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카나리새풀

    학명 : Phalaris canariensi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갈풀속(Phalaris)

    잎 : 잎새는 길이 10-30㎝ 폭 0.5-1㎝이다. 잎집은 등이 둥글고 잎집 구부에 있는 엽설은 높이 3-6㎜이고 끝의 잎집은 팽대(膨大)된다.
    꽃 : 6-9월에 꽃이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3-5㎝ 폭 1-2㎝로 장타원형 또는 원추형이며 백록색을 띠우며 소수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소수는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5-9㎜로 납작하며 3개의 소화로 이루어진다. 포엽은 영존성이며 2개가 모두 모양과 크기가 같고 길이 5-6㎜ 진한 초록색의 폭넓은 3맥이 뚜렷하며 중앙맥을 경계로 강하게 접혀서 용골이 되며 용골 부위에 톱니가 없는 반달모양의 지느러미가 있다. 3개의 소화 중 제1 제2 소

    줄기 : 줄기는 높이 20-60㎝로 곧게 서며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고 털이 없다.

    분포 : 유럽 서아시아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경기도 원당의 고양시 종합운동장 건설 예정 공한지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갈풀(Phalaris arumdinacea): 높이 70-180㎝로 식물 전체가 크며 원추화서의 길이 5-25㎝로 처음은 화지가 직립하여 수상화서처럼 보이나 후에 옆으로 펼쳐저 원추화서가 된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3(4)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IV) (박수현, 1993)
    Read More
  2. No Image

    총전광이

    학명 : Glyceria lithuanica (Gorski) Lindm.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미꾸리광이속(Glyceria)
    이명 : 사할진들피
    잎 : 잎은 길이 20-30㎝ 나비 5-8㎜로서 밝은 녹색이며 포면이 거칠고 얇으며 엽설은 길이 2-3㎜로서 막질이고 톱니 모양이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성기게 퍼지며 길이 15-25㎝로서 밑으로 처지거나 끝만 처지며 가지가 2-5개씩 나온다. 소수는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대개 자줏빛이 돌며 길이 4-7㎜로서 3-5개의 꽃이 들어 있다. 포영은 긴 타원형이고 둔두로서 1맥이 있으며 첫째 것은 길이 1mm 둘째 것은 길이 1.3-1.5mm이다. 호영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3-3.5mm로서 둔두이며 잔점이 있고 가장자리가 투명한 막질이며 뒷면에 7맥이 있다. 내영은 대개

    줄기 : 뻗는 가지가 있고 높이 80-100cm이며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은 옆으로 긴다.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Jahrb. Syst.44: 45. (190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청포아풀

    학명 : Poa viridula Palib.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포아풀속(Poa)
    이명 : 푸른꾸렘이풀 푸른꿰미풀
    잎 : 잎은 편평하거나 안으로 오그라들며 길이 5-15cm 나비 1.5-3mm이고 엽설은 반원형 절두이며 길이 1-2㎜이고 끝이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며 정엽이 엽초보다 짧다.
    꽃 : 화경(花莖)은 곧추자라며 총생하고 높이 30-60cm이다. 꽃은 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녹색이고 곧게서며 빽빽하고 길이 8-15cm 지름 1.5-3cm로매우 가는 가지가 3-5개씩 달리며 잔돌기가 있고 화축은 실 모양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4-5mm 나비 3mm로서 2-3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길이 3mm이며 3맥이 있고 길이가 다르다. 호영은 윗부분이 갈색이다. 길이 3mm로서 5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능각부 밑부분과 측맥 밑부분에 복모

    줄기 : 녹색이다.

    분포 : 중부 이북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
    특징 : ▶포아풀과 비슷하나 녹색이고 엽설이 아주 짧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9(2): 134 (1901)
    1) Catalogue of new world grasses (MissouriBotanicGarden, 200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명집 I-II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4. No Image

    청수크령

    학명 : Pennisetum alopecuroides var. viridescens (Miq.)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수크령속(Pennisetum)
    이명 : 청스크령 푸른수크령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40-60㎝ 나비 9-15㎝로서 털이 다소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화수는 원주형(圓柱形)이고 길이 15-25㎝ 지름 15㎜로서 흑자색이다.소수(小穗)의 대는 길이 1㎜정도로서 중축과 더불어 털이 밀생하며 소지에는 1개의 양성화와 수꽃이 달린다. 소수는 길이 5㎜정도이고 총포모(總苞毛)는 길이 25-28㎜이며 색이 연하다. 첫째 포영은 길이 0.7㎜정도로서 맥이 없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3㎜정도로서 3-5맥이 있다. 퇴화된 호영은 소수와 길이가 같고 양성화를 둘러싸며 7맥이 있고 양성화의 호영은 5


    뿌리 : 근경에서 억센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위끝에 중축과 더불어 백색 털이 있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붉은수크령 (for erythrochaetum OHWI)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4: 59. (193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5. No Image

    참주름조개풀

    학명 :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elongatus Honda ex Naka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주름조개풀속(Oplismenus)
    이명 : 진주름풀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3-7㎝ 나비 1-1.5㎝로서 엽초 및 화서와 더불어 털이 있고 엽설은 매우 짧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 : 꽃은 8-10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6-12㎝로서 6-15㎜의 가지가 갈라지며 소수가 밀착하고 소수는 길이 3㎜정도로서 대가 거의 없으며 짧은 털이 있다. 호영은 까락이 있고 둘째 것은 보다 길며 3맥이 있다. 첫째 소화의 호영은 길이 3㎜정도로서 짧은 까락이 있고 둘째 소화의 호영은 까락이 없으며 열매를 맺는다. 까락에 점액이 생겨서 영과가 들어 있는 소수는 옷에 붙는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뿌리가 내려 퍼진다. 가지의 길이가 2-3㎝이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초본이다.
    유사종 : 주름조개풀 민주름조개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yo Shikenrin Ippan 80. (19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참억새

    학명 :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var. sinensis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억새속(Miscanthus)
    이명 : 고려억새 참진억새 흑산억새
    잎 : 잎은 밑부분이 원줄기을 완전히 둘러싸고 폭 1~2cm로서 선형이며 가장자리의 잔톱니가 딱딱하고 포면은 녹색이며 중륵은 백색이고 털이 있는 것도 있다.
    꽃 : 꽃은 9월에 피며 화수(花穗)는 길이 20~30cm이고 중축은 花序 分枝(화서분지)길이의 1/2이하이다. 가지는 길이 15-30cm이며 소수(小穗)는 대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1마디에 1쌍씩 달리고 길이 5-7mm이며 속모(束毛)는 길이가 7~12mm이다. 포영은 약간 딱딱하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와 끝이 막질이고 내영은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길이 8-15mm의 까락이 돋는다.
    열매 : 열매는 포영으로 싸여 있는데 약간 딱딱하고 끝이 뽀족하며 가장자리와 끝이 막질이고 내영은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길이 8~15mm의 까락이 있다.
    줄기 : 높이 1-2m이고 장대(壯大)하며 원주형이고 곧게 선다.
    뿌리 : 근경이 굵으며 옆으로 뻗는다. 마디마다 몇 개씩 난다.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수식물이다.
    유사종 : ▶얼룩억새 (for.variegatus Nak.): 잎이 얼룩진다. ▶가는잎억새 (for.gracillimus Ohwi) : 잎의 나비가 5mm정도이다. ▶억새 (var.purpurascens Rendle) : 소수가 자주색이고 첫째 포영에 4맥이 있다.
    특징 : 변종에는 줄무늬 참억새와 제브라 참억새가 있으며 이들은 외국에서 원예종으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Ofvers. Forh. Kongl. Svenska Vetensk.-Akad. 12: 136. (185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7. No Image

    참쌀새

    학명 : Melica scabrosa Trin.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쌀새속(Melica)
    이명 : 개껍질새 참껍질새
    잎 : 잎은 길이 15-23㎝ 나비 4-5mm로서 표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엽설은 길이 2mm정도로서 절두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얼핏보기에 도랭이피같은 쌀새이다. 원추화서는 길이 9.5㎝정도이고 원줄기 가지 및 소화경에 돌기 또는 털이 있으며 소수는 길이 7mm정도로서 2-5개의 소화가 들어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고 끝이 뾰족하며 중륵과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5맥이 있다. 호영은 길이 5mm정도로서 7맥이 있으며 뒷면이 거칠고 내영은 길이 4mm정도로서 2개의 능각이 있으며 털이 약간 있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70cm이다.

    분포 : 평양과 江西地方(강서지방)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Chin. Bor. 72 (Bunge, 1833)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참쇠보리

    학명 : Ischaemum anthephoroides f. coreanum (Nakai) Y.N.Lee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쇠보리속(Ischaemum)
    이명 : 서울갯쇠보리조선쇠보리
    잎 : 잎은 넓은 선형으로 두꺼운 혁질이고 길이 7~30cm 나비 8~12mm이며 엽설은 높이 1cm 내외이고 엽초와 더불어 양면에 누운 털이 밀생한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화서는 2개의 편평한 가지로 되며 서로 접해서 하나로 보이고 황갈색을 띤다. 소수는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 7~8mm이고 표면에 긴 털이 있으며 자루가 긴 것과 짧은 것이 대생한다. 긴 자루의 소수는 2개의 수꽃 짧은 자루의 소수는 1양성화와 1개의 수꽃으로 된다. 제1포영 용골 위에는 넓은 날개가 있고 양성화의 호영은 끝이 2열하고 까락이 소수 밖으로 길게 나가지 않는다.

    줄기 : 줄기는 총생하고 기부의 마디에서 굵은 뿌리를 내며 가지치고 마디에 은백색의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an. Kor. Grass. 74 ()
    참고문헌 :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9. No Image

    참새피

    학명 : Paspalum thunbergii Kunth ex Steu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피속(Paspalum)
    이명 : 납작털피 납작피 털피
    잎 : 엽초와 잎에 백색 털이 있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 10~30cm 폭 5~8mm이다. 엽설은 막질로서 길이 1~2mm이며 끝이 수평하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화서는 길이 5-20cm의 중축에서 3-5개의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는 길이 5-10cm로서 밑부분에 속모(束毛)가 있다. 소수(小穗)는 가지 아래쪽에 2줄로 나열되고 짧은 대가 있으며 1개 잔꽃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2.5~2.7mm이며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원두 또는 끝이 약간 뾰족하며 털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퍼진 털이 있다. 첫째 포영은 없고 둘째 및 세째 포영은 모양이 같으며 3맥이 있고 호영은 포영과 길이가 같으며
    열매 : 호영에 싸인 채로 떨어진다.
    줄기 : 높이 40-90cm이고 마디에 백색 털이 있으며 여러개가 뭉쳐 난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mencl. bot. (ed. 2) 2: 273. (18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0. No Image

    참새그령

    학명 : Eragrostis cilianensis (All.) Link ex Vignol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그령속(Eragrostis)
    이명 : 참새크령 흰암그령
    잎 : 잎은 납작하며 길이 10-20cm 폭 2-6mm로서 밝은 녹색이고 표면에 복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와 뒷면에 희미한 선점이 있다. 엽초는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맥줄에 선점 또는 털이 있고 끝에 긴 털이 있다. 엽설은 길이 0.5-1mm로 털이 있다.
    꽃 : 꽃은 7-9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5-20cm이며 가지(小穗枝)는 마디에 1개씩 달리고 겨드랑이에 털이 다소 있다. 소화경은 희미한 환상선(環狀腺)이 있으며 소수는 길이 5-15cm 폭 2.5-3mm로서 10-30개의 소화가 들어 있고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첫째 포영은 길이 2mm정도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2.3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2.2mm정도로서 3맥이 있으며 포영과 더불어 능선 위에 선점이 있고 내영은 길

    줄기 : 총생하고 곧게 서며 마디사이의 윗부분 가까이에 선점이 있다.

    분포 : ▶전세계의 온대와 열대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태 : 1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Malpighia 18: 386. (190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참새귀리

    학명 : Bromus japonicus Thunb.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참새귀리속(Bromus)

    잎 : 잎은 편평하고 길이 15~30cm 폭 3~6mm로서 엽초와 더불어 퍼진 털이 있으며 엽설은 반원형으로서 길이 1-2.5mm이다. 엽초는 좌우 가장자리가 붙어 통모양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0~25cm로서 넓은 난형이며 다소 밑으로 처지고 가지가 각 마디에서 4-6개씩 달린다. 소수는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25mm 폭 6-8mm로서 6-10개의 꽃이 들어 있고 연한 녹색이다. 포영은 잔점이 있으며 첫째 포영은 길이 5~7mm로서 3맥이 있다. 둘째 포영은 길이 7~8mm이며 7~9맥이 있다. 호영은 포영보다 약간 길고 9맥이 있으며 둔두이고 끝이 얕게 2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와 중앙 윗

    줄기 : 높이 30-70cm이며 털이 많고 속이 비어 있다.

    분포 : 전국 각처에서 자란다.
    형태 : 1년초
    유사종 : ▶털빕새귀리(B. tectorum L.): 높이 30-60㎝ 엽초와 잎몸은 연모가 있다. ▶꼬리새(B. pauciflorus Hack.): 근경은 짧고 줄기는 연모가 있다. 엽초는 닫혀있고 털이 있다.
    특징 : ▶참새귀리속은 소수가 크고 엽초의 양측이 붙어 통모양을 이룬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st. veg. (ed. 14) 119. (178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참나래새

    학명 : Stipa coreana Honda ex Naka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나래새속(Stipa)
    이명 : 참나리새 큰나래새 큰수염풀
    잎 : 잎은 길이 25∼50cm 나비 10~20cm이며 편평하고 회록색이며 엽설 구부 가까이에 연모의 윤이 있고 엽설은 길이 1.5mm 정도이다.
    꽃 : 꽃은 9월에 피고 원추화서를 이루며 화서는 길이 15~20cm로 끝이 약간 처지고 마디에서 2개씩의 짧은 가지를 낸다. 소수는 장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12~15mm이고 1개의 꽃으로 되며 녹색이다. 포영은 크기가 같고 9맥이며 뒷면 능성에 잔 돌기가 있다. 호영은 길이 9mm정도로 길이 3cm 정도의 까락이 있다.

    줄기 : 줄기는 모여나고 곧추 선다.

    분포 : 충남(계룡산) 경기(광릉)에 나며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yo Shikenrin Ippan 80. (193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3. No Image

    참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var. coreana (St.-Yves) St.-Yves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고려김의털
    잎 : 잎은 길이 5-20㎝로서 녹색 또는 백녹색이며 말려서 지름 0.4-0.6㎜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고 엽설은 길이 0.5㎜이하이다. 늙은 잎에 홈이 생기지 않는다.
    꽃 : 화경 윗부분에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8cm로서 곧추서고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수축(穗軸)에 털이 있고 소수가 5-10개이며 길이 5-7mm이고 녹색 또는 분록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둘째 포영은 약간 길며 3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3.5-4.5㎜이며 길이 0.5-2㎜의 까락으로 되는 것도 있다. 꽃밥은 길이 1.5-2.5㎜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50㎝이다.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남부의 저지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산묵새(F. japonica Makino): 높이 35-70㎝ 줄기는 가냘프고 밀생한다. 엽설은 막질로 길이 0.8㎜이다. ▶개묵새(F. takedana Ohwi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Rev. Bretonne Bot. Pure Appl. 2: 27 (192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찰벼

    학명 : Oryza sativa var. glutinosa Blanco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벼속(Oryza)
    이명 : 차나락
    잎 : 잎은 길이 30㎝ 나비 3-5㎜로서 표면과 가장자리가 거칠고 엽설은 2개로 갈라진다.
    꽃 : 원추화서는 꽃이 필 때는 곧추서지만 익을 때는 밑으로 처지며 많은 소수가 달리고 소수는 가지에 호생하며 짧은 대가 있고 1개의 꽃으로 된다. 포영은 퇴화되며 호영과 내영은 발달하고 호영은 타원형이며 길이 6㎜ 정도이고 좌우에서 편평해지며 짧은 털이 있고 까락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비숫하고 수술은 6개이다. 포영은 작으며 흑자색이고 전체가 갈자색이다.
    열매 : 쌀에 끈기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며 포기를 형성한다.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 일년생 초본이다.
    유사종 : 벼 (Oryza sativa L.) 산두 (var.terrestris MAK.)
    특징 : 주식작물이고 포기를 형성하며 쌀에 끈기가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Filip. 273. (1837)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5. No Image

    진들피

    학명 : Glyceria ischyroneura Steu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미꾸리광이속(Glyceria)
    이명 : 미꾸리광이 미꾸리꽝이 미꾸리꿰미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30-60㎝ 나비 3-10mm이고 엽초는 완전한 통형이며 윗가장자리에 귀같은 부속물이 있고 엽설은 길이 1-1.5mm로서 절두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피침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5-40㎝이며 소수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5-7mm로서 3-6개의 소화가 들어있으며 대개 연녹색이다. 포영은 긴 타원형이고 둔두로서 1맥이 있으며 첫째것은 길이 1mm정도이고 둘째것은 길이 1.5-2mm이다. 호영은 난형 둔두이며 길이 2.2mm정도로서 7맥이 있고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굽은 능선부가 있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40-120cm이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두메미꾸리꽝이(G. alnasteretum Komarov):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80-150㎝ 근경은 길다. 잎은 진한 녹색이고 엽설은 위쪽이 약간 들쭉날쭉하다. ▶긴진돌피(G. effusa Kit.):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다. ▶대택광이(G. spiculosa Roshev.): 높이 70-100㎝ 근경은 옆으로 길게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고 줄기는 곧게 선다. ▶검정진들피(G. triflora Komarov): 잎몸은 길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Pl. Glumac. 1 : 427 (Steud., 185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6. No Image

    지리산김의털

    학명 : Festuca ovina var. chiisanensis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김의털속(Festuca)
    이명 : 지이산김의털
    잎 : 잎은 길이 5-20㎝로서 녹색 또는 백녹색이며 말려서 지름 0.4-0.6㎜로 되고 3-7맥이 있으며 홈이 거의 없고 엽설은 길이 0.5㎜이하이다. 잎에 홈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5-8cm로서 곧추서고 가지가 1-2개씩 달리며 수축(穗軸)에 털이 있고 소수가 5-10개이며 길이 5-7mm이고 녹색 또는 분록색이며 때로 자줏빛이 돌고 3-6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둘째 포영은 약간 길며 3맥이 있고 호영은 길이 3.5-4.5㎜이며 길이 0.5-2㎜의 까락으로 되는 것도 있다. 꽃밥은 길이 1.5-2.5㎜이고 자방에 털이 없다.

    줄기 : 총생하고 높이 30-50㎝이다.
    뿌리 : 근경이 짧다.
    분포 : 전국적으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김의털(F. ovina L.): 높이 15-30㎝ 줄기는 밀생하고 가냘프다. 잎몸은 안으로 밀리고 침형 엽설은 소형이다. ▶서울김의털(var. sulcifera Ohwi): 줄기는 가냘프고 잎몸은 길이 6-20㎝ 나비 1.2㎜ 표면에 연모가 있고 엽설은 길이 0.4㎜이다. ▶참김의털(var.coreana ST.Yves):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매끈하다. 잎몸 뒷면에 연모가 있고 뻣뻣하다. ▶산묵새(F. japonica Mak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10: 111 (194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Read More
  17. No Image

    쥐보리

    학명 : Lolium multiflorum Lam. var. multiflorum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호밀풀속(Lolium)

    잎 : 잎새는 길이 10-20㎝ 폭 3-8㎜ 어릴 때 엽초는 줄기는 감으며 둘러싼다. 엽초 구부(口部)에 엽이(葉耳)가 있고 엽설(葉舌)은 높이 1-2㎜이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수상화서(穗狀花序)는 곧게 뻗고 납작하며 길이 15-30㎝이다. 소수(小穗)는 자루가 없고 8-10개의 소화(小花)로 이루어지며 길이 10-25㎜이다. 포영(苞穎)은 1개(정상의 것은 2개)로 소수길이의 1/3-1/2 5-7맥이며 녹색으로 혁질(革質)이다. 호영(護穎)은 5맥 끝이 2개로 갈라지며 중앙맥의 연장으로 5-10㎜정도의 까락(芒)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로 가장자리의 위쪽은 가는 돌기물이 있다.
    열매 : 열매(穎果)는 경화(硬化)된 호영과 내영에 싸여 있다.
    줄기 : 줄기는 소수가 뭉쳐나며 2-5마디로 높이 30-100㎝이다.


    형태 : 1-2년생 초본
    유사종 : ▶가지쥐보리(Lolium multiflorum Lam. f. ramosum Guss.): 화서가 여러 개로 분지하는 이형이다.
    특징 : 전세계의 온대 난대지방에 널리 귀화되어 있다. 우리 나라에도 근래에 목초 사방용으로 들어와서 야생화된 것 같다. 화서(花序)가 여러 개로 분지(分枝)하는 이형(異形)이 서울 마포쪽 한강 고수부지에서 발견이 되며 이는 `가지쥐보리`(Lolium multiflorum Lam. f. ramosum Guss.)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franc. 3: 621 (1779)
    참고문헌 :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보유편 (정태현, 1970)
    Read More
  18. No Image

    쥐꼬리새풀

    학명 : Sporobolus fertilis (Steud.) Clayton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쥐꼬리새풀속(Sporobolus)
    이명 : 꼬리새 쥐꼬리새 쥐꼬리풀 회초리풀
    잎 : 잎은 굳고 길이 20-60cm 폭 1.5-5m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마르면 곧 접히고 털이 없거나 밑부분의 표면에 털이 있으며 엽초는 마디 사이보다 길지만 윗부분에서는 짧고 윗부분 가까이에 백색 털이 있다. 엽설은 짧은 털이 밀생한다.
    꽃 : 6~8월에 개화하고 원추화서는 길이 15~40cm 지름 5-10mm이며 가지는 중축과 거의 평행하고 소수가 밀생한다. 소수는 1개의 꽃으로 되며 길이 2-2.5mm로서 꽃이 필 때는 피침형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도란형이고 연한 녹색이며 까락은 없다. 포영은 길이가 같지 않으며 첫째 것은 맥이 없으나 둘째 것은 1맥이 있고 양성화의 호영은 난형 둔두이며 길이 2-2.2mm로서 내영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영과는 호영으로 싸이고 붉은빛이 도는 황색 종자가 겉에서 보인다.
    줄기 : 총생하며 높이 30-80cm이고 곧추 또는 비스듬히 서며 털이 없다.
    뿌리 : 억센 뿌리로 땅속 깊이 들어간다.
    분포 :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

    특징 : ▶화서가 쥐꼬리같이 길기 때문에 쥐꼬리새풀이라고 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an. 1441. (1975)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9. No Image

    쥐꼬리새

    학명 : Muhlenbergia japonica Steud.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쥐꼬리새속(Muhlenbergia)
    이명 : 쥐꼬리풀 초리새
    잎 : 잎은 편평하며 길이 5~15cm 폭 2~4mm로서 부드럽고 엽초와 더불어 백록색이며 엽초는 다소 편평하며 엽설은 짧고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7~15cm로서 끝이 약간 밑으로 처지고 가지가 1개씩 달리며 가지는 호생하고 가지마다 4~6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는 길이 2.5~3mm로서 1개의 소화만으로 이루어졌다. 포영은 넓은 피침형이고 예두이며 길이 1.5-2mm정도로서 백색이고 잔점이 있다. 호영은 예두이며 길이 2.7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까락은 길이 4~8mm이고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으며 2맥이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줄기 : 밑부분이 옆으로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원줄기는 마디에서 자란 측지와 더불어 높이 15-40cm이며 가늘고 비스듬히 선다.
    뿌리 :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져 뿌리줄기가 자라기도 한다.
    분포 :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yn. Pl. Glumac. 1 : 422 (Steud., 1854)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20. No Image

    쥐꼬리뚝새풀

    학명 : Alopecurus myosuroides Huds.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뚝새풀속(Alopecurus)

    잎 : 엽초는 둥글며 녹색이고 간혹 담자색을 띠기도 한다. 엽설은 백색 막질로 2-4㎜이며 잎새는 길이 5-15㎝ 폭 3-6㎜로 털이 없고 녹색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원주형으로 끝쪽이 가늘게 되며 길이 3-10㎝ 폭 3-6㎜ 담록색으로 가끔 담자색을 띤다. 소수는 납작하고 1개의 소화로 되며 길이 5㎜내외이다. 제1 포영과 제2 포영은 같은 크기 같은 모양이며 기부로부터 1/2길이에 이르기까지 융합되어 있어 3맥이며 중앙맥을 경계로 강하게 접혀서 용골을 이루며 용골위에 좁은 날개와 미세한 털이 열지어 난다. 호영은 포영과 같은 길이이며 5맥이 있고 중앙맥을 그 기부에서부터 까락으로

    줄기 : 줄기는 모여서 나며 높이 20-50㎝이며 4개내외의 마디가 있다.

    분포 : ▶일본과 북아메리카에 귀화되었다. ▶인천의 남항 바닷가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 1년생 초본이다.

    특징 : ▶출전: Kor.J.Plant Tax.vol.24(2)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angl. 23 (1764)
    참고문헌 : 1)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V) (박수현, 19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