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 Image

    흰톱잔대

    학명 : Adenophora curvidens f. alba Y.N.Lee
    과명 : 초롱꽃과(Campanulaceae)
    속명 : 잔대속(Adenophora)

    잎 : 잎은 호생하고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는 10cm가량이고 굽은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줄기 끝에 총상으로 들러 붙고 긴 종모양이다.

    줄기 : 높이는 50cm가량이다.

    분포 : 각처의 산지에 난다.
    형태 : 다년초

    특징 : 꽃이 흰 톱잔대.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2. No Image

    흰털솔나물

    학명 : Galium verum var. trachycarpum f. album Nakai
    과명 : 꼭두선이과(Rubiaceae)
    속명 : 갈퀴덩굴속(Galium)
    이명 : 흰솔나물
    잎 : 잎은 8-10개가 윤생하며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3cm 나비 1.5-3cm로서 뒷면은 마디 및 화서와 더불어 털이 있다.
    꽃 :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2.5mm정도로서 4개로 갈라지며 연한 황색이고 엽액과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4개의 수술이 있다. 자방에 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2개씩 달리고 겉에 털이 없으며 분과는 타원형이다.
    줄기 : 높이 70-100cm이고 곧추 자라면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솔나물 (var. asiaticum NAK.) ▶흰솔나물 (for. nikkoense OHWI) : 백색 꽃이 핀다. ▶털솔나물 (var.trachycarpum DC.) : 자방에 털이 있다. ▶개솔나물 (for. intermedium NAK.) : 연한 황록색 꽃이 핀다. ▶털잎솔나물 (var. trachyphyllum WALLR.) : 잎에 털이 많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4 : 51 (1920)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3. No Image

    흰털새

    학명 : Holcus lanatus L.
    과명 : 벼과(Gramineae)
    속명 : 흰털새속(Holcus)
    이명 : 수수새우단풀
    잎 : 잎은 어긋나고 길이는 4~20cm 너비는 4~10mm이다. 잎집 길이의 절간보다 짧고 엽설 길이는 1~4mm이다. 막질이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꽃 : 원추화서로 화서 길이는 3~20cm이고 나비는 1~8cm이다. 소수 길이 4~6mm 소화 2개. 익으면 포영 아래에서 끊어져 떨어진다. 제1포영 길이는 4~5mm 1맥 제2포영는 길이 5~6mm 3맥 짧은 까락. 호영 길이 2~2.5mm 3~5맥. 제1소화 양성화 까락 없다. 제2소화 웅성(불임성) 호영 끝에 길이 2mm의 까락. 내영 호영보다 짧고 2맥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하게 톱니가 있다.
    열매 : 열매는 영과이다.
    줄기 : 줄기는 모여나며 전체에 흰색 단모가 밀생한다.

    분포 :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4. No Image

    흰털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guttatum f. albiflorum Y.N.Lee
    과명 : 난초과(Orchidaceae)
    속명 : 복주머니란속(Cypripedium)


    꽃 : 7월 말경에 꽃이 핀다. 꽃은 줄기 끝에서 1송이가 피는데 아래쪽을 향해 달리며 지름이 3~5cm이다. 넓은 난형의 상악편은 길이가 2~2.5cm이며 끝이 둔하고 측악편은 타원형으로서 길이가 1.5cm 정도이며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삭과이다.
    줄기 : 줄기는 키가 작고 줄기에 연한 털이 있다.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나 근경 끝에서 새싹이 돋아나 군락을 형성한다.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며 15cm이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2장이 어긋나는데 줄기를 감싸며 맥위로는 짧은 털이 있고 잎끝이 뾰족하다.
    분포 : 전남 지리산 강원도 금강산 평북 한남 부전령 포태산 함북 백두산 등지에서 자생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Read More
  5. No Image

    흰털병꽃나무

    학명 : Weigela subsessilis var. mollis Uyeki
    과명 : 인동과(Caprifoliaceae)
    속명 : 병꽃나무속(Weigela)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거의 없고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2-3cm 나비 1-5cm로서 양면에 길고 약한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화지(花枝)의 잎은 타원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2-3cm로서 양면에 융모가 있으며 엽병에 퍼진 털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황록색이 돌지만 적색으로 변하며 1-2개씩 액생하고 화경에 퍼진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선형으로서 밑부분까지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잔털이 있고 길이 10-15mm로서 9월에 익으며 종자에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2-3m이고 어린 가지에 퍼진 털이 있다.

    분포 : 위봉산(威鳳山)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병꽃나무(W. subsessilis L.H. Bailey): 줄기는 회갈색이지만 얼룩무늬가 있으며 잎은 길이 1-7㎝ 나비 1-5㎝이고 가는 톱니가 있다. ▶노랑병꽃(for. xantina): 노란 꽃이 피는 것.
    특징 : 꽃의 색감이 야성적이고 모양이 병처럼 생겨 특이하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Woody PL. and. Their. Distr. 100 (1940)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6. No Image

    흰털민들레

    학명 : Taraxacum platypecidum Diels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속명 : 민들레속(Taraxacum)
    이명 : 북녘민들레 북방민들레 사칼린민들레
    잎 : 잎은 근생엽뿐이며 근생엽은 모여난다. 엽신은 도피침형(10~30cm 너비 3~6cm)이고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둔한 거치가 있는데 흔히 바깥쪽에 근생엽에는 둔한 거치가 있고 안쪽줄의 근생엽들은 우상으로 깊이 갈라졌으며 열편들은 흔히 아래로 향하였다. 잎 밑부분은 설형으로 좁아졌고 끝부분은 약간 원형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털이 성글게 있다.
    꽃 : 꽃은 5월~6월경 두상화서를 이루고 피는데 화서는 줄기끝에 한개씩 붙는다. 총포는 넓은 종형(길이 17~20mm)이다. 총포편은 3줄로 붙는데 바깥줄의 것들은 난형 (길이 5~6mm 너비 3~4mm)이고 끝부분이 뾰족하며 분녹색이고 뒷면 끝부분이 자색이며 부리모양의 돌기가 있고 가장자리에 흰 막질의 넓은띠가 있다. 제일 안쪽줄의 총포편은 피침형(길이 17~20mm 너비 1.5~2mm)이고 엽연에 흰막질의 띠가 있으며 끝부분은 자색이고 조금 무딘모양이
    열매 : 수과는 연한 갈색이며 밑부분이 좁은 타원형(길이 3.5~4mm)이며 세로로 능각이 있고 능각의 윗부분에는 끝이 뾰족한 돌기가 많으며 6월~7월에 익는다. 열매 끝부분에는 침형으로 길어진 부리(길이 10~12mm)가 있으며 부리끝에 관모가 붙는다. 관모는 백색이고 부드러우며 길이 8~9mm이다.
    줄기 : 줄기 속은 비었고 흰 면모가 성글게 있으며 한포기에서 2~3개 나온다.
    뿌리 : 뿌리는 굵고 곧추뻗는다.
    분포 : 한반도(북부) 일본 중국 러시아
    형태 : 다년생 초본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eddes Repert. Sp. Nov. Beih. 12: 515 (1922)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7. No Image

    흰털동자꽃

    학명 : Lychnis fulgens f. glabra (Nakai) W.T.Lee
    과명 : 석죽과(Caryophyllaceae)
    속명 : 동자꽃속(Lychnis)
    이명 : 민동자꽃





    분포 : 북한(함경북도)


    특징 : 털동자꽃과 유사하나 전체에 털이 없다. 털이 전혀 없는 극단적인 형태를 본 변종으로 취급하나 연속적인 변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분류학적 검토가 요구된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comb. nov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8. No Image

    흰털당마가목

    학명 : Sorbus amurensis var. lanata Nakai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마가목속(Sorbus)
    이명 : 털당마가목 흰털마가목
    잎 : 잎은 호생하고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13-15개이고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찌그러진 예저이며 길이 4-6cm로서 양면에 흰색털이 밀생한다.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복거치 또는 단거치가 있고 탁엽이 일찍 떨어진다.
    꽃 : 화서는 복산방화서로서 지름 8-12cm이며 흰색털이 밀생하고 가지끝에 달린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8-10mm이고 꽃받침에 잔털이 있고 꽃받침잎은 삼각형이며 꽃잎은 둥글고 백색이며 암술대는 3개이고 기부에 털이 있다.
    열매 : 이과는 타원형이며 지름 6-7mm로서 누른 빛이 도는 홍색으로 익고 종자는 신장형 비슷하며 길이 4mm로서 황적색이고 한 열매에 3개씩 들어 있다. 열매는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간은 통직하고 수피는 황갈색이며 가지와 동아에 백색털이 밀생하고 동아에 점성이 있다.

    분포 : 중부 이북의 표고 500-1 200m의 심산 중턱에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소교목
    유사종 : ▶잔털마가목(var. pilosa NAK.): 소엽이 길이 9cm 폭 1.8cm이고 뒷면 중륵(中肋)에 백색털이 있다. ▶왕털마가목(for. rufo-hirtella NAK.): 잎 뒷면에 성긴 털이 있다. ▶녹마가목(var. rufo-ferruginea SCHNEID.): 화서 꽃받침통 및 잎 뒷면 특히 중륵에 길고 가는 갈색털이 있다. ▶차빛당마가목(S. amurensis var.rufa Nak.)
    특징 : 당마가목과 비슷하나 가지와 잎 양면 및 화서에 흰색털이 밀생함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ot. Mag. (Tokyo) 30 : 17 (1916)

    Read More
  9. No Image

    흰털귀룽나무

    학명 : Prunus padus var. pubescens Regel & Tiling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벚나무속(Prunus)
    이명 : 털귀롱목 털귀룽나무 흰털귀룽
    잎 : 잎은 호생하며 도란상 타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6-12cm 폭 3-6㎝로서 잎 뒷면에 갈색털이 있고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1.5㎝로서 털이 없고 밀선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며 지름 1-1.5cm로서 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새가지 끝에서 처지며 길이 10-15㎝로 털이 없고 밑부분에 잎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5-12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열매 : 핵과는 둥글며 6월에 흑색으로 익고 핵은 주름이 있으며 과육은 떫다.
    줄기 :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고 꺾으면 냄새가 나며 수피는 흑갈색으로 세로로 벌어진다.
    뿌리 : 주근과 측근이 있다.
    분포 : 전국의 표고 1 800m 이하의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중국 몽고 시베리아 유럽등지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활엽교목
    유사종 : ▶서울귀룽(var. seoulensis Nakai): 소화경의 길이가 5-20㎜이다. ▶차빛귀룽(var. rufo-ferruginea Nakai): 잎 뒷면에 갈색털이 있다. ▶털귀룽(var. pubescens for. purdoma Koehne): 소지와 잎 뒷면에만 털이 있다. ▶흰귀룽(var.glauca Nakai): 잎의 뒷면이 회백색이다.
    특징 : 맹아력이 좋으며 생장이 빠른 속성수이다. 귀룽나무에 비해 소지와 소화경에 털이 있고 잎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Nouv. Mem. Soc. Imp. Naturalistes Moscou 11 : 79 (1858)
    참고문헌 :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Read More
  10. No Image

    흰털고광나무

    학명 : Philadelphus schrenkii var. lasiogynus (Nakai) W.T.Lee
    과명 :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명 : 고광나무속(Philadelphus)
    이명 : 털고광나무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으로 현저히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뒤에 미세한 털이 있으며 엽병에 백색의 긴 털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총상화서로 5~7개씩 달리고 화서에 짧은 털이 많다. 소화경은 꽃받침통과 더불어 털이 많고 꽃받침조각은 난형 꽃잎은 둥글며 수술은 꽃잎보다 짧고 화주는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열매 : 과실은 삭과로 도원추형이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수피는 회백색이며 2년지에 수피는 벗겨지고 새가지에는 옆으로 퍼지는 털이 있으며 홍갈색을 띤다.

    분포 : 경기(광릉) 경남
    형태 : 낙엽활엽 관목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Lineamenta Florae Koreae 453 (W.T.Lee, 1996)
    참고문헌 :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1. No Image

    흰터리풀

    학명 : Filipendula koreana f. alba (Nakai) Kitag.
    과명 : 장미과(Rosaceae)
    속명 : 터리풀속(Filipendula)
    이명 : 흰터리
    잎 : 잎은 호생하며 1회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은 가장 크며 길이 9㎝ 폭 11㎝로서 단풍잎처럼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측소엽은 작으며 4-5쌍이지만 경생엽에는 1-4쌍이 달리고 탁엽은 길이 0.5-1㎝로서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끝과 원줄기끝의 취산상 산방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꽃받침열편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많으며 꽃잎보다 훨씬 길다.
    열매 :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 8-9월에 익으며 앞뒤에 털이 있다. 심피는 5개로서로 떨어져 있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홈줄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수염뿌리가 난다.
    분포 : 부전고원(赴戰高原)에서 자란다.
    형태 : 다년생 초본
    유사종 : ▶붉은터리풀(F. koreana Nakai): 적색꽃이 핀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36: 23 (1961)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2. No Image

    흰큰메꽃

    학명 : Calystegia sepium f. album Y.N.Lee
    과명 : 메꽃과(Convolvulaceae)
    속명 : 메꽃속(Calystegia)

    잎 : 잎이 삼각형 모양의 난형이다.




    분포 : 경기도 이북
    형태 : 다년생 덩굴식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3. No Image

    흰큰등갈퀴

    학명 : Vicia pseudoorobus f. albiflora (Nakai) T.B.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이명 : 흰꽃큰등갈퀴





    분포 : 한반도(함경북도 백두산 함경남도 함흥)


    특징 : 모종인 큰등갈퀴의 자주색꽃에 비해 꽃 색깔이 흰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Seoul Univ. J(B). 20 : 146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Read More
  14. No Image

    흰큰나비나물

    학명 : Vicia unijuga var. ouensanensis f. albiflora Y.N.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나비나물속(Vicia)

    잎 : 잎은 호생하며 한쌍의 소엽으로서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3-8cm 나비 2-4cm로서 거치가 없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둔저이고 탁엽은 2개로 갈라지거나 거치가 있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엽액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은 흰색의 접형(蝶形)이고 길이 12-15m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의 선형 조각으로 갈라진다.
    열매 : 열매는 길이 3cm 정도로 흡사 완두콩같이 생겼으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여러대가 한군데에서 나와 곧추 또는 약간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원줄기는 능선으로 인하여 네모가 진다.
    뿌리 : 땅 속에 단단한 목질의 근경이 있고 뿌리가 건장하다.

    형태 : 다년초
    유사종 : ▶큰나비나물 varouensanensis LEV : 잎의 길이가 10cm 나비가 5cm이다. ▶애기나비나물 var.kausanensis LEV.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전체가 작으며 높은 산에서 자란다. 나비나물은 드물게 콩과식물이면서도 순과 꽃봉오리를 나물로 이용하는 귀한 산채의 하나다.
    특징 : 꽃이 흰 큰나비나물.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5. No Image

    흰큰구슬붕이

    학명 : Gentiana zollingeri f. albiflora Tuyama
    과명 : 용담과(Gentianaceae)
    속명 : 용담속(Gentiana)






    분포 : 한반도 일본


    특징 : 기본종인 큰구슬붕이에 비해 화관이 순백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Jap. Bot. 16 : 502 (1940)
    1) Enum. Sperm. Jap. 1: 137 (Hara, 1949)

    참고문헌 : 1) 한국산 용담과 식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백원기, 1993)
    Read More
  16. No Image

    흰층꽃나무

    학명 : Caryopteris incana f. candida Hara
    과명 : 마편초과(Verbenaceae)
    속명 : 층꽃나무속(Caryopteris)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긴 타원상 난형이며 첨두 또는 둔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재저이며 길이 2.5-8cm 폭 1.5-3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으로서 밀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5-10개씩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5-20mm이다.
    꽃 : 꽃은 흰색이고 취산화서가 윗부분의 엽액에 많이 모여 달려 계단상으로 보인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화관은 길이 5-6mm로서 겉에 털이 있고 밑부분의 열편이 가장 크며 다시 실처럼 가늘게 갈라진다. 암술대는 끝이 2개로 갈라지고 이강웅예는 암술과 더불어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 : 열매는 도란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2mm로서 중앙에 능선이 있으며 숙존성의 꽃받침속에 5개의 열매가 들어 있고 흑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30-60cm이고 윗부분이 겨울동안 죽으며 소지에 털이 밀생한다.

    분포 : 경상도 전라도 및 남쪽섬에 분포한다.
    형태 : 아관목.
    유사종 : ▶층꽃나무 : 기본종
    특징 : 흰색 꽃이 피는 층꽃풀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1)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7. No Image

    흰처녀치마

    학명 : Heloniopsis orientalis var. flavida (Nakai) Ohwi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처녀치마속(Heloniopsis)


    꽃 : 총상화서로 흰꽃 또는 연보라색 꽃을 피운다.

    줄기 : 줄기가 곧게 선다.

    분포 : 우리나라 각처
    형태 : 다년초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Flora of Korea (Y.N.Lee, 1996)
    참고문헌 :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8. No Image

    흰참싸리

    학명 : Lespedeza cyrtobotrya f. semialba T.B.Lee
    과명 : 콩과(Leguminosae)
    속명 : 싸리속(Lespedeza)

    잎 : 잎은 3출엽이며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잎 끝은 요두(凹頭) 또는 원두圓頭)이며 원저(圓底)이다. 표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잔털이 있고 엽병은 짧으며 털이 있다.
    꽃 : 화서는 총상이지만 짧기 때문에 두상같이 보이고 화축에 밀모가 있으며 꽃은 7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서리가 내리기 직전까지 계속하여 피고 소화경은 길이 1-4mm이다. 꽃받침은 중열되고 털이 있으며 점첨두이고 기판과 익판은 백색이며 다소 홍색이 난다.
    열매 : 열매는 협과로 길이 8mm이며 난형이고 털이 있으며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원형으로 되며 노목의 가지는 밑으로 처지고 소지에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분포 : 전국 각지의 표고 100-1 400m 사이의 산중턱 양지쪽에서 자란다.
    형태 : 낙엽활엽관목
    유사종 : ▶선녀싸리(for. alba T.LEE): 꽃이 순백색이다. ▶긴잎참싸리(var. longifolia Nak.): 잎이 타원형이고 참싸리의 화서가 달리는 것.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참고문헌 :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Read More
  19. No Image

    흰참꽃받이

    학명 : Bothriospermum secundum f. albiflorum Nakai
    과명 : 지치과(Boraginaceae)
    속명 : 꽃받이속(Bothriospermum)






    분포 : 한반도(평양)

    유사종 : 참꽃받이
    특징 : 기본종인 참꽃받이에 비해 꽃이 백색이다.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J. Coll. Sci. Imp. Univ. Tokyo 31: 105 (1911)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Read More
  20. No Image

    흰참꽃나무

    학명 : 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var. tschonoskii
    과명 : 진달래과(Ericaceae)
    속명 : 진달래속(Rhododendron)
    이명 : 십자참꽃 십자참꽃나무 흰참꽃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끝에서는 총생하며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30mm 폭 4-12m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표면에 복모가 있으며 뒷면은 복모와 더불어 연모가 있다. 잎이 가을에 황적색으로 변한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지름 7-8mm로서 백색이며 깔때기모양이고 가지끝에 2-6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3cm로서 백색털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침상의 백색 털이 있으며 꽃잎은 4-5개로 갈라지고 통부보다 짧으며 통부는 길이 2-3mm로서 안쪽에 털이 있다. 4개의 수술중에서 2개는 길고 수술대는 중앙이하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자주색이고 암술대는 수술과 길이가 같으며 털이 없다. 자방은 난형이고 갈색털이 있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고 길이 5mm로서 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갈색털이 있다.

    분포 : 지리산 및 가야산에서 자란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낙엽소관목


    국명출전 : 국가식물표준목록
    학명출전 :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7:16 (187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248 Next
/ 248