명 : 큰솔잎나리 큰중나리
    잎 : 잎은 길이 3-14cm로 좁은 선형이고 호생하며 다닥다닥 달린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3-15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고 지름 3-4c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피침형이며 짙은 홍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고 뒤로 강하게 젖혀지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밖으로 나오고 꽃밥은 홍색 또는 적색이다.
    열매 : 삭과는 곧추서며 원주상 타원형으로서 길이 2-3cm 지름 1.7-2.2cm이고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60cm이고 곧추서며 가늘고 짧은 털이 있거나 없다.
    뿌리 : 인경은 길이 3-5cm로 백색이며 긴 타원형이다.
    분포 : 평안도에서부터 만주를 거쳐 몽고지역까지 자란다. 백두산지역 해발 1 000m미만의 풀밭에 주로 자생하고 충주 근방에서도 발견되었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솔나리(Lillium cernum KOM.) : 원줄기끝에서 몇 개의 짧은 가지가 갈라져 그 끝에서 연분홍 꽃이 아래를 향해 핀다. ▶흰솔나리(Lillium cernum var. candidum NAKAI) : 꽃잎은 뒤로 젖혀지고 흰색이다. 1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고 꽃밥은 갈색이다.
    특징 :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17) ▶본 종을 L.pumilum 으로 취급하고 솔나리를 변종으로 취급하는 사람도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ort. Gorenk. ed. 2 : (181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히어리

    학명 :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Uyeki) T.Yamaz.
    과명 : 조록나무과(Hamamelidaceae)
    속명 : 히어리속(Corylopsis)
    이명 : 납판나무송광꽃나무송광납판화 조선납판화
    잎 :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으로 길이 5~9cm 나비 4.5~8.2cm이며 밑은 심형이고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백색이고 측맥이 현저하며 엽병은 길이 1.5~2.8cm이다.
    꽃 : 꽃은 4월에 선황색으로 피고 총상화서로 달려 드리운다. 화기에 화축은 길이 3~4cm이고 8~12개의 꽃이 달린다. 기부의 포는 장란형으로 막질이고 양면에 견모가 있으며 꽃의 포는 장란형으로 내면과 가장자리에 융모가 있다. 꽃받침조각 꽃잎 수술은 각 5개이다.
    열매 : 과실은 수과로 거의 구형이며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소지는 황갈색 또는 암갈색이다.

    분포 : 전남(백운산 조계산 팔영산) 경남(지리산) 경기(백운산)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63: 29 (1988)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노루귀속(Hepatica)
    이명 : 뾰족노루귀
    잎 : 잎은 길이 5cm정도로서 모두 뿌리에서 돋고 긴 엽병이 있어 사방으로 퍼지며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밋밋하다. 중앙열편은 삼각형이며 양쪽 열편과 더불어 끝이 뾰족하고 이른 봄 잎이 나올 때는 말려서 나오며 뒷면에 털이 돋은 모습이 마치 노루귀와 같다.
    꽃 : 꽃은 4월에 아직 잎이 나오기 전에 피며 지름 1.5cm정도로서 백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고 화경은 길이 6-12cm로서 긴 털이 있으며 끝에 1개의 꽃이 위를 향해 핀다. 총포는 3개이고 난형이며 길이 8mm 폭 4mm로서 녹색이고 백색털이 밀생하며 꽃받침잎은 6-8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꽃잎같다. 꽃잎은 없고 수술과 암술은 많으며 황색이고 자방에 털이 있다.
    열매 : 수과는 많으며 퍼진 털이 있고 밑에 총포가 있다.

    뿌리 : 근경이 비스듬히 자라고 많은 마디에서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제주 서울(북한산) 전남 전북(덕유산) 경남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광릉 가평 와야산 천마산) 평북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섬노루귀(H. maxima Nakai)는 울릉도에 자생하며 개체가 크고 새끼노루귀(H. insularis Nakai)는 제주도 자생으로 개체가 노루귀나 섬노루귀에 비해 작고 꽃과 잎이 같이 나온다.
    특징 : 이속의 식물은 카멜레온처럼 자기가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나 내륙지방에서는 자생지에 따라 꽃의 색을 달리하고 남해안 일대와 제주도같이 척박한 지방에서는 식물개체가 작게 변형된 새끼노루귀로 울릉도와 같이 부식질이 풍부하고 연중 공중습도가 높은 곳에서는 개체가 크고 상록성인 섬노루귀로 진화한 것이 아닌가 한다. 다른 식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체가 작은 노루귀는 꽃대가 높이 나와 다른 식물이 자라지 않는 곳에 종자를 최대한 전파시켜 번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ourn. Jap. Bot. 13 : 309 (193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큰피막이

    학명 : Hydrocotyle ramiflora Maxim.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피막이속(Hydrocotyle)
    이명 : 산피막이풀 선피막이큰산피막이풀
    잎 : 엽병 윗부분과 잎 표면에만 털이 약간 있다. 탁엽은 막질이고 때로는 갈색이 돌며 길이 2-2.5mm로서 갈색반점이 있고 엽병은 길이 4-8cm이지만 가지끝의 것은 매우 짧다. 잎은 둥글며 지름 1-3cm로서 가장자리가 얕게 7개 정도로 갈라지고 낮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5mm로서 백색이고 가지의 엽액에서 잎보다 긴 화경이 나오며 그 끝에 10개 정도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이 짧다. 꽃잎과 수술은 각 5개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신장형이며 길이 1mm이고 분과는 좌우로 편평하며 뒷면에 3개의 줄이 있다.
    줄기 : 높이 10-15cm이고 원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비스듬히 서고 가지가 갈라지지만 다시 갈라지지는 않는다.

    분포 : 경기도 이남
    형태 : 다년초

    특징 : 잎이 아래쪽과 겹치고 꽃줄기가 잎자루보다 길게 나오는것이 특징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31: 46 (188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8. 큰피막이풀

    학명 : Hydrocotyle nepalensis Hook.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피막이속(Hydrocotyle)
    이명 : 단풍잎피막이풀큰잎피막이 큰잎피막이풀큰피막이
    잎 : 탁엽은 둥글고 막질이며 지름 3mm정도이다. 엽병은 길이 7-15cm이고 가지끝의 것은 길이 5-10mm이며 타원형이다. 잎은 지름 3-6cm로서 5-9개로 얕게 갈라지며 열편은 끝이 둔하고 양면 맥위에 굳은 털이 산생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고 녹백색이며 보통 가지의 엽액에 소화가 둥글게 모여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각 5개이고 자방은 하위이며 암술대가 짧다.
    열매 : 열매는 짧은 대가 있으며 15~40개씩 모여 달리고 길이 1-1.2mm로서 편원형이다.
    줄기 : 지면을 따라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꽃이 피는 원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높이 5-25cm이고 꼬부라진 짧은 털이 있다.

    분포 : 제주도
    형태 : 다년생 초본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xot. fl. 1. (1823)

    Read More
  9. 갈기조팝나무

    학명 : Spiraea trichocarpa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조팝나무속(Spiraea)
    이명 : 갈퀴조팝나무 갈키조팝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길이 2~5cm의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약간 예두이고 예저이며 화지(花枝)의 잎은 톱니가 없으나 맹아에 달린 것은 끝에 몇 개의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흰빛을 띤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7-9mm로서 백색이며 지름 5㎝인 복산방화서가 새가지 끝에 달리고 소화경과 꽃받침통에는 잔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벌어지며 꽃잎은 둥글고 요두이며 속에 꽃잎과 길이가 비슷한 수술이 20여개 들어 있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갈색털이 밀생하고 9-10월에 익으며 암술대가 자방 뒷면에서 나온다.
    줄기 : 높이 1-1.5m이고 가지에 능각이 있으며 털이 없다. 지하부와 줄기에서 많은 맹아가 나와 줄기가 옆으로 누우면서 자란다.

    분포 : 충주 단양 제천 지역 및 강원도 이북의 야산에서 자생한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반구형.

    특징 : "5-6월에 뭉게구름처럼 피어나는 흰꽃은 설화를 연상케 하며 관상시간이 길다. 눈부신 흰꽃과 함께 꽃봉오리가 진주처럼 아름다워 일명 ""진주화""라 부르기도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kor. 1 : 173 (190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흰큰방울새란

    학명 : Pogonia japonica f. albiflora Y.N.Lee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방울새란속(Pogonia)

    잎 : 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4-10㎝ 나비 7-132mm로서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붙고 날개처럼 흐른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가 달리고 흰색이며 포는 잎같고 길이 2~4cm, 나비 3~6mm로서 보통 씨방보다 길다. 꽃받침조각은 윗부분의 것은 긴 타원상 거꿀피침모양이며 길이 1.5~2.5mm, 나비 3~5mm로서 끝이 둔하고 옆의 것은 다소 나비가 좁으며 윗부분의 것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다소 짧다. 입술모양꽃부리는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정열편은 거꿀달걀모양이고 안쪽과 가장자리에 육질의 돌기가 있다. 씨방은 길이 1.5cm 정도이다.
    열매 : 높이 15-30cm이고 잎이 원줄기 중앙에 1개 달린다.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잎이 원줄기 중앙에 1개 달린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큰방울새란(P. japonica Reichb. fil.): 홍자색 꽃이 핀다.
    특징 : 흰 꽃이 피는 큰방울새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1. 큰방울새란

    학명 : Pogonia japonica Rchb.f.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방울새란속(Pogonia)
    이명 : 큰방울비란 큰방울새난초
    잎 : 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4-10㎝ 나비 7-132mm로서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붙고 날개처럼 흐른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가 달리고 홍자색이며 포는 잎같고 길이 2-4㎝ 나비 3-6mm로서 보통 자방보다 길다. 꽃받침잎은 윗부분의 것은 긴 타원상 도피침형이며 길이 1.5-2.5mm 나비 3-5mm로서 끝이 둔하고 옆의 것은 다소 나비가 좁으며 윗부분의 것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다소 짧다. 순판은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정열편은 도란형이고 안쪽과 가장자리에 육질의 돌기가 있다. 자방은 길
    열매 :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1개가 달리고 홍자색이며 포는 잎같고 길이 2-4㎝ 나비 3-6mm로서 보통 자방보다 길다. 꽃받침잎은 윗부분의 것은 긴 타원상 도피침형이며 길이 1.5-2.5mm 나비 3-5mm로서 끝이 둔하고 옆의 것은 다소 나비가 좁으며 윗부분의 것과 길이가 비슷하다.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다소 짧다. 순판은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정열편은 도란형이고 안쪽과 가장자리에 육질의 돌기가 있다. 자방은 길
    줄기 : 높이 15-30cm이고 잎이 원줄기 중앙에 1개 달린다.
    뿌리 : 높이 15-30cm이고 잎이 원줄기 중앙에 1개 달린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흰큰방울새란: 흰 꽃이 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naea 25:228 (1852)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2. 흑박주가리

    학명 :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Nakai) H. Hara
    과명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속명 : 백미꽃속(Cynanchum)
    이명 : 검정박주가리
    잎 : 잎은 대생하고 곧추선 부분의 잎은 크며 막질(膜質)로 다소 두껍고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3~11cm, 나비 1~4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다소 심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2~4cm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7-8mm로서 검은 자주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 산형으로 달리며 화경(花梗)이 없고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3-4mm로서 꽃보다 짧다. 화관(花冠)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고 끝이 둔하며 부화관의 열편은 난상 3각형으로 암술과 수술이 합쳐진 대보다 약간 짧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4-5cm 지름 5-7mm로서 털이 없으며 종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덩굴성으로 곱슬털이 다소 있고 밑부분이 곧추서며 윗부분은 덩굴성으로서 길이 40-100cm이다.

    분포 :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형태 : 덩굴성 다년초
    유사종 : ▶덩굴박주가리(C. nipponicum): 전체에 곱슬곱슬한 털이 있으며 잎은 막질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갈색이다.
    특징 : 전체에 누운 털이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sperm. Jap. 1 : 150 (194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3. 덩굴개별꽃

    학명 : 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ex Pax & Hoffm.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개별꽃속(Pseudostellaria)
    이명 : 덩굴미치광이 둥근잎미치광이
    잎 : 잎은 대생하고 주걱형 넓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며 양면에 털이 없으나 밑부분은 갑자기 또는 천천히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백색 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백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서 실같은 긴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며 뒷면에 긴 백색 털이 난다. 꽃잎도 5개이며 도피침형으로서 끝이 둥글고 꽃받침보다 길다. 수술은 10개 화사는 실모양이고 꽃밥은 흑자색이며 암술대 3개이다. 줄기 하부의 엽액에 폐쇄화가 4송이 달린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높이가 15cm에 달하고 줄기는 연하며 꽃이 핀 후 가지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덩굴처럼 엉긴다. 덩굴 끝은 실처럼 가늘어져서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린다
    뿌리 : 뿌리는 굵은 방추형이다.
    분포 : 우리 나라 각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참개별꽃(P. coreana Ohwi): 잎은 선형 좁은 피침형 길이 1.5-2.5㎝ 원줄기와 함께 털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개별꽃(P. heterophylla Pax.): 줄기는 1-2개씩 나오고 흰 털이 나 있다. 위쪽 잎은 크며 피침형 길이 10-40㎜ 아래쪽 잎은 좁아져서 잎자루 모양이다. ▶긴개별꽃(P. japonica Pax.): 위쪽 잎은 난형 긴 난형이고 아래쪽 잎은 선형 피침형 길이 1.5-3㎝ 양 면에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t. Pflanzenfam. ed. 2. 16c: 318 (Engl. & Prantl, 193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4. 개별꽃

    학명 :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개별꽃속(Pseudostellaria)
    이명 : 다화개별꽃 들별꽃미치광이풀 섬개별꽃 좀미치광이풀
    잎 : 잎은 대생하며 윗부분의 잎이 특히 커지지 않고 도피침형이며 길이 10-40mm 폭 2-4mm로서 예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한쪽에 털이 줄지어 돋고 1개의 백색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꽃잎도 5개로서 도란형이고 길이 6mm이며 원두 또는 둔한 절두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자방에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고 지면 가까이에 폐쇄화가 몇 개씩 달리며 대가 있다.
    열매 : 삭과는 난상 원형이고 3개로 갈라져서 세립 종자를 산출한다.
    줄기 : 원줄기는 1-2개씩 나오고 높이 8-12cm로서 줄로 돋은 털이 있으며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뿌리 : 방추형의 괴근이 1-2개씩 달린다. 뿌리를 태자삼(太子蔘)이라 한다.
    분포 :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남 경남 충북 강원 경기 황해 함남에 야생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참개별꽃(P. coreana Ohwi): 잎은 선형 좁은 피침형 길이 1.5-2.5㎝ 원줄기와 함께 털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긴개별꽃(P. japonica Pax.): 위쪽 잎은 난형 긴 난형이고 아래쪽 잎은 선형 피침형 길이 1.5-3㎝ 양 면에 털이 있다. ▶큰개별꽃(P. palibiniana Ohwi): 방추형의 흰 괴근이 있고 흰 털이 있다. 밑동에 나는 잎은 주걱모양 줄기 위에 나는 잎은 특별히 큰 난형 길이 3-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at. Pflanzenfam., ed. 2. 16c: 318 (Engl. & Prantl, 193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Read More
  15. 큰개별꽃

    학명 :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개별꽃속(Pseudostellaria)
    이명 : 민개별꽃 선미치광이풀수염뿌리미치광이 좁은잎개별꽃 큰들별꽃
    잎 : 잎은 대생하고 줄기 밑부분의 것은 주걱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밑부분에 털이 있다. 줄기 윗부분에 달려 있는 2쌍의 잎은 특별히 크며 마디사이가 짧고 십자형으로 배열되며 넓은 난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밑부분이 급히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길이 3-4cm 폭 1.5-2.5cm로서 털이 없다. 줄기의 마디 사이가 짧아서 마치 잎이 윤생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꽃 : 4~6월에 두 종류의 꽃이 피며 원줄기 끝에 1개의 백색 꽃이 위를 향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5-25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5-7개로 갈라지고 털이 약간 있으며 꽃잎은 넓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6-8mm로서 둔두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밥은 황색이고 자방은 6개의 모가 진 난형이며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흔히 지면 가까운 곳에 폐쇄화가 달리지만 윗부분까지 올라가는 수도 있고 짧은 대가 있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서 4갈래로 갈라져서 작은 종자가 나온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줄기의 마디 사이가 짧으며 털이 2줄로 돋고 흰털이 있다.
    뿌리 : 방추형의 백색 괴근이 있다.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눈개별꽃(P. ovata) ▶민왜별꽃(P. japonica var. glabra) ▶참개별꽃(P. coreana Ohwi): 잎은 선형 좁은 피침형 길이 1.5-2.5㎝ 원줄기와 함께 털이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개별꽃(P. heterophylla Pax.): 줄기는 1-2개씩 나오고 흰 털이 나 있다. 위쪽 잎은 크며 피침형 길이 10-40㎜ 아래쪽 잎은 좁아져서 잎자루 모양이다. ▶긴개별꽃(P. japonica Pax.):
    특징 : 꽃이 별모양으로 생겼으며 잎이 다른 개별꽃류에 비해 크기때문에 `큰개별꽃`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4:32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애기풀

    학명 : Polygala japonica Houtt.
    과명 : 원지과(Polygalaceae)
    속명 : 원지속(Polygala)
    이명 : 아기풀 영신초
    잎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2cm로서 줄기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엽병이 매우 짧다.
    꽃 : 4-5월에 짧은 총상화서가 나와 접형화 비슷한 연한 홍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로서 꽃잎처럼 생긴 양쪽 2개의 꽃받침잎이 날개모양으로 된다. 꽃잎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한쪽만 터지고 앞면에 해당하는 꽃잎 뒷면에 갈라진 열편이 있으며 수술은 8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진다. 씨방은 2실이며 화주(花柱)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 삭과는 편평한 원형이고 2개의 포가 있으며 넓은 날개가 있고 9월에 익는다.
    줄기 : 초본성 반관목으로서 높이가 20cm에 달하고 뿌리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잔털이 난다.

    분포 : 일본 오키나와 대만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지리산) 전북(익산) 경남(거제도) 경북 충남(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남한산성) 황해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초본성 반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Handl. pl.-kruidk. 10: 89 (1779)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Read More
  17. 흰애기풀

    학명 : Polygala japonica f. leucantha Nakai
    과명 : 원지과(Polygalaceae)
    속명 : 원지속(Polygala)
    이명 : 흰영신초
    잎 :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3cm 나비 4~15m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둔하며 엽병이 극히 짧고 줄기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백색으로 피고 잎짬에 짧은 총상화서로 달린다. 화관은 나비형 비슷하며 꽃받침조각은 5개로 꽃잎처럼 생긴 양쪽 2개가 날개처럼 된다. 꽃잎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한쪽만 터지고 수술은 8개로 밑부분이 합쳐진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편평하고 양측에 날개가 있으며 두 조각으로 갈라지고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단단하며 기부에서 분지하여 비스듬히 올라간다.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인도차이나 필리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Nat. Sci. Mus. Tokyo 31 : 71(1952), nom. nud.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8. 산복사나무

    학명 : Prunus davidiana (Carriere) Franch.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벗나무속(Prunus)
    이명 : 산복사 산복성 산복숭아나무
    잎 : 잎은 호생하고 좁은 난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6-14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어린 잎에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엽병에 간혹 밀선이 있다.
    꽃 :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2.5cm로서 연한 홍색이고 1개씩 달리며 짧은 화병이 있고 꽃받침열편은 긴 난형이며 둔두로서 털이 없고 겉은 적갈색이며 길이 5mm이다. 꽃잎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길이 13-15mm로서 원두 또는 미요두이며 수술은 길이 8-12mm이고 수술대는 백색이며 털이 없다. 암술은 길이 10mm이고 암술머리가 둥글며 암술대와 더불어 적색이고 암술대 기부 및 자방에 융모가 있다.
    열매 : 핵과는 둥글며 지름 3cm로서 잔털이 있고 7월에 황색으로 성숙한다.
    줄기 : 소지는 회갈색이고 약간 윤채가 있으며 지름 2-4mm이고 피목은 가늘며 길고 둥글다.

    분포 : 지리산 관악산에 분포한다.
    형태 : 낙엽 활엽 소교목
    유사종 : ▶겹홍도(P. persica for. rubroplena) : 중부 지방 도홍색의 겹꽃으로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겹백도(P. p. for. alboplena) : 중부지방 백색의 겹꽃으로 관상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uv. Arch. Mus. Hist. Nat. 2. 5: 255 (1884)

    Read More
  19. 산철쭉

    학명 :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H.Lev.) M.Sugim. ex T.Yamaz.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이명 : 개꽃나무 물철쭉
    잎 : 잎은 호생 또는 대생하고 좁고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8cm 폭 1-3cm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뒷면 특히 맥 위에 갈색털이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5mm로서 갈색털이 많다. 어린 순의 인편에는 끈끈한 점액이 있다. 엽병과 잎가에는 양면에 모두 갈색의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대에 털이 있고 가지끝에 2~3송이가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색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난형이고 길이 4-8mm로서 둔두 또는 예두이며 화관은 연한 홍자색이고 지름 5-6cm로서 깔때기모양이며 4개로 갈라지고 상부의 꽃잎 내측에는 진홍색의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수술대는 털이 없거나 기부에 복모가 있다. 수술밥은 자색 암술은 길게 쑥 나와 있다. 화경 및 꽃받침에 끈적끈적한 액이 있다.
    열매 : 삭과는 난형이고 길이 8-10mm로 겉에는 긴 털이 있으며 9월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수피는 회황갈색이 나며 소지는 흰색의 털로 덮여 있다가 다음해에는 없어지고 화경과 더불어 점성이 있다.
    뿌리 : 천근성으로 세근이 많다.
    분포 : ▶일본에도 분포한다.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의 표고 1 600m이하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수형: 다간형에 수관은 낙화산형이다.
    유사종 : ▶겹산철쭉(R. yedoense Maxim. et Regel 혹은 R. matsumurai Kom.): 꽃은 만첩인데 열매를 맺지 않는다. 경기도 이북에 자란다. ▶흰산철쭉(for. albiflora Chang): 순백색의 꽃이 핀다. 전남 불갑산에 자란다.
    특징 : 맹아력이 강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 Revision of the Genus Rhododendron in Japan, Taiwan, Korea and Sakhalin 44 (T.Yamaz., 1996)

    Read More
  20. 이스라지

    학명 : Prunus japonica var. nakaii (H.Lev.) Rehder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벚나무속(Prunus)
    이명 : 물앵두 산앵도 산앵도나무 오얏 유수라지나무 이스라지나무
    잎 : 잎은 호생하며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7cm 폭 2-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깊은 복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 3-5mm이다.
    꽃 :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이 피며 연홍색이고 2-4개가 산형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1.7-2.2cm 정도로서 털이 없거나 있고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 잔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잎은 연한 홍색으로 타원형 또는 긴 난형이고 수술이 꽃잎보다 짧으며 암술대에 잔털이 있고 자방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서 구형이고 털이 없으며 7-8월에 적색으로 익고 맛이 약간 떫다. 종자는 둥글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mm정도이다.
    줄기 : 줄기는 회갈색이며 회색의 띠를 갖는다.

    분포 : 전국 산야의 표고 100-1 100m에 이르는 숲 가장자리나 계곡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관목.
    유사종 : ▶털이스라지(for.rufinervis Nak.): 엽맥에 털이 많다. ▶산이스라지(P. ishidoyana Nakai) : 소화경에 털이 없고 길이 1cm정도이며 꽃받침잎에 선상의 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꽃잎은 길이 1㎝이고 난형이며 백색 또는 담홍색인데 열매는 길이 1.7㎝ 직경 1.3㎝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이 둥글며 8월에 황홍색 또는 홍색으로 익는다. 자방에 갈색털이 밀생한다. ▶옥매(P. g. for. albiplena) : 경기도
    특징 : (P. nakaii Level.)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Arnold Arbor. 3 : 29 (1921)
    참고문헌 : 1)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