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흰병꽃나무

    학명 : Weigela florida f. candida (Voss) Rehder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병꽃나무속(Weigela)
    이명 : 흰병꽃
    잎 :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4-10cm 나비 2-4cm로서 표면 중륵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 중륵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mm이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고 엽액에 1개씩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이고 중열되며 길이 6-13mm로서 털이 거의 없다. 화관은 길이 3-4cm로서 중앙 이하가 갑자기 좁아지고 잔털이 있으며 열편은 둔두로 약간 뒤로 젖혀지고 자방에 잔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길이 12-20mm로서 9월에 익으며 종자에 날개가 없다.
    줄기 : 어린 가지에 2줄의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유사종 : ▶좀병꽃(for. brevicalycina Uyeki): 꽃받침 열편의 길이가 5.0-6.5㎜인 것. ▶색병꽃(for. alba Rehder) : 처음에는 꽃이 백색이고 통부가 적색이던 것이 전체가 적색으로 되는 것. ▶삼색병꽃(for. subtricolor Nakai): 화관이 백록색이고 통부 겉에 붉은빛이 돌며 안쪽 순판을 따라 누른빛이 도는 것. ▶병꽃나무(W. subsessilis L. H. Bailey) ▶골병꽃(W. hortensis
    특징 : 5월에 병모양이나 깔대기모양으로 피는 야성적인 꽃을 감상할 수 있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Arnold Arbor. 20 : 431 (1939)

    Read More
  2. No Image

    흰범꼬리

    학명 : Bistorta incana (Nakai) Nakai ex Mori
    과명 : 마디풀과(Polygonaceae)
    속명 : 범꼬리속(Bistorta)
    이명 : 흰범꼬리풀 흰범의꼬리
    잎 : 잎 뒷면이 백색이고 털이 많은 것이 특이하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짧거나 거의 없으며 심장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백색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으로 된다. 원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초상의 탁엽은 경생엽보다 2-4cm정도 길다.
    꽃 : 꽃은 6-8월에 피며 이삭화서로 달리고 연한 붉은색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80-100cm로서 끝에 길이 2-5cm의 화서가 달리고 화피는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이고 8개의 수술은 화피보다 다소 길다. 암술대는 3개이며 화피보다 훨씬 길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세모형이며 화피로 싸이고 3개의 능선이 있다.
    줄기 : 높이가 80c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선다.

    분포 : 우리 나라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가는범꼬리(B. major S. F. Gray var. angustifolia): 범꼬리에 비해 잎이 좁고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범꼬리(B. major S.F.Gray var. japonica): 땅속줄기는 비후하고 잎자루는 엽초가 되고 잎 뒤는 흰색이다. ▶이른범꼬리(B. tenuicaulis): 근생엽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 뒷면은 다소 흰색 잎자루는 길다. ▶씨범꼬리(B. vivipara): 근경은 굵
    특징 : 잎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을 띤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Enum. pl. Corea 130 (1922)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3)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3. No Image

    흰백리향

    학명 : Thymus quinquecostatus f. albus Y.N.Lee
    과명 : 꿀풀과(Labiatae)
    속명 : 백리향속(Thymus)

    잎 : 잎은 대생하며 난상 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5-12mm 나비 3-8mm로서 양면에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간혹 파상의 톱니가 있고 털이 있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엽액에 2-4개식 달리지만 가지 끝부분에서 총생하기 때문에 수상으로 보이고 소화경은 길이 3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5mm이며 10개의 늑맥(肋脈)이 있고 위쪽 3개의 열편은 삼각형이며 아래쪽 2개의 열편은 선형이고 털이 있다. 화관은 흰색이며 길이 7-9mm 지름 5mm로서 겉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수술은 4개이며 수술대와 꽃받침은 모두 연한 자주색이다.
    열매 : 분과는 둥글고 지름 1mm정도로서 9월에 암갈색으로 익으며 전체에 향기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옆으로 퍼진다.

    분포 : 제주도 산정 가까이에서 난다.
    형태 : 낙엽 소관목.
    유사종 : ▶백리향(기본종) ▶섬백리향 (var.japonica HAR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4. No Image

    흰배롱나무

    학명 : Lagerstroemia indica f. alba (W.A.Nicholson) Rehder
    과명 : 부처꽃과(Lythraceae)
    속명 : 배롱나무속(Lagerstroemia)

    잎 : 잎은 두꺼우며 대생 또는 거의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2.5-7cm로서 표면에 윤채가 있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엽액을 따라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엽병이 거의 없다.
    꽃 : 원추화서는 가지끝에 달리고 길이 10-20cm 지름 3-4cm로서 화기(花期)가 길며 꽃은 양성으로서 7-9월에 피고 백색이다. 꽃받침은 6개로 갈라지고 꽃잎도 6개로서 둥글며 주름살이 많고 수술은 30-40개로서 가장자리의 6개가 길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가 수술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1-1.2cm로서 6실이지만 7-8실인 것도 있고 10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5m에 달하고 원줄기는 연한 홍자색이며 평활하고 껍질이 벗겨진 자리가 백색이며 소지는 네모가 지고 털이 없다.

    분포 : 인천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배롱나무(L. indica L.): 꽃은 적색 또는 백색의 양성화.
    특징 : 꽃이 100일 이상 계속 피어서 목백일홍이라고도 하며 줄기는 모과나무처럼 얼룩이 있고 원숭이도 미끄러진다는 일본명을 가지고 있을 만큼 수피가 아름답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ibl. cult. trees 484 (1949)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5. No Image

    흰방동사니

    학명 : Cyperus michelianus var. pacificus Ohwi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방동사니속(Cyperus)
    이명 : 서울방동사니 휜방동사니 흰방동산이
    잎 : 잎은 너비 1~2.5mm 엽초는 검은 자주색이다.
    꽃 : 화서는 두상이고 공 모양이며 지름 5~15mm 작은 이삭은 다수 밀집하고 납작하며 길이 3~5mm 너비 1.5mm정도 이다. 포는 퍼지고 3~5개 입 모양 화서보다 길다. 비늘조각은 나선상 피침형 길이 1.5mm정도 투명하며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0.5~1mm이며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 : 줄기는 밀생하며 녹색이고 세모진다.

    분포 : 한국(중부) 일본 중국 동북 지방
    형태 : 1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Acta Phytotax. Geobot. 7: 137 (1933)

    Read More
  6. No Image

    흰바위취

    학명 : Saxifraga manchuriensis (Engl.) Kom.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범의귀속(Saxifraga)
    이명 : 흰꽃바위취 흰범의귀
    잎 : 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길고 둥근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있는 큰 치아상의 톱니가 지리산바위떡풀과 비슷하고 엽병에 털이 다소 있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줄기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포는 선형이고 소화경에 선모와 더불어 꼬불꼬불한 털이 있다. 포는 선형이고 윗면에 털이 퍼져 있으며 화관은 소형이다. 꽃받침은 5개로서 난형이며 꽃이 핀 다음 젖혀지고 끝이 날카롭다. 꽃잎은 5개이고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길다. 수술은 10개로서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짧으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며 2개로 갈라지고 끝에 암술대가 달려 있어 부리같이 뾰족하다.
    줄기 : 높이가 40cm에 달하고 꼬불꼬불한 털이 있다.
    뿌리 : 지하경이 없다.
    분포 : 평안도 및 함경도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특징 : 얼핏보기에 지리산바위떡풀과 같으나 화서가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22: 415 (1903)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7. No Image

    흰바디나물

    학명 : 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var. distans (Nakai) Kitag.
    과명 : 산형과(Umbelliferae)
    속명 : 당귀속(Angelica)
    이명 : 흰바디 흰사약채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잎은 호생하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지지만 3개씩 갈라진 것같이 보이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첫째의 1쌍과 둘째 것과의 간격은 8-13cm이며 첫째 것이 바로 엽초에 달리는 것이 처녀바디와 다르고 그 밖의 것은 거의 처녀바디와 비슷하며 가장자리가 딱딱하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정열편은 흘러서 날개처럼 되기 때문에 첫째 열편과의 거리가 2-6cm밖에 안된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큰 산형화서가 원줄기 끝과 가지끝에서 발달하고 소산경은 10여 개이며 소총포는 5-6개로서 선형이다. 총포는 가늘고 길다. 화관은 소형이며 지름 3mm이내이고 꽃잎과 화사 및 꽃밥은 거의 유백색이다.
    열매 : 분과로 구형에 가깝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고 곧게서며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뿌리 : 근경은 짧으며 뿌리가 굵다. 뿌리를 백전호라 한다.
    분포 : 경기(광릉 북한산) 전남(광주) 등 중부지방에 자생하나 거의 멸종 상태.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개구릿대(A. anomala Lallemant): 줄기는 속이 비고 털이 없으며 흔히 자줏빛이다. ▶제주사약채(A. fallax Boissieu): 제주도 한라산에서 나며 꽃은 처음에 칼집같이 생긴 잎 모양의 총포에 싸인다. ▶참당귀(A. gigas Nakai): 전체에 털이 없고 자줏빛이 돌며 뿌리는 크고 향기가 강하며 줄기는 곧게 선다. ▶갯강활(A. japonica A. Gray): 줄기 속에 황백색의 수액이 있고 겉에 암자색
    특징 : 처녀바디와 비슷하나 잎의 첫번 갈래가 바로 엽초에 달리는 것이 다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2 : 245 (1936)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흰바늘엉겅퀴

    학명 : Cirsium rhinoceros f. albiflorum Sakata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엉겅퀴속(Cirsium)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며 밑부분이 좁고 규칙적인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인접해 있으며 옆으로 또는 뒤로 젖혀지고 흔히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딱딱하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꽃 : 두화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백색 꽃이 핀다. 지름 3-3.5cm로서 잎같은 포로 싸여 있고 총포는 길이 2.2-3cm 나비 3.5-4.5cm이다. 포편은 7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침형으로서 퍼지고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중편은 내편보다 길고 넓으며 중앙부의 나비가 2-3mm로서 맥이 많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길이 3.5mm 나비 1.5mm로서 윗부분이 황색이며 다른 부분은 자주색이고 관모는 길이 13-16mm로서 갈색이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윗부분이 2-3개로 갈라지며 잎과 가지가 많이 달리고 줄과 털이 있다.
    뿌리 : 뿌리는 방추형이며 길이 30-40cm이다.
    분포 :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바늘엉겅퀴 : 기본종
    특징 : ▶흰꽃이 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Natl. Sci. Mus. Tokyo 31: 116 (Nakai, 1952)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9. No Image

    흰바늘골

    학명 : Eleocharis margaritacea (Hulten) Miyabe & Kudo
    과명 : 사초과(Cyperaceae)
    속명 : 바늘골속(Eleocharis)

    잎 : 소수화서는 좁은 난형이고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5~12mm 지름 3~4mm이다. 끝이 뾰족하다. 비늘조각은 막질이며 좁은 난형 길이 5~6mm 갈색이고 끝이 뾰족하다. 화피는 6장이고 강모 모양이며 열매보다 길고 거칠거칠하며 암술머리는 3갈래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 난상 삼각형이고 길이 3mm정도이다. 연한 녹색이며 끝의 고리 모양 원판에 구멍이 있다.
    줄기 : 땅속줄기는 짧고 줄기는 연하며 가늘고 밀생하며 밑동의 엽초는 볏집색이고 길이 3~10cm이다.

    분포 : 한국(중부) 일본 쿠릴 열도 남부 캄차카 반도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0. No Image

    흰민들레

    학명 : Taraxacum coreanum Nakai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민들레속(Taraxacum)

    잎 :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도피침형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7~25cm 폭 1.4~6cm로서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가 무우잎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5-6쌍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6월에 피며 처음에는 잎보다 짧은 화경이 1개 또는 여러 개가 곧추자라서 그 끝에 꽃이 1개씩 달리고 꽃 밑에 밀모가 있으며 꽃이 핀 다음 화경이 잎보다 훨씬 길어진다. 총포는 연한 녹색이고 꽃이 필 때는 길이 15-18mm이지만 17-21mm로 자라며 외포편은 윗부분이 뒤로 젖혀지고 끝에 돌기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내포편은 끝에 흑자색이 돌며 뿔같은 돌기가 있거나 없다. 화관은 백색이고 가장자리의 것은 길이 15-17.5mm
    열매 : 수과는 길이 3.5mm 직경 1.5mm로서 앞 부분에 많은 홈과 혹이 있으며 윗부분에 석순같은 돌기가 있고 밑부분이 좁으며 부리는 길이 8-9mm이고 관모는 길이 7-8mm로서 갈색이 도는 백색이다.
    줄기 : 원줄기는 없다.
    뿌리 : 수직으로 뻗고 육질로 굵으며 검은 갈색이 난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유사종 :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 ▶좀민들레(T. hallaisanensis Nakai) ▶산민들레(T. ohwianum Kitamura)
    특징 : 한국의 특산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1. No Image

    흰미나리아재비

    학명 : Ranunculus japonicus f. albiflorus Y.N.Lee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속명 :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잎 : 근생엽은 총생하고 엽병이 길며 오각상 원심장형으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흔히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도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2.5-7cm 폭 3-10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으로서 톱니가 없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12-20mm이고 취산상으로 갈라진 소화경에 1개씩 달리며 5개의 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서 겉에 털이 있고 수평으로 퍼지며 안으로 오목해진다. 꽃잎도 5편으로서 꽃받침보다 2-2.5배 길고 도란상 원형이며 밑부분에 소인편이 있고 윤채가 있으며 백색이고 기부에 1개의 꿀샘이 있다. 수술과 암술이 많고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화탁은 짧고 털이 없다.
    열매 : 열매가 모여서 원형의 취과를 형성한다. 수과는 도란상 원형이고 약간 편평하며 털이 없고 길이 2-2.5mm로서 끝에 짧은 돌기가 있다.
    줄기 : 줄기는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흰털이 밀생하며 속은 비어있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 짧은 근경에서 가늘고 긴 뿌리와 근출엽이 뭉쳐난다.
    분포 : 강화도에 난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2. No Image

    섬질경이

    학명 : Plantago asiatica f. polystachya (Makino) Nakai
    과명 : 질경이과(Plantaginaceae)
    속명 : 질경이속(Plantago)
    이명 : 탐라질경이한라질경이
    잎 : 다년초로 잎은 뿌리에서 총생으로 자란다. 흰 털이 있거나 없으며 타원형 또는 난형모양으로 길이가 4-15cm정도이며 폭이 약 3-8cm정도로서 평행맥이 있다.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엽신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으며 변이가 크다.





    형태 : 다년초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3. No Image

    섬오리나무

    학명 : Alnus japonica var. serrata Nakai
    과명 : 자작나무과(Betulaceae)
    속명 : 오리나무속(Alnu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 c. 89 (1939)

    Read More
  14. No Image

    섬갯쑥부쟁이

    학명 : Aster arenarius (Kitam.) Nemoto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참취속(Aster)
    이명 : 갯쑥부장이긴털갯쑥부쟁이섬개쑥부쟁이섬국화제수쑥부쟁이주걱쑥부쟁이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an Suppl.: 736 (1937)
    1) Flora of Japan (K.Iwats. & al., 1995)


    Read More
  15. No Image

    선현호색

    학명 : Corydalis lineariloba Siebold & Zucc.
    과명 : 현호색과(Fumariaceae)
    속명 : 현호색속(Corydalis)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 Jap. Fam. Nat. 1: 286 (1845)
    참고문헌 : 1) 한국산 현호색속(Corydalis)의 분류학적 연구 (오병운, 1986)
    Read More
  16. No Image

    선부추

    학명 : Allium linearifolium H.J.Choi & B.U.Oh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부추속(Allium)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Korean J. Pl. Taxon. 33 : 72 (H.J.Choi & B.U.Oh, 2003)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003)
    Read More
  17. No Image

    선모시대

    학명 : Adenophora erecta S.T.Lee et al.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Plant Res. 110: 77-80 (1997)

    Read More
  18. No Image

    석결명

    학명 : Senna occidentalis (L.) Link.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결명자속(Senna)
    이명 : 강남차석결명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19. No Image

    서울족도리풀

    학명 :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과명 :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속명 : 족도리풀속(Asarum)
    이명 : 민족도리풀 세신 조리풀 족도리풀 족두리풀 털족도리풀 한성세신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eolin. Fl. Manshur. 227 (Kitag., 1979)

    Read More
  20. No Image

    서울민바랭이

    학명 : Digitaria violascens var. intersita (Ohwi) Ohwi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바랭이속(Digitaria)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248 Next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